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아이트래킹 평가 방법과 경관 형용사 평가 비교 연구- 대학 캠퍼스 야간경관을 대상으로 -

        강영은,김송이,백재봉 한국조경학회 2018 韓國造景學會誌 Vol.4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visual perception and to extend the landscape evaluationarea by comparing eye-tracking evaluation and landscape adjective evaluation methods towards various type of nightscap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showed that ‘blink count’, ‘fixation duration average’, and ‘saccade duration average’ of eyetracking measurements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eautiful’, ‘interesting’, ‘accessible’, ‘satisfying’, and ‘safe’regarding landscape adjectives. In addition, there was a tendency toward areas of interests (AOIs) depending on 12 differentnightscapes, which showed that the gaze was fixated by focusing on certain landscape elements such as ‘door’ and ‘sig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ye-tracking method is an effective tool to specify the evaluation of ‘landscape elements’rather than the ‘whole landscape’ and can be used as a basis to support landscape preference theories, which has beenpresented as conceptual only. In this way,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various applicationsof eye tracking as an objective landscape evaluation technique, and it is possible to suggest specific implications to landscapeplanning through the accumulation of continuous research results.

      • KCI등재
      • KCI등재

        산림 휴양 관광목적지 경관 기대가 경관 만족도 및관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 국립공원공단 생태탐방원을 중심으로 -

        강영은,김태린,김주현 한국경관학회 2023 한국경관학회지 Vol.15 No.1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landscape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Ecological Exploration Center from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KNPS).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scape expectations, landscape preference, overall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stay time on landscape preference was analyzed to do this. The subjects for this evaluation were 2,440 people who had experience visiting Ecological Exploration Center before. The path model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scape expectation, preference, and revisit intention. Also, T-test and ANOVA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the stay time and demographic variables with landscape preference. As a result, we found that Hallyeohaesang Ecological Exploration Center had high landscape expectations and preference scores. Ecological Exploration Centers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ence compared to landscape expectations were additionally discusse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overall satisfaction ha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revisit intention;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scape expectation with overall satisfaction for tourist attraction was not proven. The effect of landscape preference depending on stay time was derived as meaningful. Specifically, it was verified that visitors who stayed for one night or more had higher landscape preferences than visitors who did not stay overnight. Lastly, it was found that ‘married’, ‘visitor with family’, and ‘professional and office worker’ was higher than other groups on landscape preference depending on demographic variables.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verifying the landscape preference theory and the expectation-satisfaction theory of tourist destinations. Moreover, it is judged that this result can direct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visitors and landscape marketing strategies of Ecological Exploration Center.

      • KCI등재
      • KCI우수등재

        Application Strategies of Eye-tracking Method in Nightscape Evaluation

        강영은,김민태,Kang, Youngeun,Kim, Mintai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4

        도시이미지 형성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국가 및 지자체별 야간경관계획 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는 추세이지만, 현재까지 야간경관 관련 연구 부족 및 객관적인 평가 방법의 부재로 체계적인 야간경관계획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피조사자들의 눈의 움직임 평가 및 설문조사를 통해 야간경관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바람직한 야간경관계획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아이트래킹 기법(Eye-tracking method)이 경관 평가에 있어 객관적인 평가 방법이 될 수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미국 버지니아 공과주립대 캠퍼스이며, 다양한 야간경관 이미지 중 전문가 평가를 통해 대표 야간경관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야간경관 이미지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된 변수는 선호도, 안전함(두려움), 선명도이며, 눈의 움직임 분석을 위한 변수는 고정 지속시간(fixation duration), 순간적 움직임 지속시간(saccade duration), 주사경로 길이(scan path length), 동공 크기(pupil size)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통하여 야간경관의 유형에 따라 선호도, 선명도, 안전함(두려움)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선호도, 안전함, 선명도 사이에 정적인 영향관계가 있음을 도출하였다. 둘째, 야간경관의 유형에 따라 눈의 움직임 변수들(고정 지속시간, 지속시간, 주사경로 길이) 차이가 유의함을 파악하였으며, 상대적으로 오픈된 경관이 폐쇄된 경관보다 눈의 움직임 변수 수치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눈 움직임 강도 지도(Heat map) 비교 분석에서는 피조사자들이 무의식적으로 응시한 강도 지도 결과와 선호되는 구역 및 선명하게 보이는 구역 응시를 지시했던 강도 지도 결과가 유사하게 나타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사람들이 무의식적으로 야간경관을 응시할 때, 다른 구역에 비하여 주로 선호하고, 선명하게 보이는 구역을 강하게 응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합해볼 때, 본 연구에서는 야간경관의 유형에 따라 전체적인 선호도, 선명도, 안전함(두려움) 등의 지각하는 특성 및 눈의 움직임 차이를 검증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야간경관 구역별 강하게 응시하는 구역과 해당 구역이 의미하는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경관 평가에 있어 아이트래킹 기법 적용하여 환경별 유의미한 차이를 입증했다는 데에 의미하는 바가 크며, 향후 경관 평가에 시사점 제시 및 야간경관의 이용 만족도 향상을 위한 야간경관계획 시 전략적으로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s a trend towards vitalization of nightscape planning businesses nationally and locally as well for city image making and activation of regional economy, but there is still no systematic nightscape planning going on for lack of relevant researches and objective evaluation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guideline for nightscape planning by conducting an eye tracking experiment and survey for recognizing the characteristics of a nightscape. Furthermore, the authors intended to verify the eye-tracking method as a tool for landscape evaluation. The research site was restricted in the campus of Virginia Tech, VA, and those were selected by experts' survey among various types of nightscape images. The variables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nightscape images selected were 'preference', 'safety(fear)' and 'clearness'. 'Fixation duration', 'saccade duration', 'scan path length', and 'pupil size' were selected as the eye movement measur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outcome found wa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haracteristics(preference, safety and clearness) of a nightscape by MANOVA, and these variables were correlated positively by Pearson's correlation. Secondly, there were differences on fixation duration, saccade duration and scan path depending on the nightscape setting statistically. Also, the eye tracking measurement in an open setting was recorded lower than enclosed settings. In the result of a heat map, we found the meaning of the fixated areas on both viewing without intention and viewing intentionally. It turned out that the fixated areas were consistent with the areas the subjects felt preferred and clarity in all of the nightscape images, which means people usually focus on what they prefer and see clearly in a certain nightscape. Based on this result and previous studies, the authors could make a conclusion that eye tracking method can apply to evaluate nightscape settings in terms of analyzing the whole characteristics and finding specific points for the detailed analysis as well. Therefore, these results can contribute by suggesting nightscape planning, implication of the landscape evaluation, and implication of the eye tracking study.

      • KCI등재후보

        카드분류법을 통한 농촌관광자원 유형 분류 -농촌어메니티자원 DB를 중심으로-

        강영은,박미정,김상범,김은자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2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6 No.2

        90년대 후반 이후 농촌관광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높아지면서 농촌관광과 연관된 연구가 다방면으로 증가하게 되었고 이 가운데 농촌관광자원의 유형을 구분하는 연구도 늘어나게 되었다. 어느 분야를 막론하고 대상 자체의 유형을 구분하는연구는 해당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초석을 만드는데 크게 기여해왔다. 농촌관광자원의 유형을 구분하는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왔지만 소비자들의 직접적인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채 전문가적 관점이나 통계적 유사성에 의거하여분류되어왔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실제 관광자원을 이용하는 이용자 중심의 시각에서 체험 중심의 농촌관광자원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를 위하여 농촌어메니티자원 DB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마을별 관광자원을 수집하고카드 분류법(card sorting test)을 실시하였다. 카드 분류법의 피조사자는 농촌관광의 경험이 있는 대학생 32명을 선정하여진행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전문가 설문을 통하여 농촌자원유형 분류를 검증하였다. 조사 결과 상위 항목에서는 ‘체험하기’,‘지역향토음식 먹기/만들기’, ‘숙박하기’, ‘주변관광/경관감상’, ‘레져 즐기기’, ‘예술활동하기’의 6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하위항목에서는 상위항목의 ‘체험하기’에서만 분리되는 특징을 보였으며 ‘지역자원활용체험’, ‘자연체험’, ‘전통체험’, ‘수확/채집체험’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는 특징을 보였다. 본 연구는 농촌관광을 하는 관광자들의 만족도 제고와 관광자원에 대한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농촌관광자원 유형 분류는 농촌관광자원 및 지역자원을소개하기 위한 홍보자료 및 웹, 앱 메뉴 설정 등에 이용되는 등 향후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As the interest in rural tourism has been increasing since the late 1990s, the research associated with rural tourism has increased, including research on the classification of rural tourism resources. The research classifying these resources has proved useful to many other studies. Although such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r a long time, they have expressed only experts’ perspectives and been supported by statistics, without reflecting on users’ opinions. Given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classify rural tourism resources by focusing on the rural activities for tourists who use those tourism resources. To achieve this, each study participant proceeded to collect tourism resources by using a rural amenity resources database, and a card sorting test was conducted. Thirty-two people who had previously gone sightseeing in the rural areas were chosen as participants in the card sorting test. After the card sorting test was complete, the results were reviewed by experts. These results yielded six categories: doing nature activities, eating and cooking local dishes, putting up (overnight stays), going sightseeing/appreciating the landscape, enjoying leisure activities, and doing artistic activities. In the doing nature activities category, there were four subcategories: experiencing local resources, experiencing nature, experiencing tradition, and harvest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satisfac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tourists who visit rural areas. Thus, the classification of rural tourism resources developed by this study will be widely used to establish the framework or contents of websites, applications, and so on, for promoting rural tourism resources and local resources.

      • KCI등재

        농촌개발정책이 농촌경관 변화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강영은,최동욱,홍성희,정윤희,김상범,임승빈,Kang, Young-Eun,Choi, Dong-Wook,Hong, Sung-Hee,Jung, Yun-Hee,Kim, Sang-Bum,Im, Seung-Bin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6

        본 연구는 근대화 이후 급격하게 변천되어온 우리나라 농촌지역 원형의 모습과 이의 변화양상을 고찰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근대 이후 농촌지역의 변천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근대화 과정에서 나타난 한국 농촌농촌경관 변화의 보편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나아가 향후 농촌경관의 보전 및 관리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 목적이다. 농촌경관의 변화를 면밀히 파악하기 위한 경관유형은 해당 경관이 입지하고 있는 장소 및 속성에 따라 주거경관, 생산경관, 녹지경관, 수변경관, 가로경관, 상징 및 신앙경관의 총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이의 유형별 총체적인 변화 내용 및 과정을 분석하였다. 문헌조사 및 현장조사에 의하여 도출한 경관의 변화 양상은 크게 경관 요소의 형성, 변경, 이전, 손실, 복원의 5가지 유형으로 도출할 수 있었으며, 경관의 전체적 구조 및 구성체계 등의 거시적 변화에서부터 개별 경관요소의 형태, 재료, 크기, 색채 등의 미시적 변화에 이르기까지 복합적인 경관변화가 지속되어온 것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농촌개발정책에 의한 농촌경관의 변화를 거시적 차원에서 분석한 연구로, 개발정책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농촌마을에 적용시키기 어렵다는 것이 한계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농촌개발정책의 흐름과 경관변화간의 상응관계에 주목하여 변화 경향을 파악함으로써 농촌경관계획 및 관리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기초로 향후 연구는 개발정책으로 인한 경관변화뿐만이 아니라 사회 경제적 요소 등 다양한 측면으로 인한 변화 양상을 고찰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basic research which aims to compare and analyze changes in rural areas in modern tim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the Korean rural landscape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of the rural landscape. To help in understanding the rural landscape systematically, it should be divided into six types: housing landscape, cultivation landscape, green landscape, waterside landscape, streetscape and symbolic and religious landscape. According to this step, the contents and the procedures of changes were analyzed generall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 the styles of changes were deduced to be formation, alternation, relocation, damage and restoration on landscape elements. Lastly, it was concluded that complex changes of landscape in rural areas from the government's development policy have been continued from macroscopic changes like overall structure and system of landscape to microscopic changes like shape, material, size and color of each landscape element. Rural villages which have not had the government's development policy applied to them may not be appropriate for this study. Howeve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an suggest the direction for desirable rural planning. Future studies need to consider landscape change through not only the development policy but also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