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환경관리비 계상방안의 법제화를 위한 고찰

        강영현 한국환경기술인연합회 2001 환경기술인 Vol.174 No.-

        환경영향평가는 개발사업으로부터 발생되는 환경상의 영향을 미리 예측하고 사업시행에 따른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저감방안의 강구와 향후 관리방안을 제시하여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개발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도이며 또한 환경영향평가는 환경을 보전하는데 일익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환경영향평가에서 환경의 악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한 각종 저감시설의 설치 및 운영을 위한 비용이 계획단계에서 적절하게 반영되지 않고 있어, 이에 따른 민원의 발생으로 건

      • 자동차 운행시 터널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저감방안

        강영현,이영수,박영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3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3/re-22 No.-

        1990년대 이후 자동차로 인한 대기오염 문제가 하나의 사회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하였으며,수도권 등의 대도시 지역에서는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양이 전체의 80%를 상회하게 되었다. 특히, 터널과 같은 특수한 구조물에서는 구조물 내부로 배출된 오염물질이 터널 출구를 통해 배출되므로 그 영향 정도 및 범위가 일반 도로에 비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수행된 터널 관련 연구는 터널내부의 공기질에 초점이 맞추어 진행되었으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주변 지역에 미치는 영향과 그 저감방안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터널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의 배출량 산정기법과 영향예측기법, 그리고 저감시설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현재 가장 합리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자동차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배출량 산정에 이용되는 배출계수는 1990년도에 발표된 자료로서 1980년대 운행차를 대상으로 한 배출계수이며, 이는 과대예측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1990년 발표된 자동차배출계수와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 발표된 자동차 배출계수, 그리고 제작차 배출허용기준 등에 대한 비교 · 분석을 수행하여 가장 합리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배출계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외국의 배출계수는 배출허용기준이 우리나라와 상이하고 노후차량의 비율, 도로 조건, 운전자 습관 등이 우리나라와 차이를 나타냄으로 인해 1990년 배출계수를 대신하여 사용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짧게는 5년, 길게는 20년 후의 영향예측을 수행하는 환경영향평가에서는 자동차배출허용기준을 배출계수로 적용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터널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영향 예측기법 중 가장 중요한 사항은 터널출구에서의 배출특성을 고려했는지의 여부라 할 수 있다. 터널 출구에서는 터널환기와 교통 흐름에 의한 터널 토출풍속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고려 여부에 따라 터널 주변 지역에서의 영향 정도가 달라지게 되며, 터널 출구에 근접할수록 그 영향정도가 커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향예측 기법들이 얼마만큼 터널 출구의 배출특성을 잘 고려하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일본에서 개발된 분류/등가배출강도모델이 터널 출구의 배출특성을 가장 잘 표현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분류/등가 배출강도 모델은 확산계수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터널출구로부터 수백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는 그 적용이 불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측지점이 터널출구로부터의 거리가loom이내일 경우에는 분류/등가배출강도모델을 사용하고 200m 이상일 경우에는 가장 일반적인 대기확산모델인ISC3 모델(volume source)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예측 방법이라는 결론을 도출해냈다. 터널에서 오염물질은 유량이 크고 저농도라는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일반적인 대기오염저감시설과는 차이를 갖는 저감시설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입자상 오염물질의 처리 시설인 전기집진기가 설치된 사례가 있으나 가스상 오염물질에 대한 저감시설의 설치 사례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본과 유럽을 중심으로 터널에서 가동 중인 저감시설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 Since 1990's the air pollution caused by vehicles has become a social problem and the pollutants caused by emission from vehicles in large cities including Seoul metropolitan area exceeded 80% of total pollutants. Particularly, in case of specific constructions such as tunnels, the pollutants emitted in the tunnels are emitted through tunnel portals and the level and range of their impact may be considerably larger than that of common roads. However preceding domestic studies on tunnels were made focused on the quality of air in tunnels, and the studies focused on the impact of pollutants emitted Com tunnel portals on near area and the countermeasure for reduction of the impact were very poor. Thus this study was made to suggest the most useful method through consideration of the standard of emitted pollutant calculation, the method to estimate the impact, and their control facilities. The emission factor used in calculation of emitted quantity of pollutants emitted by vehicles was the one reported in 1990's which was targeted 1980's vehicles on the roads, and it has been pointed out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ause of over-estimation. This study intended to suggest an emission factor that may be used most reasonably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mission factors of vehicles reported in 1990's, the emission factors of vehicles reported in the U.S.A., Japan, and Europe, and permitted emission standard of new vehicles produc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mission factors or foreign countries were found to be difficult to substitute1990's emission factor because their permitted emission standards are different from that of ours and because the share of old vehicles, condition of roads, and the habit of driver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our country. Accordingly, it was resulted that the permitted emission standard of vehicles is adopted as emission factor is most reasonable for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for estimation of Impact for five years at least and 20 Tears at most. The most important in estimation of the impact of pollutants emitted from tunnel portals i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omission from tunnel portals. There is tunnel exit velocity at the exits of tunnels caused by tunnel ventilation and flow of vehicles; the impact on near area Is different by whether or not of consideration of these factors and the nearer to tunnel exits, the larger the impact. Thus this study was performed focused on how much impact estimation methods Imply the characteristics of emission from tunnel exits and the classification/equivalent emission strength model of Japan was found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emission from tunnel exits most excellently. But the classification /equivalent emission strength model was found to have a problem in dispersion coefficient and to be not applicable at the places with several hundred meters of distance from tunnel exits. Thus the result was made in this study that it is the most reasonable estimation method to use classification/equivalent emission strength model, in case of the place with not more than loom of distance from tunnel exits and to use ISC3 model (volume source), the most common atmospheric dispersion model, in case of the places with more than loom distance. The pollutants from tunnels have the property of (mass flow) [large oily substances] and low density and a control facility is needed which is different from common air pollution control facilities. There has been an example of installment of electrical precipitator, a particulate pollutant treatment facility, in the country, however, there has not been any example of installment of gaseous pollutant control facility yet.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ocused on control facilities operated in Japanese or European tunnels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ifferentiation by easiness in construction, economy, and efficiency, for maximum objectification of the analysis of

      • ATM 망에서 개별 가상 셀 손실 확률을 이용한 CAC에 관한 연구

        김유석,김장복,강영현 弘益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1996 科學技術硏究論文集 Vol.7 No.2

        This paper is about analyzed individual virtual cell loss probability and virtual bandwidth method using virtual link capacity for CAC. Since ATM networks have to accept various traffics, it is important to obtain the statistical multiplexing gain, But deterioraton of Quality of Service(QoS) can occur due to it. So the guaranty of QoS and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resource are the key subjects in the reasearch. It is necessary to satisfy both conditions, but there are trade offs in these two. This paper shows the boundary of these trade offs, and these results are adopted to traffic control, and are applied to CAC.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