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연한 단일 링크 로봇의 제어기 설계에 대한 연구

        강신천,박용운,고정호 대한전자공학회 2007 電子工學會論文誌-SC (System and control) Vol.44 No.3

        This Paper deals with the synthesis of absolutely stabilizing fixed order controllers for Lure-Postnikov systems. Lure-Postnikov systems are frequently encountered in mechanical engineering applications. Analytical tools for synthesizing stabilizing fixed structure controllers, such as the PID controllers examining the absolute stability of Lure-Postnikov systems, have recently been studied in the literature. However, tools for synthesizing controllers of arbitrary order have not been studied yet. We propose a systematic method for synthesizing absolutely stabilizing controllers of arbitrary order for the Lure-Postnikov systems. Our approach is based on recent results in the literature on approximation of the set of stabilizing controller parameters that render a family of real and complex polynomials Hurwitz. We provide an example of a robotic system to illustrate the procedure developed. 대부분의 공학 시스템은 비선형 시스템이지만 비선형 요소가 어떤 바운드된 섹터 내에서만 존재할 때 이러한 비선형 시스템을 통상 Lure-Postnikov system이라 부르며 기계 시스템에서 자주 직면하게 된다. Lure-Postnikov system을 안정화 시키는 제어기를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그동안 상당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PID 혹은 저차 제어기와 같은 고정된 구조를 갖는 제어기의 설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실수 다항식과 허수 다항식의 패밀리를 Hurwitz 다항식으로 만드는 제어 변수의 조합을 선형 부등식을 통하여 구하는 최근의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Lure-Postnikov system을 안정화 시키는 제어기를 체계적으로 설계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방법은 무기체계 시스템에서 흔히 쓰이는 유연한 단일 링크를 갖는 로봇 시스템에 적용하여 임의의 차수의 제어기를 체계적으로 설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교수·학습자료 질 관리 시스템의 개발

        강신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7 No.4

        교육인적자원부(2004)의 이러닝 학습체제 구축을 위한 실태 및 요구조사에 따르면 교수·학습 자료의 질에 대한 심각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총 4717명 중 1775명(37.68%)이 현재 교수·학습 자료의 질적인 문제가 심각하다고 응답하였다). 뿐만 아니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연구(2002)에 따르면 웹 사이트, 기관 소장 자료, 그리고 교사 개인이 서비스하는 자료들 7만 건 중 약 8.7%에 해당하는 자료만이 우수 자료로 평가되었다. 현재 유통·보급되는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질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이를 뒷받침하는 구체적인 정책적 대안이 제시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즉, 체계적으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내용적인 질 관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기존 혹은 신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해 내용적 질 관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개발된 교수·학습자료 질 관리 시스템은 16개 시·도를 포함하여 국가 수준의 질 관리 체제 수립을 위한 기초가 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실질적인 질 관리가 이루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f we followed to be based on the result of survey for researching on the actual condition about e-Learning of the MOE(2004), the critical problem has been suggested managing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37.68%(1775/4717)). If we also reviewed the research of the KICE(2002), the superior material's rate of 70,000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of the web site, the educational organization, and teachers was 8.7%. There was some suggestions about the quality problem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 but there wasn't the alternative policy: there wasn't the systemic program for managing the messag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alternative system for managing the messag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e alternative system of this study's result will be the basic to build the system for managing the messag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 expect that my system will be the useful tool for managing the messag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 KCI등재

        웹 기반 학습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적응적 코칭 피드백 설계원리의 탐색

        강신천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6 No.1

        최근 웹 기반 학습과 관련한 연구가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진행되고 있다. 백영균 (1999)은 웹을 통하여 제공되는 학습자의 학습 과정을 지원하는 사태를 이용하여 학습자가 자기 교수에 따라 학습하는 형태를 웹 기반 학습으로 정의하고 있다. 웹 상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학습 상호작용이다. 즉, 학습자:학습자, 학습자:전문가 (교사), 학습자:시스템(컨텐츠, 프로그램 포함) 등 다양한 상호작용을 어떻게 설계하는가의 문제가 웹 기반 학습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한편, 피드백은 학습자들에게 반응의 정확성에 대하여 제공하는 정보를 말하며(Frayer & Klausmeier, 1971), 오랫동안 수업의 결정적인 요소로 간주되어 왔다. 또한 피드백은 컴퓨터 매개 학습의 정당성을 밝혀 주는 기초로 간주되고 있다(Cronbach, 1977). 웹 기반 학습에서 피드백은 중요한 상호작용의 요소이며, 이를 어떻게 구조화하고 구현할 것인가에 대한 답을 제시하는 선행 연구가 없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웹 기반 학습의 이론과 전통적 피드백 설계 원리에 기초하여 웹 기반 학습 상호작용으로서 적응적 코칭 피드백 설계 원리를 모색하고, 모색된 원리에 기초하여 대안적 피드백을 설계하였다. 이 글은 웹 기반 학습을 설계·개발하려는 연구자 및 개발자들에게 웹 기반 학습의 구성요소로써 피드백을 어떻게 설계하고 개발할 것인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there are many studies that have long been studied by many researchers about Web Based Learning. Baek(1999) defined web based learning that is a learning style such as learner's learning based on self-instruction in terms of using tasks that delivered through the web and supported learner's learning process. Interactions for learning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learning on the web. That is to say, the problem about how to design various interactions such as learner : learner, learner:instructor, learner:system based contents(including contents and program) is a important factor by which quality of web based learning is sometimes determined. Feedback is the information given to students about the correctness of their answers(Frayer & Klausmeier, 1971). And it has long been regarded as a critical component of instruction. It has also been considered a "powerful force" in learning(Glaser & Cooley, 1973), and fundamental to the rationale for computer-assisted instruction(Cronbach, 1977). Feedback is a component of interactions in web based learning. But there are not any prestudy for representing answers about how to organize and develop feedback on the web. Therefore this study extracted some principles for designing adaptive coaching feedback from web based learning theory and the type of traditional feedback and designed adaptive coaching feedback for improving interactions of web based learning. It will provide some guides about how to design and develop feedback as a component of web based learning interaction for researchers and developers to design and develop web based learning.

      • KCI등재

        중학교 교원의 인공지능융합교육 연수 인식 분석 및 활성화 방안

        강신천,허희옥,정현용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7 No.3

        이 연구는 인공지능융합교육(AIEDAP)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303명의 중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연수 내용의 만족도와 활용도, 그리고 지속적인 지원과 네트워킹에 관한 인식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인공지능융합교육 연수 프로그램에 중학교 교원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수 내용의 교실에서 활용 혹은 적용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마스터 교원의 경우, 연수 내용의 활용도와 지속적인 지원, 네트워킹에 대해 인식이 가장 높았고, 커뮤니티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사용된 인공지능융합교육 연수 프로그램은 중학교 교원의 교육적·실질적 요구와 기대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잘 설계되고 운영되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surveyed 303 middle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AIEDAP) training program on their satisfaction and usability with the training content and their perceptions of continuous support and networking.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middle school teacher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training program. Second, there was a high level of awareness about the possibility of using or applying the training content in the classroom. Third, master teachers had the highest awareness of the usability of training content, continuous support, and networking, and appeared to be able to play a leading role in the community. Therefore, this means tha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train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well designed and operated to satisfy the educational and practical needs and expectations of middle school teachers.

      • KCI등재

        성취평가제에서의 이원목적분류표 작성 실태분석과 개선 방안 연구

        강신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7 No.2

        중등학교 성취평가제 시행과 함께 학생평가 전문성에 대한 국가의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단위학교는 학생을 전문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철저한 계획과 다양한 문서를 제작하고 있는데 그러한 문서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이원목적분류표와 문답지이다. 이들 중 본 연구가 관심을 갖는 것은 이원목적분류표이다. 이원목적분류표는 문답지를 제작하기 위한 출제계획표이다. 그러나 단위학교에서는 이원목적분류표를 형식적으로 작성하거나 심지어 문답지를 먼저 개발하고 이원목적분류표를 나중에 짜 맞추기식으로 제작하고 있는 사례가 많다. 이와 같은 점에 착안, 본 연구는 이원목적분류표의 국가수준 성취기준 및 행동요소에 대한 작성 실태를 분석하고 단위학교가 어려워하는 부분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본 연구는 이원목적분류표 작성 실태분석을 통해 곤란을 겪고 있는 부분을 찾아 그것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대안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에 대한 파일럿 검사에서 참여한 교사는 국가수준의 성취기준을 이원목적분류표에 포함하는 것과 각 성취기준에 부합하는 문항 개발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되었고 또한 행동요소의 명확한 개념이해와 적절한 표기 및 각 행동요소에 합당한 문항 개발에 대한 전문성을 갖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에 대한 자신감을 높여주며 나아가 교수 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 requirement of MOE(Ministry of Education) about improving the specialties for student evaluation is being increased more and more with implementing the policy for evaluating students' criterion achievement. The secondary school makes various documentations for evaluating students professionally and the taxonomy table of two dimensional objectives in which this study is interesting is the one of the most important documents that they are made by teachers. It is the table for planing to make an examination paper. However, the school has many cases for teachers to make the table after they make an examination paper or to make it as one of formal documentation. With this kind of aim, this study surveyed it's actual conditions firstly then developed an alternative program for supporting teachers to make it easily. This study helped teachers to make it including the national criterion achievement and building items accommodating Bloom's cognitive process dimensional elements such as knowledge or understand etc. And this study proved these effects as well by pilot test(one group pre-post test). Pilot test results said some sort of effects for the alternative program as follows: (1)teachers took self-confidence for not only including the national criterion achievement but also develop items based on this; (2)teachers gained confidence for write Bloom's cognitive process dimensional elements based on each definitions for them and they were able to develop items accommodating those cognitive process dimensional elements. Finally teachers could have self-confidence and self-efficacy for the professional abilities of evaluating students in the secondary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looking forward to be given teachers some good effectiveness for improving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tudent evalu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CIPP 기반의 서울창의예술교육센터성과평가 모형 개발 연구

        강신천,정현용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22 방과후학교연구 Vol.9 No.1

        Various types of art education have been implemented in after-school activities following the recent policy to encourage school arts programs. Due to the nature of art education, it is challenging to operate teacher-oriented classes, so professional art instructors from outside the school are required for the art education. However, school art education i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is expanding. It leads to a higher demand for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art education in the field increases.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conduct fundamental research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art education at Seoul Creative Arts Education Center, which specializes in art education as an independent institutional body. Most of all, this study developed three domains and 21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for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center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ior research review on the CIPP model, expert council, and Delphi. Besides, a performance management manual was developed, including indicator definitions for these indicators and a prescriptive and practical performance management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implications for consistent performance assessment, feedback, and improvement of the Seoul Creative Arts Education Center, and things to consider in terms of performance management of school arts educa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excellent cases developed through performance assessment would be beneficial for the all-school arts education in Seoul by diffusing outstanding cases although they are from the center. Finally, this study proposes not only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for the center but also to construct a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for the Seoul Creative Arts Education Center

      • KCI등재후보

        전자교과서 개발을 위한 체제적 접근 전략과 방향 탐구

        강신천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8 No.2

        최근의 테크놀로지 발달과 보급은 교수-학습 환경을 변화시켰으며 교수자와 학습자의 새로운 역할 패러다임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교수-학습 환경의 변화에 적응해 가는 교수자와 학습자의 생활에 있어서 민감하게 변하고 있지 않는 부분 중의 하나가 ‘책(교과서/참고서/교양도서 등)’을 활용한, 혹은 ‘책’을 통한 교수와 학습이다. 테크놀로지 발전에 비탄력적인 ‘서책형 교재(교과서, 참고서, 일반도서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를 디지털화 하기 위한 연구와 개발이 인쇄인들과 관련 분야의 연구자들에 의해서 시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교과서나 전자책과 관련한 사회 내·외적인 노력과 궤를 같이하는 이 글의 목적은 ‘전자책’과 ‘전자교과서’의 분분한 개념 정리에 기초하여 ‘전자책’과 ‘전자교과서’의 관계를 설정하고, ‘전자교과서’ 개발을 위한 체제적 접근 전략을 탐색하고, 전자 교과서의 개발을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찾아보는데 있다. 이 글에서 제시된 체제적 개발 접근에 기초한 전자교과서의 개발 모형은 전자책을 포함하여 전자교과서 개발에 실질적인 지침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이 글에서 제안하고 있는 전자교과서의 개발 방향은 실질적인 개발을 위해서 전제되어야할 요인과 해결해야할 문제점들에 대해 시사하고 있다. A recent growth of the technology asks a new role-paradigm for teachers and learners and gives them a changed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the book and teaching and learning with the book is one of exceptions about these changes of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A study and development for digitalizing the inelastic 'Printed TextBook upon the growth of the technology is tried and performed by publishers and researchers.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grees to these social efforts such as studies and development on the electronic textbook is to establish the connection between e-Book and Electronic TextBook based on making clear the definition of them, to inquiry strategies for developing them and to propose the desirable direction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The model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based on the system development approach will give publishers and researchers practical guidelines for developing it systematically. In addition, the proposed the desirable directions for developing the Electronic TextBook will suggest that they give us some problems to be solved and some components to be presupposed for developing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