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공심장박동기에 대한 개요

        강순옥,남궁은지,황민아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14 임상생리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14 No.-

        배경(Background) : 심장박동기는 부정서맥(bradyarrhythmia)의 치료에 사용되며, 부정서맥은 심장의 자극형성장애나 전도장애로 발생한다. 그 적응증으로는 1)동기능부전증후군, 2)후천성 방실차단, 3)만성 2섬유속 차단, 4)급성 심근경색 후 발생하는 방실차단, 5)과민성 경동맥동 및 신경심장(neurocardiogenic)증후군 등이 있다. 방법(Methods): 심장박동기는 심박발생기(pulse generator)와 전극선(lead)으로 구성된다. 심박발생기는 전원과 전기회로를 포함하고, 전극선은 심박발생기와 심장을 연결하여 심장의 박동을 감지 및 조율한다. 대부분의 심장박동기 시슐 방법은 경정맥법을 이용하여 수술한다. 경정맥법에서 전극선은 subclavian, axillary, cephalic 정맥을 통하여 우심방이나 우심실내에 고정하며 심박발생기는 흉벽의 피하에 삽입한다. 결과(Results) : 심장박동기의 종류 선택은 동기능부전증후군환자의 경우는 심밤에만 전극을 넣어주는 AAI type을, 심방세동이 있으면 VVI를 선택하여 주고, 여기에 심박수-반응성이 필요한 경우는 AAIR, VVIR type을 선택한다. 방실의 순차조율이 필요한 방실차단환자의 경우는 심방과 심실 모두에 전극을 넣어주는데 심박수 변동성이 적당하면 ODD type을 선택하여 주고, 심박수-반응성이 필요하면 DOOR type을 선택하여 준다. 이로 인하여 환자의 반복되는 실신이나 심정지를 치료할 수 있고 또한 방실차단 환자들에게는 정상 심장처럼 방실동기(AV synchrony)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고찰(Discussion): 인공심장박동기는 부정서맥의 치료에 꼭 필요하나 국내에서는 보험규정이 까다로워서 반드시 적응증에 해당하는 환자에게 시술되어져야 한다. 예로 동기능부전증후군 환자의 경우는 심박동수가 40회/분 미만이거나 심정지 기간이 3초 이상이어야 하며, 반드시 증상을 동반하여야 한다. 따라서 심장박동기 시술대상 환자에서는 증상 유무를 꼭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 家族計劃에 對한 夫婦間의 對話가 그 實踐에 미치는 影響

        康順玉 서울大學校保健大學院 1975 公衆保健雜誌 Vol.12 No.1

        The source of the data of this study was provid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of the School of public Health that carried out a study on "Some Behavioral Problems in Sequential Processes of Adoption in Family Planning" in 1973 at the experimental sites of the school. The original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935 eligible women to age of 49 years living with their husbands in Shindong myon Chunsong kun, Kangwon province, Korea. The tabulations were made, however, from 828 fecundable women, excluding cases with sterility and the menopaused. The variable were selected from the original materials to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husband-wife communication and family planning practice. The major finding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the respondents was 32.6 years with the age-group of 30∼34 as a medium. And, 86.4 percent of the respondents attained their education below sixth grade. 2) The average number of children was 3.5 with 1.8 sons and 1.7 girls. 3) the current practice rate was rather higher(41.3%) compared with the other findings in Korea.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urvey, the investigator draws a health educational implication. The husband-wife communication is the last channel of flow of message that can facilitate of intervene the family planning discussion while family planning is a cooperative behavior that can not be done by one side of the couple. Since family planning is deeply related with sex, it is still somewhat taboo topic that prohibits open communication even between husband and wife. The most critial phenomenon is that the young couples or those with one child or without children tend not to have husband-wife discussion on family planning. As a result, the average age of the adopters of family planning has been rather too high in Korea and the practice rate has been remaining almost unchanged in the last decade. Therefore, to improve the Korea family planning, it is urgent to encourage husband-wife communication among all age brackets.

      • 심전기생리학 검사의 개요

        강순옥,남궁은지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13 임상생리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13 No.-

        배경(Background): 심전기생리학검사는 부정맥의 진단과 치료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증상이 심한 부정맥환자들에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위하여 필수적 검사라고 할 수 있다. 심전도가 심장의 전기현상을 체표면에서 기록한 것이라면, 심전기생리검사는 심장의 전기현상을 심장의 여러부위에서 직접 전기도를 기록하며 심장의 여러 부위에 프로그램된 전기자극후 반응을 분석하는 관혈적 검사이다. 방법(Methods): 전극도자를 대퇴정맥, 쇄골하정맥 등을 통해 심장의 우심방 상부, 히스속, 우심실첨부, 관정맥동에 위치시켜 이들전기도를 100~200ms의 속도로 기록하고 프로그램된 전기자극을 실시한다. 다음과 같은 순서로 검사를 실시한다. 1. 심전기생리학 기본값 측정 1) 기본간격측정(PA interval, AH interval, HV interval) 2) 계획자극에 의한 평가(A ERP, V ERP , AV node 특성) 2. 부정맥의 평가 1) SNRT 측정으로 동결절기능부전 평가할 수 있다. 2) 히스속 전기도로 방실전도차단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3) 심실상성빈맥의 기전을 판별할 수 있다. 결과(Results): PA interval(우심방전도시간) 25-55ms SNRT(동결절 회복시간) < 1500ms. AH interval(방실결절전도시간) 55-125ms Atrial ERP (심방 불응기)200-270 msecs. HV interval(히스속이하전도시간) 35-55ms Ventricle ERP(심실 불응기) 200-270 msecs. 고찰(Discussion): 심전기생리검사는 부정맥의 진단과 치료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부정맥의 발생기전과 발생부위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어 전극도자절제술이나 수술시 부정빈맥을 치료할 수 있도록 기여하는 검사이다.

      • 돌연심장사와 심실제세동기의 이해

        강순옥,황민아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15 임상생리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15 No.-

        배경(Background): 성인에서의 돌연심장사는 관상동맥 질환이 중요 원인 질환 이며, 젊은 연령, 운동선수 에서는 선천성 질환, 심근질환 같은 구조적 이상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심전도, 심장초음파로 원인 질환이 쉽게 진단될 수 있다. 그러나 구조적으로 정상이어도 심장 이온 통로의 유전적인 변이에 의하여 치명적인 부정맥인 심실세동이 나타나 적절한 제세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정지에 이르러 결국 사망으로 이어질 수가 있다. 심실제세동기 치료는 이러한 돌연심장사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술 되어지고 있으며 1980년 최초로 사람에게 삽입이 가능한 제세동기가 개발된 이후 크기는 점차 소형화되고 기능은 비약적인 발전을 하였다. 이에 돌연심장사를 일으키는 질환에 대해 알아보고 심실제세동기 치료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Methods): 심정지, 지속성 심실빈맥, 관상동맥 질환, 비허혈성 확장성 심근증, 비후성 심근증의 질환, 기타질환(Brugada syndrome, Long QT syndrome)을 가진 환자에서 제세동기 삽입 시술에 보험의 적응증이 되는지 여부가 결정 되어지면 돌연사를 예방하기 위하여 제세동기 삽입술을 시행하게 되는데, 삽입형제세동기는 battery, capacitor, circuitary 로 이루어진 Device와 pacing, sensing, shock coil로 이루어진lead로 구성된다. Lead는 subclavian, axillary, cephalic 정맥을 통하여 우심방이나 우심실내에 고정하며,devic e는 흉벽의 피하에 삽입한다. 결과(Results): 삽입형 제세동기는 환자의 빈맥성 부정맥을 치료하기 위하여 아래 두가지 type으로 작동되어 진다. 1. ATP(antitachycardia pacing) - 빈맥의 심박수보다 빠른 조율 자극으로 적은 에너지를 이용하여 빈맥을 종료시킨다. 2. Shock - 빠르고 불안정한 빈맥을 치료하기 위하여 많은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충격을 가하여 준다. 고찰(Discussion): 심정지, 지속성 심실빈맥을 경험한 환자에서는 2차 예방 목적으로, 돌연심장사의 위험도가 높은 환자에서는 1차 예방의 목적으로 제세동기 삽입을 하여 돌연사의 위험도를 낮출수 있게 되었다, 삽입형 제세 동기는 항부정맥제와 비교하여 환자들의 유병률과 사망률 감소에 있어 우월한 결과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제세동기 이식 환자들의 심실 부정맥과 돌연사를 예방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치료법이 될 수 있다. 또한 시술 후에도 정기적인 제세동기 추적 검사를 통하여 환자에게 부적절한 shock이 시행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검사를 해주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