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기원전 13~9세기 카라숙 청동기의 東進과 요동ㆍ한반도의 초기 청동기문화

        강인욱 호서고고학회 2009 호서고고학 Vol.0 No.21

        In this paper, author analyses the spread of Karasuk style bronze to Eastern part of Eurasia and its correlation with the early bronze age culture of Korean peninsula. The karasuk style bronze(KSB as belows) originated from Seima-Trubino metallurgical tradition. Around the 13th century BCE, KSB have been found the Far eastern area of Russia, the eastern part of Liaoning(liaodong), and North Kore karasuk. The areal is ranged about N 40'~45'. Although the spread of KSB were occurred almost simultaneously, the assemblage and type of KSB are different in each regions. So, author suggests that there are no evidence of great migration of steppe peoples to Eastern Eurasia, but the autonomous archaeological culture took the karasuk mettalurgy. Another reason for the intrusion of KSB to Eastern Eurasia is that because of the climatic change(more arid and cold), there could not exist complexed broze age society in Manchuria. With this significant movement of KSB with the climatic change, the imitations of KSB dagger and knives are frequently found in the Far Eastern part of Russia, Heilongjiang province of China. Since the stone dagger culture were flourished in the Far East(included Korea and Japan), the intrusion of KSB was comparatively tiny. If we compare KSB period to the Scythian period(8~3th BCE), With the increase agricultural economy in the lute-shaped dagger culture dominated in the Manchuria and Korean peninsula, and the steppe relation discontinue thoroughly. 본고에서는 기존에 초기 북방계 청동기라고도 불리웠던 카라숙 청동기로 대표되는 기원전 13~9세기 초원계 청동기의 한반도 및 동아시아의 유입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주요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카라숙 청동기는 유라시아 청동기 중기(기원전 17~13세기) 서부 시베리아에서 형성된 세이마-투르비노 청동기의 확산과정에서 기원해서 기원전 13세기경 동부시베리아 및 중국 북방, 만주지역으로 확산되었다. 카라숙 청동기 연해주, 요동동부, 내몽고 등 대체로 북위 40~45도에 해당하는 동아시아의 각 지역에 동시적으로 내려왔는데, 각 지역마다 강한 지역색을 띈다. 즉, 카라숙 청동기는 대량의 주민집단이 내려와서 기존의 세력을 교체한 것이 아니라 각 지역의 토착문화에 청동기 제작기술만 전파되는 양상을 띈다. 그래서 카라숙 청동기 자체는 광범위한 지역들이 서로 유사하나, 공반하는 청동기들은 지역성이 강하게 나타난다. 두 번째로 이러한 카라숙 청동기의 남진 현상은 한랭건조화 현상과 관련된 기원전 13세기에 전 동아시아적으로 보이는 문화의 변환이다. 이 시기를 전후하여 중국 북방 여러 지역은 기존의 정착경제가 해체되어서 유적의 수가 급감하게 되며, 이동성에 기반한 주민집단이 등장한다. 이러한 기후환경은 카라숙 청동기가 남하하는 요건을 제공했다. 세 번째로, 대부분의 카라숙 청동기는 지표채집이나 문화층 출토가 많으며 유독 유구에서 출토되는 경우는 매우 적다. 극히 일부 무덤 출토의 경우도 소형의 토광묘에 한정된다. 이는 곧 정착에서 유목으로 경제가 재편되며 청동기를 제작하는 장인집단이 주변지역으로 확산되어 지역화되는 과정의 일부로 생각된다. 네 번째로 요동 지역으로의 확산역시 기후 한랭화에 따른 카라숙 청동기의 전반적 남하 과정과 연계시켜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기는 요서 지역에서는 중원청동기의 매납유구 등장, 각 지역의 청동기 유형 성립 등 요령지역 전반적으로 커다란 문화권이 형성되지 않았다는 점과도 관련된다. 반면에 기원전 9세기경부터 비파형동검문화권으로 재편되면서 더 이상 초원지역의 청동기가 유입될 여지는 없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다섯 번째로 연해주와 한국 북부의 카라숙 청동기의 모방품이 많은 것은 일차적으로 카라숙계의 동진과 관련되지만, 마제석기 제작의 전통이 강한 재지사회의 변용에 따른 결과이다. 카라숙 청동기는 동․남진 할수록 그 조합이 갈수록 적어진다. 한반도, 연해주, 일본에서는 위신재의 성격이 상대적으로 덜한 동도와 석모만이 발견된다. 이는 곧 석검 위주의 사회로 도입되면서 변용이 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해주와 일본 등에서 카라숙 모방 석검이 주로 출토되는 이유는 각 지역이 석검 제작이 활발했으며 요동~한반도 서북한 지역과 같은 정착농경에 기반한 문화권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러시아의 고고학발굴법의 발달과 과제

        강인욱 한국문화유산협회 2018 야외고고학 Vol.0 No.31

        이 논문에서는 17세기에서 최근에 이르는 기간 러시아의 고고학 혀장 발굴조사 방법이 어떻게 발달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러시아 현장 발굴 조사의 허가 및 보고서 검수를 담당하는 러시아과학원 고고학연구소 현장조사과에서 발행하는 발굴지침을 중심으로 그 특징을 지표조사, 발굴, 보고서 발간 등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IV장에서는 실제 필자의 발굴경험을 중심으로 현장 조사의 특징을 한국과 발굴을 비교해서 살펴보았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유라시아 여러나라에서 해외 발굴조사가 증가하고 있는 바, 러시아 발굴조사 방법의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바로 한국을 둘러싼 유라시아 전 대륙이 러시아의 발굴방법에 큰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두만강 유역 북편의 연해주에서 1930년대까지 러시아 학자가 발굴을 담당했던 하얼빈 일대, 몽골, 시베리아 등 한국 고고학과 관련된 대부분의 지역은 러시아의 발굴 방법에 큰 영향을 받았다. 나아가서 중앙아시아, 흑해, 동유럽 등 유라시아 전역은 소련의 영향력 확대와 함께 제정러시아를 거쳐서 소련에 확립된 러시아의 발굴법과 매장문화재 관리 체계를 계승했다. 물론, 상당수의 나라는 러시아 고고학의 영향에서 벗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매장문화재의 발굴과 관리체계는 러시아의 영향을 깊게 받고 있다. 세부적인 발굴 방법에서 여러 차이는 상대적으로 광활한 지역에 대한 조사를 관리하기 위한 측면이 크다. 기본적으로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한의 성과를 얻고 형식보다는 유적의 발굴과 해석에 집중한다는 점에서 기본적인 고고학에 대한 접근원칙은 우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 유라시아 고고학의 조사와 이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러시아 고고학의 현장 조사와 관리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한다. In this paper, author discusses how archaeological research was developed in Russia from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until recently. Now, most of archaeological field works are supervised and examined by Field Investigation Division(ОПИ in russian), Institute of Archaeology, Russian Academy of Sciences, hereby author reviews guideline of field works. issued by Field Investigation Division. This guideline categorizes characteristics of field work into six grades, from site survey without test pit digging until full-scale excavation, including salvage works. In Chapter IV, the author discusses and compares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ussian field work with Korea. Recently, as oversea joint excavation has been increased in Korean archaeology, and so it is indispensable to understand Russian field method. It is because the entire Eurasian continent surrounding Korea was influenced by Russian field method. For example, from the early of 20th century, most of archaeolgical investigation of Manchuria, including Harbin, Mongolia and Siberia, were conducted by Russian archaeologists. Furthermore, most of Eurasian nations , included Central Asia, the Black Sea region, and Eastern Europe was strongly influenced by Russian excavation techniques and Cultural Properties Management System, established in the Soviet Union through Imperial Russia. Although many countries are trying to rebuild their system besides Russian archaeology, the excava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buried cultural property is still deeply affected by Russia. It is especially important to understand how Russian archaeology investigates and manages the archaeological sites for for investigation and understanding Eurasian archaeology.

      • KCI등재

        韓半島 出土 動物形 帶鉤의 系統에 대한 시론적 검토

        姜仁旭 호남고고학회 2004 湖南考古學報 Vol.19 No.-

        본 고에서는 한국의 대표적인 북방계 유물 중 하나인 동물형 帶鉤의 계통에 대한 고찰을 했다. 한반도 세형동검문화와 동시기에 유라시아 초원지대에 분포한 흉문화의 대구형식과 분포지역을 살 펴본 결과 북방지역과 한국과의 직접적인 관계를 상정하기는 어렵다고 보았다. 필자는 기원전 5세 기∼4세기에 요서지방에서 초원계의 문화(동물장식)와 중국계의 문화(帶鉤)가 결합된 동물형 대구 가 만들어졌으며, 이후 燕國의 확장과 함께 동물형 대구의 전통이 본계-단동지구와 한반도의 세형동 검문화에 영향을 주어서 한반도의 동물형 帶鉤가 출현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보았다 한반도의 동물 형 帶鉤는 어은동과 사라리 130호분의 예에서 보듯이 세형동검 말기~목곽묘 초기 단계인 기원후 1세기∼2세기 초엽에는 최상위집단에서만 선택적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같은 시기 중국 에서도 초원계의 동물장식은 최상위층의 고분에서만 확인된다. 기원후 2세기 중엽 이후 帶鉤는 특 정 집단(김해, 상주, 천안 등)의 기호품으로 바뀌면서 그 기능상에서도 변화가 온다. 이와 같이 동물 형 대구에 초원문화의 요소가 섞여있음은 분명하지만, 燕國과 요서지방 비파형동검문화권의 영향을 거치면서 한반도 만의 독특한 양식으로 재창조 된 것이며 북방과의 직접적인 교류를 의미하는 유물 로 볼수 없다. In this work, author analyses the origin of the animal designed belt hooks found in Korea,which have been regarded as the one of distinguished artifacts show the cultural relation between the Korea and the Northern Steppe of Eurasia. In order to trace this connection, author compares the animal designed belt buckle(or belt plaque) of Xiongnu, the widespread nomad culture in Eurasia, synchronous with Slender Dagger Culture of Korea. But, author can't find any concrete evidence of correlation between Korea and Xiongnu in belt hook tradition, Because, practically, the belt hook was not so popular in Xiongnu, and the analogies of animal style in Korea wasn' t found among the animal designed plaque of Xiongnu, Instead of Xiongnu, author suggests that the prototype of the Animal Designed Belt Hook occurred in the Western part of Liaoning Province, under the influence of dynasty Yan and Northern barbarian culture of Hebei province (type Jundushan). As the expansion of dynasty Yan to the East, the tradition of the animal designed belt hook could be spread over to the South Korea. In the 1st A.D, the animal designed belt hooks in Korea were interred only in the supreme burial with rich grave goods, but from the mid of 2nd A.D., the animal designed belt hooks were found among the ordinary burials. For this reason, we could assume that the animal designed belt hooks functioned as prestige good in the 1st A.D., and since 2nd A,D to 4th A.D,, it lost function as prestige good and were made as favorite in some regions, like Kimhae and Cheonan of South Korea.

      • KCI등재

        고고학 자료로 본 발해와 위구르 제국 ― 콕샤로프카-8 유적을 중심으로 ―

        강인욱 중앙아시아학회 2017 中央아시아硏究 Vol.22 No.2

        As we have seen in this paper, the excavation of Koksharovka opened the chapter of the new perspectives on the research of ‘Bohai as the active subject of the Eurasian route’ beyond ‘Balhae(Bohai) as a Korean history.’ The excavation of remains and ritual site(or mausoleum) of the Uighur Khaganate made it possible to specul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lhae of Far East and the Eurasian steppe which E.V. Shavkunov suggested previously. Although Balhae was located in the Far East, they could make it possible to found a huge empire, based on active trades and interaction with neighboured area, especially with Eurasian steppe. The reason why Balhae expanded its territory to northward is one of dispute subject in recent years. However, researchers from different countries interpreted this phenomenon from their own perspective. However, excavations at the Koksharovka and Nikolaevka,-II located on the mountainous regions of Far Eastern region of Russia revealed that the Balhae site,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engaged in economic activity to interact with the eurasian steppe area such as Uighur Khaganate and obtain special products of mountainous areas such as fur and ginseng. In other words, Balhae did not merely expand the territory, but went north to interact with the surrounding area and gain economic benefits. Like this, Koksharovka played a role in trading with mountain region (leather and ginseng) and central asia. Secondly, the foundation of Koksharovka could be dated to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until early part of the 9th century, in consideration with the flourishing period of the Uighur Empire. Third, Sogdian, belonged to Uighur Khaganate, played a major role in the artefact and remains of Eurasian steppe in Balhae sites. Fourth, Koksharovka's mausoleum was made by a group of migrated people from Uighur Khaganate. The interaction between Balhae and Central Asia give a shed light on the expansion of the Silk Road as well as the reason for Balhae' expansion to northward. Furthermore, it is significant that this new perspective could provide a new paradigm for Balhae study ‘Balhae as a Korean History,’ to ‘Balhae in the context of Eurasian medieval history.’

      • KCI등재

        유라시아-연해주 금속 루트와 한반도 청동기의 기원과 계통

        강인욱,김경택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44

        정선 아우라지, 춘천 근화동과 천전리 유적에서 출토된 7점의 청동기를 중심으로 한반도 청동기의 기원 및 초기 청동기 양상을 살펴보았다. 유물의 절대수가 많진 않지만, 모두 주거지 내부라는 확실한 출토 맥락에서 다른 유물들과 공반하여 출토되었고, 절대연대 측정치 산출되었기에 한반도로의 청동기 도입 과정을 구명하는 자료로 전혀 손색이 없다. 한반도 초기 청동기의 기원은 멀리는 시베리아의 세이마-투르비노 유형이 유라시아 전역으로 확산되는 과정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세이마-투르비노 청동기 제작 전통은 동아시아에서 ‘카라숙 청동기’ 전통 내지 문화로 구현되었는데, 이는 전차와 강력한 마구와 무기를 발달시킨 유목민족을 통해 중국 장성지대뿐만 아니라 요서·요동 지역으로도 확산되었다. 그런데 이 청동기 제작 전통은 자바이칼을 거쳐 연해주를 포함한 극동지역과 두만강 일대로 연결되는 또 하나의 루트를 형성했는데, 마제석검 전통이 강한 지역에서는 강력한 무기 대신 소형 장신구를 단조로 제작하는 지역화가 발생했다. 동북한 청동기 전통은 두만강 유역 흥성유형을 거쳐 기원전 13세기 전후로 돌대문토기 단계의 한반도 중부지방으로 확산되었다. 동북한 계통 청동기의 도입 과정은 크게 3단계로 구분된다. 즉, 제Ⅰ단계(기원전 13세기)는 단조로 제작된 청동기가 석제 장신구의 일부로 사용되는 시기이다, 제Ⅱ단계는 돌대문토기 후반~청동기시대 전기 전반(기원전 13~10세기) 장신구와 소형 노동도구가 제작되는 시기이고, 마지막 제Ⅲ단계(기원전 10~8세기)는 단조 기법에서 탈피하여 재가공된 동모와 같은 무기가 사용되는 천전리식 주거지 축조 시기이다. 현재까지 보고된 고고자료로 한정하면, 동북한 계통 청동기가 남한 청동기 제작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진주 대평리 옥방 출토 곡옥형 청동기는 동북한 청동기 전통이 남해안 일대까지 확산되었음은 보여주는 분명한 증거이다. 다만, 서북한 지역 비파형동검 문화가 한반도 청동기시대 문화 형성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미쳤기에 동북한 청동기 전통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덜 두드러지게 보일 뿐이다. 동북한 계통 초기 청동기 전통은 한반도 청동기의 보급 연대를 상당히 소급했음은 물론, 그 기원을 유라시아 청동기의 보편성에서 살펴볼 근거를 제공했다. 다시 말해서, 기원전 15세기 무렵 발생한 동아시아 일대의 기후변화(한랭건조화) 및 인구 급감과 함께 세이마-투르비노 청동기 전통이 동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한반도도 이 영향권에 포함되었다. 하지만 정선 아우라지 출토 소형 장신구는 석제 목걸이를 감싸는 장신구의 일부분 역할에 머물렀으며, 주거지가 폐기되면서 동시에 폐기되었음은 한반도 중부에서는 청동기가 도입 과정부터 대단한 사회 변화를 촉발하거나 석기와 차별화된 위신재로 채택되진 않았을 가능성이 큼을 시사한다. 청동기 도입에 따른 본격적인 사회 변화는 청동기시대 중기 이후 청동기가 주거지가 아닌 고인돌이나 석관묘에 부장되고, 기종 역시 위신재로서의 상징성이 강한 동검 위주로 재편되면서부터 발생한 것으로 이해된다. 한반도 청동기 도입에서 유라시아적 보편성과 석검 위주의 사회가 지속되는 특수성은 한반도 청동기문화의 주요 특징이며, ‘청동기시대’란 시대 명칭 대신 한반도의 특수성과 편의성을 강조한 ‘무문토기시대’라는 시대 명칭은 더 이 ... Based on the seven bronze implements unearthed from Auraji site, Jeongseon and Geunhwa-dong and Cheonjeon-ri sites, Chuncheon, the origin and initial aspects of the Bronze Age of the Korean peninsula are thoroughly reviewed and analyzed. Although the number of bronze artifacts is quite small, only seven, all of them were unearthed in the evident archaeological context without any doubt, inside the semi-subterranean houses at these sites, along with associated artifacts. In addition, radiocarbon dates of these artifacts provide qualification as critical data for the investigation diffusion processes of bronzeware into the Korean Peninsula more than enough. The Korean Bronze Age originated from the spreading processes of Siberian Seima-Turbino Type bronzeware throughout Eurasia continent. The Seima- Turbino bronzeware tradition was implemented in East Asia as the ‘Karasuk Bronzeware culture’, and it also spread to the region of the Great Wall of China and Liaoning region via nomadic people equipped with chariots, harnesses and weapons. This bronzeware tradition explored another diffusion route through the Trans-Baikal region into the Far East including Maritime Province and the Tumen River where quite strong polished stone dagger tradition had been maintained. Instead of powerful weapons, localization to manufacture small-sized ornaments and tools for labor through forging technique occurred. The northeastern tradition of making bronzeware diffused into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t the stage of the raised band decoration pottery via Heungseong assemblage of Tumen River valley around the 13C BCE. The introduction process of the bronze tool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13C BCE) was a period when the forged bronzeware was used as a part of a stone ornament, 13C BCE. The second stage(13~10C BCE), from the second half of the raised band decoration pottery phase to the first half of Early Bronze Age, was a period of making bronze ornaments and small tools for labor. The third stage (10~8C BCE) was a period of Cheonjeon-ri type house when reprocessed weapons (e.g. bronze spearhead at Cjeonjeon-ri site) were adopted instead of implements using the forging technique of the earlier stage. The influence of the northeastern bronzeware tradition on the making bronze tools of the South Korea was quite limited; however, considering bronzeware with the shape of comma-shaped jade unearthed at Okbang site at Daepyeongri, Jinju, it is quite clear that the influence had spread into the South coast. Due to the spread of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introduced from northwestern region, little trace of northeastern tradition were left. The early northeastern bronzeware tradition not only raised the upper limit of the Korean Bronze Age considerably but also provided concrete base to reconsider the origin of Korean bronzeware in the context of the universality of the Eurasian bronzeware. In other words, along with climate change (being cold and dry) and rapid population decline in the East Asia around the 15C BCE, the Seima-Turbino bronzeware tradition spread throughout the whole East Asia, including the Korean peninsula and Maritime Province. Considering that a small bronze ornament at Auraji site of Jeongseon simply played a role to cover a part of a stone necklace and was discarded along with the pit house, the bronzware seems not to have trigger a significant social change and not to have been adopted as prestige goods distinguished from stone implements such as a polished stone dagger at least in the initial stage. The full-scale social change along with introduction of the bronzeware seems to have began to occur after the Middle Bronze Age when the bronzeware was buried in dolmens or stone cists rather than found at pit dwellings, and symbolic items such as a bronze dagger appeared.

      • KCI등재

        17~18세기 시베리아 考古學의 形成과 發展

        강인욱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01 러시아연구 Vol.11 No.2

        Данная работа посвящена историографии археологии в Сибири с древности до 18 веκа, и содержит разные материалы по изучению древности в Сибири. В работе анализируются деятельность натуралистов, знциκлопедистов, музееведов, κраеведов и др. по археологическому исследов-анию и их роль в формирование сибирсκойархеологии. Автор разделяет ее формировании и развитие археологии Сибири на четырь периода. 1) сведения о Сибири до освоения руссκими : Сибирь упомянута в разных письменных источниκах Античного Мира и Κитая. Но, их описание не тольκонеточно, Но и редставляют собоймифологичесκие и фантаичесκие образы, далеκо от совершенного знания о даннойтерритории и ее племенах. Уже в ⅩⅠ в. ново-городцы написали сведения о Петре и юрте за "каменнымпоясом", которые являются первым конкретным описанием о племенах Сибири в их летолетописях. 2) Второйпериод(с конца 16 в. по конец 17 в.) присоединение Сибирн к Россиии знакомство с ее наследием. В этом перноде не появляются конкретныйинтерес к археологии, посколько слабы географическое и историческое знания. Несмотря на данное обстоятельство, в разных документах путешественников фрагментально упоминаются древние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е момументы. Это связано с двумя обстоятельствами : во-первых, Сибирь в целом, а не по отдельным аспектам интересовала Россию, во-вторых, неразвитость научных знанийо Сибири. Следует отметить, что уже в ⅩⅤⅡ в, началась поиски могильного золота в южнойСибири. Парадоксально, раскопки древних курганов археологами, стали одним из источников обогащения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материалов, и привлекли интерес к древности Сибири. 3) Третий Лериод(С конца 17 в.-по первой четверти 18 в.) можно назвать периодом <<зотолоискателей>> и собрания для музейной коллекции, так наэываемая "Сибирская коллекция Βеликого Летра Ι". Сибирская коллекция Летра Ι является уникальным собранием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лредметов в то время. Основная часть зтой коллекции собрана Α. Н. Демидовым, φ.А. Гагариным и князем Черкасским с конца 17 в. до начала 18 в. В 1726 г. вся коллекция передана в Κунсткамеру, которая является первым музеем и означает появление антиквариатизма в России. 4) Четвертыйпериод(со второйчетверти 18-го века до конца 18-го в.) - академические экспедиции и ооснование планомерного изчения. Основными исследователями являются Мессершмидт, Страленбург, Миллер, и Гмелин. В этом периоде положено начало не только сохранению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памятников, но и их научному изучению. Впервые были собраны коллекции древних вещей, проведены первые "настоящие" раскопки, зарисованы и скопи-рованы наскальные рисунки. Появляются научныйметод раскопок и интерпретация памятников с точки зрения. Исторические выводы деляются на конкретном материале, определяются интересные пути решения проблемы происхождения народов Сибири и их культур, и намечаются возможные элементы периодизации древней Сибири на основании тщательного анализа погребального инвентаря и энтографических данных.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