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현대시론에 나타난 ‘영감’의 문제에 관한 연구: 박용철과 조지훈의 시론을 중심으로

        강웅식 상허학회 2016 상허학보 Vol.46 No.-

        In this paper, I intended to examine the problem of inspiration in modern korean poetics by analysing the Poetics of Park, Yong-Cheol and Jo, Ji-Hoon. There are many cases that are controled by a chance in the creative activity. Those figurative expressions such as ‘the voice of the other’ or ‘the invasion of a strange will’ indicate this strange support. The problem of inspiration is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constitutive moments in the poetry. But there are little discussions on the problem of inspiration in modern Korean poetics. The poetics of Park, Yong-Cheol and Jo, Ji-Hoon are very exceptional cases that took an active interest in the problem of inspiration in modern korean poetics. Neverthess, I could not nearly find discussions on their poetics. For investigating the newness and possibility in modern korean poetry, we need to examine the poetics of Park, Yong-Cheol and Jo, Ji-Hoonk that considered the problem of inspiration as the most important among several literary issues. The poetics of Park, Yong-Cheol and Jo, Ji-Hoon are afflicted to the category of the pure literature. The reason for examining their poetics on the focus with the issue of inspiration is not for to provide them with the shelter that are secluded from society in the name of the autonomous art. In this paper I wanted to make a critical description, from the inside, on their poetics that insist on the inherent distinctiveness in the poetic experience and argue its inevitability.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현대시론의 역사적 맥락에서 ‘영감’의 문제가 어떤 수준과 방향에서 검토되었는가 하는 점을 박용철과 조지훈의 시론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고찰하려는 데 있다. 시에서 영감의 문제가 제기되는 이유는 시가 창작이기 때문이다. 시의 창작과정에서는 우연의 지배를 받는 경우가 적지 않다. ‘낯선 의지의 침입’이라든가 ‘타자의 목소리’와 같은 비유적 표현들은 그와 같은 이상한 도움들을 가리키는 것들이다. 영감의 문제는 시의 특수성의 본질 구성적 계기들 가운데서도 가장핵심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 근대시론사의 맥락에서 ‘영감’에 대한 논의가 대단히 희소하다. 박용철과 조지훈 시론의 경우는 그나마 영감을 비교적 중요하게 다룬 예외적인 경우에 해당하는데, 그 문제에 주목해서 그들의 시론을 검토한 논의를 우리는 찾아보기 어렵다. 한국 현대시의 현재성과 가능성을 탐색해 보기 위해서 우리는 우리보다 앞서서 그 나름으로 영감의 문제를 시에 대한 논의의 핵심에 놓고 고민했던 박용철과 조지훈의 시론을 상세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박용철과 조지훈 시론은 순수문학의 범주에 속하는 문학론이다. 영감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의 시론을 검토하려는 것은 그것들에 ‘순수’라는 경계 표시로 구획된 자율적 예술의 왕국이라는 피난처를 마련해 주기 위함이 아니다. 시적 체험에 고유한 특수성을 강조하고 그것의 불가피함을 넘어선 당위를 주장하는 그들의 시론을 그 내부에서 비판적으로 서술해 보려는 것이 이 연구의 의도이다. 순수문학의 지향을 가장 잘 읽어줄 수 있는 분석 도구의 매개를 통하여 그것을 비판적 한국 현대시론에 나타난 ‘영감’의 문제에 관한 연구으로 성찰하고자 할 때 어떤 일이 일어날지 시험해 보자는 생각이 이 연구의 목적 설정의 배경을 이룬다.

      • KCI등재후보

        민중가요의 역사적 의미에 대하여―민중시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강웅식 한국비평문학회 2005 批評文學 Vol.- No.2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the correlativity between ‘minjung-poetry’ and ‘minjung-song’ from 1960 to 2000. In 1980’s, we were eager to change the reality. It appeared in the way of people movement. At that time, many ‘minjung-poetry’ and ‘minjung-song’ was written. Beliefs of the possibility for changing the reality abruptly become weakened in comparison with that time. In this study, the reason for reviewing of critical mind included in ‘minjung-poetry’ and ‘minjung-song’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for practice. Since 1980’s, ‘minjung-poetry’ and ‘minjung-song’ might rashly be responded to demand of direct action without a detailed analysis about the complicated situation. However, those took the experiment in based on the belief that we, as collective subject, had the ability of controlling the social-historical development and manipulating in the desirable ways. Beyond choice between adjusting of new environment and maintaining of old attitude, the issue related with ‘minjung-poetry’ and ‘minjung-song’ is searching for real newness let coordinates system of situation be changed through re-thinking experiment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reality could be exchanged.

      • KCI등재

        전체주의적 반공주의와 순수·참여 논쟁- 이어령과 김수영의 〈불온시〉 논쟁을 중심으로

        강웅식 상허학회 2005 상허학보 Vol.15 No.-

        이 글의 목적은 1960년대 후반에 벌어졌던 이어령과 김수영의 이른바 〈불온시〉 논쟁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문학과 사회의 관계에 관한 문제를 검토하려는 데 있다. 〈불온시〉 논쟁은 문학 장에서의 참여·순수의 문제와 연관된 논의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을 수 있을 정도로 본격적인 수준의 것은 아니었다. 그럼에도 우연스럽게 촉발된 이 논쟁에서 〈참여〉, 〈순수〉, 〈문화〉, 〈정치〉, 〈자유〉 등 문학과 사회의 관계와 연관된 성찰에서는 필수적으로 제기될 수밖에 없는 문제들을 환기하는 기표들이 포섭되었으며, 논쟁의 당사자인 이어령과 김수영은 나름의 논리에 입각하여 그 문제들을 풀어내고자 하였다. 이 논쟁이 한국근대문학사의 맥락에서 중요한 이유는 논쟁의 당사자들이 당대의 현실 지평에 대한 상이한 관점에서 문학의 참여와 순수 문제를 풀고자 하였다는 사실에 있다. 1960년대의 현실 지평이라는 것은 〈반공주의〉가 환기하는 우리의 역사·사회적 삶의 지평과 다르지 않다. 사회를 개인적인 경험과는 다른 차원에 존재하는 것으로 설정할 경우 문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성찰은 피상적이며 추상적인 수준을 벗어날 수 없게 된다. 이어령과 김수영의 〈불온시〉 논쟁은 〈전체주의적 반공주의〉라 칭할 수 있는 이데올로기의 장과 문학의 장의 접점과 연관된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해준다. 이 논쟁과 연관된 논의가 없었던 것은 아니나 그 논의들의 문제의식이 문학 장에 제한되어 있었다는 필자 나름의 판단에 따라 이 글에서 재론하였다. 이 글에서 분석과 논증에 가장 크게 주의를 기울인 부분은, 김수영이 말한 〈참여적인 것〉, 〈전위적인 것〉, 그리고 〈불온성〉의 의미론적 위상을 밝혀내는 것이었다. 김수영이 의도한 것들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젝이 그레마스의 〈기호학적 사각형〉을 변형하여 만든 〈의무론적 사각형〉을 참조할 필요가 있다. 〈의무론적 사각형〉(본문참조)에서 〈Ⅹ〉는 〈규정되지 않았다〉는 의미에서 〈임의적〉이지만 그렇다고 단순히 〈허가된 것〉은 아닌 그런 자리를 차지한다. 이른바 김수영이 말 하는 〈전위문학〉 또는 〈전위성〉이 차지하고 있는 자리가 바로 〈Ⅹ〉의 자리이다. 이어령을 비롯하여 여러 문인들이 주장하는 이른바 〈순수문학〉은 〈허가된 것〉의 자리에 배정할 수 있다. 〈허가된 것〉의 자리는 〈규정된 것〉과 〈금지된 것〉의 대립에 의하여 생겨난 것이다. 다시 말해 〈규정된 것〉의 부정의 부정에 의하여 생성된 자리이다. 〈예술은 창조〉라는 명제를 순수문학론자들이라고 해서 인식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그들이 말하는 〈순수〉 역시 우리의 일상생활을 규정짓는 보편적인 거짓에 파묻혀 살아가는 자리, 즉 〈규정된 것〉을 지향하지 않는다. 〈순수〉 역시 나름으로는 〈규정된 것〉을 부정한다. 그런 맥락에서 〈순수〉 역시 어떤 〈우연성〉의 자리를 추구하지만, 그것은 기존의 장이 그 한계를 설정하는 〈가능성의 범위〉, 말 그대로 〈허가된 것〉에 불과하다. 그러한 〈가능성〉은 〈개량화되고 온순해진 우연성, 독침이 제거된 우연성〉이다. 그것은 곧 지배적이고 보편적인 거짓의 일부가 되고 만다. 이와 비교할 때, 김수영이 말하는 〈전위문학〉은 〈기존 장의 한계에 도전하는 미증유의 것이 폭발적으로 출현하는〉 장소인 〈Ⅹ〉의 자리에 위치한다. 〈전위문학〉에 의하여 생성 ... In this paper, I intended to examine the literature-society relationship by examining the argument on "subversive poetry" between Yee Ô-ryông and Kim Su-young. The argument was not a full-fledged one, but it included such significants as "participation", "purity", "culture", "politics", and "liberty", which were indispensible to discuss the literature-society relationship. In terms of Korean literary history, the argument is quite important in that the disputants illustrated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reality of the time. The 1960s was the time of anti-Communism. When the society was considered apart from individual experiences, speculation on the literature-society relationship could not help falling into superficiality and abstractness. The argument between Yee and Kim provided concrete sources related with the contact point of literature and the anti-Communism Ideology which tended to be totalitarian in the period. And this paper gave an attention to this contact point, whereas former re-searches on the same argument mainly focused on its literary part. This paper is specifically focused on the semantic phase of what Kim called "participation", "avant-garde", and "subversiveness". To understand these words, I got a reference from the "deontological square", which Slavoj ižek led out of the "semiotic square" of A. J. Greimas. In the deontological square, "X" is located in the status of what is not "pre-scribed", thus facultative, as well as what is not simply "permitted". What Kim called "avant-garde literature" or "avant-gardeness" was located in the same status like the "X". The "pure literature", what Yee Ô-ryông and other literati argued, could stand "the permitted" in this perspective. The status of "the permitted" brought out of the confrontation of "the prescribed" and "the prohibited". In other words, it came from a denial of denying "the prescribed". The base of pure-literature"s supports also was conscious of the proposition that "art is creation". The "pure" they claimed wasn"t pointed to "the prescribed", which meant being unconsciously immersed in the ruling universal Lie. To the contrary, "the pure" also disavowed "the prescribed" with its own way. In this context, "the pure" could be considered to point to certain contingency too. However, this contingency was no more than "the permitted" in that it was just in the "boundary of possibility" restricted by the ready-established realm. This "possibility" could be said a "gentrified", "pacified", and "sting plucked out" contingency, which easily turned into the part of the ruling universal Lie. Relatively, what Kim Su-young argued avant-garde literature was located in the status of the "X", where the unknown burst out challenging the restriction of the ready-established world. The realm created by avant-garde literature was neither prescribed nor permitted. It held up to ridicule the Prohibition, laid bare its hidden mechanism, without thereby changing into a neutral "permissiveness". When something unknown stands the place of the "X", it cannot help being considered as "subversive" in the perspective of "the prescribed" or "the permitted". Kim Su-young"s avant-garde "subversiveness" stood on the very status of the "X", and it was over the context of the "pure-participation" controversy at the time.

      • KCI등재후보

        김수영의 시 「풀」에 나타난 상징적 의미와 그 초월성

        강웅식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4 民族文化硏究 Vol.40 No.-

        이 글의 목적은 김수영의 시 풀을 새롭게 읽음으로써 기존의 이해와는 다른 해석을 제시하려는 데 있다. 이 글에서 풀을 다시 읽어야 하는 이유는 기존의 해석들이 풀의 심층 의미를 제대로 밝혀내지 못하였다는 필자 나름의 판단 때문이다. 이 글에서 밝혀진 일차적인 사실은, 풀에 대한 검토와 평가를 목적으로 이루어진 기존의 연구들이 작품을 이루고 있는 다양한 요소들에 대하여 지나치게 소홀했다는 것이다. 그들은 작품에서의 다양한 요소들에 대한 검토를 하지 않은 채, 개인의 주관적인 인상을 작품에 과도하게 투사함으로써 여러 가지 해석상의 오류를 범했던 것이다. 그러한 오류들 중에서 가장 크게 문제가 되었던 것은 첫째 연 3행과 4행의 ‘풀은 눕고/드디어 울었다’에 대한 ‘바람에 밀려 쓰러짐이 슬퍼 운다’라는 식의 해석이었다. 그러한 해석이 타당한 것이라면 셋째 연 끝 행의 ‘풀뿌리가 눕는다’라는 문맥은 당연히 ‘풀뿌리가 뽑힌다’는 의미로 읽혀져야 할 것이다. 본문에서도 강조가 되었지만, 만약 시인이 풀에서 의도하는 것이 그러한 내용이었다면 우리에게는 하등의 문제나 하등의 시가 남지 않았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분명히 우리는 풀의 세 번째 연 끝 행의 강도를 누리지 못했을 것이다.일차적으로 풀은 작품 창작의 동기가 된 것으로 추측되는 환상을 통해 현실의 경험세계와 대립하고, 더 나아가 그 결구를 포함한 작품의 구조를 통하여 경험적인 의미들이나 경험세계 자체와 대립하는 어떤 영역을 본질적으로 구성한다. 풀이 나름으로 획득한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움직임에 대한 서술이었던 ‘풀이 눕는다’는 풀이 바람에 나부끼는, 수동적이고 타율적인 모습에 대한 관찰의 결과였다. 그것은 언제나 바람이 불어야만 풀이 움직인다는 현실의 경험세계로 다시 되돌아 갈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다. 그러나 ‘날이 흐리고 풀뿌리가 눕는다’는 서술은 경험세계에 대한 모사의 성격을 완전히 탈각함으로써 존재하지 않는 어떤 것이 나타나게 한다. 요컨대 이제 풀의 능동적 자기 촉발의 움직임은 암호와 같은 것이 된다. 그것은 바람이 부는데도 불구하고 풀이 스스로 움직이는 것과 같은 환상처럼 직접적으로 현존하는 듯한 형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암호와 같기에 쉽사리 해독할 수 없지만, 그것은 그 맥락에 대한 침잠을 통해 그 암호가 말하는 바를 이해할 수 있게 된 자들에게만 비로소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어떤 움직임에 대한 모습을 환기시켜 준다. 풀에서 풀의 상징은 민중이 아니다. 그것은 그 어떤 것도 상징하지 않음으로써 오히려 하나의 상징이 된다. 역설적이게도 풀에서 풀의 상징은 작품의 그러한 초월성 그 자체일 것이다. In this study I tried more sharp and searching analyses giving over the superficial and impressionistic point of views which have been the ordinary approach till now. The first fact proved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that the previous studies which were written aiming at the overseeing and valuation of the poem Grass paid too little attention to the various motives of which this poem is composed. In other words the previous studies have many fallacies in interpretation in neglecting many various components of the poem and having too subjective impression about it. The most profound fallacy lies in the analysis of the 'wind' in the space of imagination which is so-called poetic the wind in the poem Grass as tremendous tempest to be able to root out the grass. Specially they absurdly interpreted the third and forth lines of the first clause: the grass sobs because of being pushed down by the wind. If the interpretation were true, it will true that the context of the root in the grass lies in the last line of the poem Grass is the root is rooted out by the wind. If the poet intended like this in his poem, we will have no problem and no poem. In other words we will never have the degree of strength of the last line of the poem Grass. As I have made it firm, the wind in Grass is not strong. It can only shake the grass. So we must give attention not to the degree of the wind but to the relation between the wind and the movement of the grass. What Kim Soo-Young intended through the poem Grass is search for existence. That was adventure searching for the power of existence to be able to transcend biological fat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김수영 시론 연구 -'현대성'과 '부정성'의 의미를 중심으로-

        강웅식 상허학회 2003 상허학보 Vol.11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Kim Suyông’s literary thought that is well balanced between political and aesthetical concern in lit- erature. In 1960s, Kim wrote several essays highly important in modern Korean literary thought. Most scholars so far have sorely focused on his idea of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writings. Unlike these scholars, I investigated him assuming that his thought on poetry is based on his belief that literature is highly political as well as aesthetical. Besides, I claimed that his thought on poetry is at the result of his profound understanding of modernity and the spirit of denial. I also focused on the change of his thought showed at the end of his life. In order to confirm such change, I looked over the influence of the diverse Western literary thoughts revealed in his works. In his early days Kim was influenced from Allen Tate, but in his late days he became highly interested in M. Heidegger’s aesthetics. At the end of this paper I tried to show how his thought was changed after he encountered Heidegger. 이 논문의 목적은 김수영 시론의 특징적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김수영은 1960년대에 우리 시론사에서 매우 중요하게 평가되는 글들을 발표하였다. 김수영의 시론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참여문학의 맥락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그의 시론은 참여문학과 순수문학을 아우르는 독특한 관점에 토대를 두고 있다. 김수영 시론의 독특함은 현대성과 부정성에 대한 김수영의 도저한 이해에 있다는 것이 이 논문의 주요한 논지이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김수영이 작고하기 이전에 시도한 변화의 양상에 주목하였다. 그러한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 김수영 시론과 서구의 다양한 시론들과의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김수영은 알렌 테잇(Allen Tate)의 영향을 받았으나 후기에는 하이데거(M. Heidegger)의 예술론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이 논문에서는 현대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에 바탕을 둔 김수영이 하이데거의 예술론과의 만남을 통해 시도했던 변화의 양상에도 주목하였다.

      • KCI등재

        김수영 시의 예술성에 관한 연구 : 그의 사물시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강웅식 상허학회 2017 상허학보 Vol.5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rtistic value in Kim, Soo-young’s Poems by focusing on the consideration of his ‘Dinggedicht’. The artistic value is an artistic quality which works of art should have in themselves. It can become a synonym for the newness or the originality in a work of art by the reason that a work of art is the product of artist’s creative act. Thus the artistic value in a poem can mean something that a poem should have as an event in the meaning that something new began its existence. By such that reason, the question of the artistic value in Kim, Soo-young’s poems is not different from the question of the newness in Kim, Soo-young’s Poems. In this paper I intended to determine those features and significances in Kim, Soo-young’s Poems by focusing on the consideration of his ‘Dinggedicht’. “A PetalII”, “Snow,” and “Grass” are poems which are intensively analysed in this paper. What is foregrounded in Kim, Soo-young’s ‘Dinggedicht’s is the ‘elaboration’, some ethical works that are supporting his poetic of alchemy, not sensuous pleasure or emotional sorrow or moral rules associated with thing’s figuration. His ‘Dinggedicht’s(especially the cases of “Snow” and “Grass”) also can become a reflection on the power of the poetic imagination to achieve the effects that those poems themselves achieve. His ‘Dinggedicht’s, in their deployment of rhetorical operations, may be read as explorations in poetics. The poetic imagination Would be seeing the world anew, grasping unexpected relationships and, perhaps, appreciating what to other observers would be trivial or oppresive, finding profundity in formal appearance. A vision based on such that poetic imagination can affect things until those things reflect human’s power and active affection as his nature, such as in the case of “Snow” and “Grass”. 이 글의 목적은 김수영의 사물시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그의 시의 예술성을 검토하려는 데 있다. 예술성이란, 말 그대로 예술작품이 그 바탕에 갖추고 있어야 하는 예술적인 특성이다. 예술작품은 예술가의 창조활동의 산물이니 예술성은 창조성 혹은 독창성, 즉 새로움과 동의어가 된다. 따라서 어떤 시의 예술성은 그 시가 일찍이 없었던 새로운 것의 출현, 즉 새로운 무언가를 개시하는 사건으로서 갖추고 있어야 하는 어떤 것을 가리킨다. 김수영 시의 예술성에 대한 물음은 그의 시의 새로움에 대한 물음과 다르지 않다. 이 글에서는 사물들을 소재로 한 김수영의 시들을 분석하여 그것들의 새로움의 구체적인 특징과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 글에서 집중적으로 분석된 시들은 「꽃잎(2)」, 「눈」, 「풀」이다. 김수영의 사물시에서 돌출되는 것은 어떤 사물의 형상과 관련된 감각적 즐거움이나 정서적 슬픔이나 도덕적 원칙이 아니라 그의 연금술의 시학을 떠받치고 있는 윤리적 작업, 즉 ‘정신적 고투의 작업’이다. 또한 그의 사물시는 시 자체가 이루어내는 효과를 달성하는 시적 상상력의 힘에 대한 탐구의 산물이다. 시는 그 바깥에 있는 어떤 사태에 대한 묘사나 시인의 속내 이야기에 대한 서술이 아니라 시학 자체에 대한 탐구일 수 있기 때문이다. 세계를 새롭게 보고, 사물들 사이의 예상치 못한 관계를 파악하며, 다른 관찰자들이 사소하거나 따분하다고 여겼던 것들을 새롭게 평가하고, 겉보기와는 다른 깊은 의미를 찾아내는 것이 시적 상상력일 것이다. 그와 같은 시적 상상력에 입각한 비전은 사물들을 변용시킨다. 사물들이 인간의 힘을 반사할 때까지, 즉 인간의 본성인 잠재적 역량과 능동적 변용 능력을 반사할 때까지 말이다. 「눈」과 「풀」의 경우처럼.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