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송계속 중 당사자의 사망에 따른 소송관계 - 판례를 중심으로 -

        강수미(Kang, Soo-Mi) 한국법학원 2019 저스티스 Vol.- No.174

        소송계속 중에 당사자가 사망한 경우 소송물을 이루는 권리 또는 법률관계가 상속의 대상이 되는 때에는 소송절차가 중단되는데, 현행 민사소송법 하에서는 사망한 당사자의 소송상 지위는 상속인에게 승계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소송상 당사자지위의 승계를 인정하면서도 소송절차의 중단을 통해 승계인의 절차권을 보장함과 동시에 승계인의 절차권을 보장할 필요가 없는 때에는 소송절차의 진행을 허용함으로써 승계인의 절차권 보장과 소송 경제의 조화를 도모하고 있다. 상소제기에 관한 수권이 있는 때에는 소송대리인에게 상소제기라는 개별적인 소송행위에 관한 대리권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소제기 자체는 패소한 상속인에게 유리한 소송행위로서 이를 위한 소송대리권의 존속을 인정하더라도 상속인의 절차관여권을 침해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망인이 생전에 소송대리인에게 상소제기에 관한 권한을 수여한 때에는 그 소송대리인은 망인의 소송상 지위를 승계한 상속인들에 대한 관계에서도 상소제기의 권한을 가지는 것으로 볼 것이고, 판결정본이 소송대리인에게 송달된 경우 상소기간이 진행될 것이며, 그 기간이 경과한 때에는 판결이 확정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소송대리인이 수권에 따라 상소를 제기한 경우에는 그때에 소송대리권이 소멸하고, 소송절차가 중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상소제기에 관한 수권이 있는 소송대리인이 상소를 제기하지 않은 상태에서 원심에서 소송을 수계하여 판결서에 당사자로 기재되어 있는 상속인은 직접 상소를 제기한 반면에, 수계에서 누락되어 판결서에 당사자로 기재되지 않은 다른 상속인은 상소를 제기하지 아니한 경우 그 다른 상속인의 소송관계는 상소기간의 경과로 판결이 확정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다만 수계에서 누락된 공동상속인이 소송계속사실 등을 알지 못하여 소송절차에 관여할 수 없었던 경우 소송대리인에게 귀책사유가 인정되지 않으면 수계에서 누락된 공동상속인은 상소를 추완할 수 있을 것이다. 소송대리인에게 귀책사유가 인정되는 때에는 수계에서 누락된 공동상속인은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 제3호를 유추적용하여 재심의 소로써 자신의 상속분에 대한 판결을 다툴 수 있을 것이다. 상소제기에 관한 수권이 있는 소송대리인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원심판결에 망인의 상속인이 당사자로 표시되어 있는 때에는 망인의 공동상속인 중 일부만이 판결서에 당사자로 기재되어 있더라도 그 판결의 효력은 누락된 공동상속인에게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원심판결의 기재에 근거하여 당사자로 기재되어 있는 상속인 모두를 상소인 또는 피상소인으로 상소장에 기재하여 원심판결 전부에 대하여 상소가 제기된 경우에는 상소장 전체의 취지를 객관적·합리적으로 고려하면 누락된 공동상속인도 상소인 또는 피상소인으로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Where a party has died during the pendency of action, the proceedings are interrupted at the moment that rights or legal relations, the matter of the lawsuit, are the subject of an inheritance. On the sidelines, inheritors of the dead party ipso jure succeed the deceased’s status as litigants under the Civil Procedure Act. It is promoting the consonance between guarantee of the successors’ procedural rights and judicial economy through that it allows the progress of proceedings in case of no need to ensure of their rights as well as makes sure their rights by interruption of proceedings while recognizing ipso jure succession of his status as litigants. There is a special authority for filing an appeal, an attorney has powers to take individual litigation act and file an appeal. Filing an appeal can work to defeated inheritors advantage, and it will not violate their procedural rights even acknowledging the survival of the attorney’s powers for appealing. Where the dead party has authorized the attorney to file an appeal, he/she has the authority to file an appeal for the inheritors who have succeeded the deceased’s status as litigants. Therefore, when the authentic copy of a judgment is served on the attorney, a period for filing an appeal shall progress, and when the period has expired, the judgment shall become final and conclusive. Where the attorney has filed an appeal based on the authorization, his/her powers of attorney shall be extinguished, and the proceedings shall be interrupted. Litigation relations of co-inheritors shall progress separately from the others, while some inheritors who took over the proceedings in an original instance and were entered as the parties on a judgment of the original court filed directly an appeal, the others, who were omitted from takeover in the instance and were not entered as the parties on the judgment, did not appeal. Then the judgment on the others shall become final and conclusive by the expiration of the period for filing an appeal. But when the co-inheritors who had been omitted from the takeover could not participate in the proceedings because they were not aware of the pending in a court, they may subsequently complete the appeal in so far as there were no attorney’s faults which were attributable to the omission from the takeover. If there were his faults attributable to the omission from the takeover, the omitted co-inheritors may make a petition for a retrial against the judgment on their share of the inheritance by the inference of the Article 451, paragraph (1) 5 of the Civil Procedure Act. Where the inheritors of the deceased were indicated as the parties on the original judgment, effects of the judgment shall be binding on the omitted co-inheritors even if only some of the co-inheritors were entered as the parties in the field of ‘party name’ of the written judgment. If the appeal has been filed wholly against the original judgment by entering all inheritors were written as the parties in the party name field as appellants or appellees based on the original judgment, the omitted co-inheritors should be the appellants or the appellees by an objective and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purpose of the entire written appeal.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모두를 위한 엘리트주의 : 공동체적 가치의 담론 장場으로서 미술비평

        강수미(Kang Su-Mi) 현대미술학회 2009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13 No.-

        Why do we value art? In what criteria do we evaluate its worth? Is it the aesthetic value or exchange value of art work? The contemporary global art scene seems to have the closest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the public, more than any other period. Art attracts an enormous number of people, by putting on international art fairs, auctions, blockbuster exhibitions, etc. or by producing a range of sensational news, artists as celebrities, and mega global art events. In this sense art is flourishing, but invisibly, out of sight of contemporary collective intellectual life. Many people argue that art criticism is in a worldwide crisis. But at the very same time, art criticism is booming: it is everywhere, for example glossy art magazines, prominent newspapers, well-produced brochures or catalogs, and blogspots, and often benefits from high-quality publishing and wide distribution. However, art criticism is in crisis only because it has largely given up judging artworks in favor of describing them. Contemporary critics tend not to think outside the box of the exhibition or particular work at hand. Commercial art galleries and newspapers that call for the reform of art criticism usually attack jargon, and promote simple ideas. So in brief, this is the problematic situation of art criticism: it is produced more widely than ever before, and massively ignored in contemporary intellectual debates. I thought such circumstance is seriously problematic or risky, so I speculated about the evaluation and judgment of contemporary art and art criticism in this study. In the first section of this paper, I considered the problem of standards in art evaluation. In the second, I attempted to argue that art criticism should function as a field of discussion for collective values, for example the critical reflection of the human being and death, rather than a simple description of art or a kind of guide to the art. In conclusion, I suggested that art criticism can take a tum for the better by using its lack of codification and its heterogene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포스트온라인 매체 조건과 수행성의 역설: 데리다의 루소를 통하여

        강수미 ( Su-mi Kang ) 한국미학예술학회 2021 美學·藝術學硏究 Vol.62 No.-

        이 연구는 정보통신기술과 소셜 미디어 &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의 고도화로 온라인 매체 조건이 온라인 이후의 국면으로 이행하고, 수행성이 학계 및 문화예술계 뿐만 아니라 경제와 노동현장에서 복잡하게 작용하는 동시대 상황에 대한 문제인식에 기초한다. 특히 신자유주의 경제와 노동조건, 동시대 매체와 의사소통/관계의 양상, 현대예술에서 퍼포먼스의 우세화 경향을 교직해서 통찰하고자 했다. 그것은 포스트온라인ㆍ능력주의ㆍ포스트진실의 문제, 그리고 수행성의 역설에 관한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여기에 본고는 데리다의 루소 비판을 참고하는 시차적 관점을 더했다. 우리 시대 매체에 대한 인식과 수행성에 대한 접근법을 다른 층위에서부터 비판할 근거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요컨대 데리다가 루소에서 매개와 대리 보충의 논리를 중심으로 밝혀낸 모순에 비춰 우리 시대의 포스트온라인ㆍ능력주의ㆍ포스트진실, 그리고 수행성을 둘러싼 모순과 난제를 성찰할 다른 판단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2020년 미엘 래더맨 유켈리스의 공공미술, TSI 그룹의 거리 퍼포먼스가 우리 논제의 중요 예술 사례다. 특히 본고는 팬데믹 상황에서 노고한 필수 노동자를 기린 유켈리스의 미술을 통해 ICT와 포스트온라인 매체 조건 안에서 달라진 투명성과 직접성, 매개와 대리보충을 괄호 치는 차별적 사회관계, 수행성의 역설적 실현을 비판하고 다른 판단의 필요성 및 방법론을 제기했다. This research started with a problematic recognition of the following two contemporary situations. First, I paid attention to the phenomenon that the online media have shifted to a post-online condition due to the advance of ICT and social media and mobile network environments. Next, criticism can be raised about the contemporary tendency in which performance is complicated not only in academia and culture and art scenes, but also in the field of economy and labor. In particular, this thesis attempted to provide insight into the neoliberal economy and working conditions, the communication/relationships with contemporary media, and the tendency of performance to dominate in contemporary art. To this, I added a parallax view that refers to Derrida's critique of Rousseau. This is because there was a need for a basis to criticize the understanding and approach to our time from another perspective. In short, my argument was to reconsider the issues surrounding post-online, meritocracy, and post-truth, and the paradox of performativity, interpreting the criticism that Derrida reconstructed in Rousseau's texts, focusing on the concepts of ‘mediation’ and ‘supplement’. A public art project by M. L. Ukeles and street performances by TSI are examples for my research. Especially it is significant that her work honored the service workers under the pandemic situation. this research was able to criticize the paradoxical realization of contemporary performativity,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ransparency and directness, and discrimin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that ignored mediation and supplement.

      • KCI등재

        기획심포지엄 예술과 삶의 공동체: 필멸의 역(逆) ; 현대미술에서 이미지와 죽음의 상관성 재고

        강수미 ( Su Mi Kang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4 美學·藝術學硏究 Vol.42 No.-

        본 논문은 현대미술에서 이미지와 죽음의 상관성을 논한다. 이를 통해 동시대 죽음의 이미지가 공동체와 관계하고 있는 일련의 상황을 성찰하고, 나아가 그 상황들이 현대미술의 어떤 내적 메커니즘을 반영하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우리는 특히 1990년대 말 이후 현대미술 현장에 급속히 퍼진 죽음의 주제화 현상, 그리고 현실과 그 이미지들의 상관적 맥락을 분석하려 한다. 본문은 먼저 사회사적, 미술사적 관점에서 인간의 삶과 죽음, 현존과 부재, 필멸성과 불멸성에 대한 인간의 이해와 이미지의 제시가 미술의 기원에서부터 현대미술에 이르기까지 이행해온 과정을 분석한다. 본문의 두 번째 장은 동시대 사회 변화와 연동하는 현대미술의 죽음 이미지에 초점을 맞춰 죽음의 당대적 의미를 논한다. 방법적으로는 논제와 관련 있는 현대미술 사례, 예컨대 허스트의 2005년 개인전 ≪새로운 종교≫, 파스트의 영상작품 <신에게 예뻐 보이는 (G. W를 따라서)>, 볼탕스키의 설치미술 ≪무인지대(No Man``s Land)≫(2010)을 들어 거기에 담긴 죽음의 형상과 그 의미를 짚고, 그것이 동시대 문명의 조건과 엮이는 맥락 및 미술 내부의 경향성을 재고한다. 이러한 논의에서 우리의 결론은 현대미술에서 죽음이 논쟁적 주제로 시각화되는 것은 유동적 현대사회 속에서 우리의 삶이 불안정하고, 불확실하며, 예측 불가능하게 돌아가는 양상에 대한 예술적 반응이라는 것이다. 동시에 그러한 미술이 TV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나 미술시장의 고급 상품처럼 기능할 때, 그것은 현대미술을 환유법적으로 연기(延期)하는 엔드게임이 아닌지 비판적으로 재고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This article is the aesthetic analysis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image and death in contemporary art. I consider some situations that contemporary art images on death correspond to our community from the start. Furthermore, my analysis critically reconsider that those situations represent the inner mechanism of contemporary art world. Especially, I investigate a particular context which present or evoke tendency of the art works and/or exhibitions associated with death, and create a situation where we imagine the circumstances of our own deaths since the late 1990s. In the first chapter of the main body of this text, what I concern is the paradigm shift that human consciousness and image presentation have been dealt with life and death, presence and absence, and mortality and immortality from the very beginning of image to contemporary art now. In the second chapter, I shall concentrate on the meaning of death in contemporary society by interpreting some cases of contemporary art works. Using examples, such as Damien Hirst`s solo show ≪New Religion≫(2005), Omer Fast`s video work <Looking Pretty for God(After G. W)>(2008), and Christian Boltanski`s installation project ≪No Man`s Land≫(2010), I argue that images of death in contemporary art scene have the potentiality of reflection on our life which become more and more liquid, unstable, uncertain, and unpredictable. But as long as they do not cause critical thought to the living, as in a TV survival program or a art market, I doubt contemporary art on death is a kind of endgame for art itself.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매개효과

        강수미(Kang, Su-Mi),배선형(Bae, Sun Hyoung) 대한근관절건강학회 2015 근관절건강학회지 Vol.22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mediator or moderator effect of clinical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ethods: Data was collected from 240 nurses in tertiary hospitals located in B cit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Clinical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motional labor (r=-.13, p=.039) and psychological well-being (r=.52, p<.001). Also, clinical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owever, emotional intelligence did not show moderating effect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linical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nurses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finding points to the importa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to increas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ggests that the hospital should develop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to enhance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mote clinical nurses’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후보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단기 연극치료 사례 연구

        강수미(Kang Su Mi)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9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0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단기 연극치료의 효과 및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작업 안에서 맹자의 인성론을 적용하여 자율적으로 관계를 회복하도록 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왜냐하면 폭력 등과 같은 청소년 학교 문제가 예방 작업을 통해서도 근절되지 않고 오히려 증가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오늘날 도덕적 가치가 붕괴되고 그로 인해 사회적으로 합의된 인식과 가치 역시 부재하기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자는 중1 여자 참여자를 대상으로 10회기의 단기 연극치료 작업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역할 탐색과 확장’으로 참여자의 현재 역할을 점검해보고 건강한 사회적 역할로 성실히 수행할 수 있는 유연성을 경험할 수 있었다. 둘째, ‘감정 인식’을 통하여 현재의 핵심감정과 자연스러운 감정의 흐름을 경험하고 이를 외현화하여 참여자의 감정 변화를 살펴볼 수 있었다. 셋째, ‘도덕적 상상력의 함양’으로 복잡하게 얽혀 있는 역할과 관계 속에서의 갈등을 극적 현실 속에서 경험한 참여자의 창조적인 상상적 기제가 현실 생활에서 변화를 가져와 정체성 확립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학교폭력에 대응하는 예방 차원의 방법으로 맹자의 인성론을 적용하여 학생들 스스로의 자율적인 관계 회복을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과 이를 위한 실제 작업으로 연극치료가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and explore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short-term drama therapy for teenage students’ school life adjustment. To this end, the researcher focused on promoting voluntary restoration of relationships based on Mengzi’s Theory of Human Nature. Teenage students’ school problems, such as school violence, are on the rise because preventative efforts have failed to eradicate the problems as moral values have collapsed in the current society, thereby depriving the society of consensual perceptions and values. The researcher conducted 10 short-term drama therapy sessions among female students in three manner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helped the participants to “explore and expand their current roles.” By doing so, the participants could examine their current roles and experience flexibility to perform their social roles in a healthy manner. Second, the researcher helped the participants to “recognize their emotions.” By doing so, the researcher observed the changes in the participants’ emotions as they externalized their core emotions and the natural flow of emotions that they experienced. Third, the researcher helped the participants to “cultivate the moral imagination.” By doing so, it became evident that the creative and imaginative mechanisms of the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conflicts in their complex roles and relationships could bring practical changes in life, ultimately establishing their identity. The present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verified the effect of drama therapy and confirmed the importance of voluntary restoration of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by applying Mengzi’s Theory of Human Nature as a manner of preventing school violence.

      • KCI우수등재

        실체법상 종속관계의 소송상 작용 -선결적 법률관계에 관한 판결이 제3자에게 미치는 영향-

        강수미 ( Su Mi Kang ) 법조협회 2007 法曹 Vol.56 No.7

        선결적 법률관계에 관한 판결이 확정된 후 당사자 일방을 달리하는 종속적 법률관계에 관한 소송이 제기된 경우 선결적 법률관계에 관한 판결이 종속적 법률관계에 관한 소송에서 어떻게 작용하는가가 문제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소송물을 달리할 뿐 아니라 이를 허용하는 명문규정도 존재하지 아니하는 상황에서 제3자에게 기판력이 확장되는 것으로 보기는 어렵고, 그렇다고 하여 실체법과 소송법의 분리를 전제로 하고 있는 민사소송제도 하에서 선결적 법률관계에 관한 판결이 종속적 법률관계의 당사자인 제3자에게 실체법상 효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도 없다. 종래 선결적 법률관계에 관한 판결이 종속적 법률관계의 당사자인 제3자에게 미치는 영향의 내용 및 법적 성질과 관련해서는 선결적 법률관계의 당사자에 관한 법률상태가 종속적 법률관계의 당사자인 제3자의 법률상태에도 영향을 주는 법률요건을 이루는 실체법상의 효력으로 파악하는 입장, 선결적 법률관계의 당사자가 확정판결의 내용과 동일한 법률행위를 함으로써 제3자의 법적 지위에 유리 또는 불리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기판력이 제3자에게 확장되는 것으로 이해하는 입장, 실체법상의 종속관계에 기하여 변론종결 뒤의 승계인에 대한 기판력확장규정을 유추적용하여 기판력의 확장을 인정하고자 하는 입장 등이 주장되었다. 그러나 선결적 법률관계에 관한 판결이 종속적 법률관계의 당사자인 제3자에게 실체법적 효력으로서 반사적 효력을 미치는 것으로 보는 것은 기판력의 본질에 관한 이론적인 구조에 있어서 문제가 있으며, 법적 성질을 달리하는 법원의 판결과 당사자의 법률행위에 의한 처분을 동일시하는 것 또한 정당화될 수 없고, 아울러 그 기초를 이루고 있는 이익상태가 다른 변론종결 뒤의 승계인에 대한 기판력확장규정을 실체법상 종속관계에 있는 제3자에게 유추적용하는 것도 타당하지 않다. 그러므로 선결적 법률관계에 관한 판결이 확정되더라도 그 판결의 존재 또는 내용이 종속적 법률관계의 당사자인 제3자에게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는 없고, 관련실체법규에서 당사자의 일방과 제3자간의 관계 등을 고려하여 그 종속성을 인정하는 규정을 두고 있는 경우에 한하여 제3자는 그러한 규정에 근거하여 선결적 법률관계의 당사자 일방이 그 상대방에 대하여 가지는 항변권을 자신과 그 상대방에 관한 소송에서 원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러한 현상은 선결적 법률관계에 관한 판결 자체의 효력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선결적 법률관계에 관한 판결이 확정되면 당사자 일방이 상대방에 대하여 그 판결의 존재를 항변할 수 있고 그 결과 종속적 법률관계의 당사자인 제3자도 그 상대방에 대한 관계에서 위 당사자 일방의 항변권을 원용할 수 있는 경우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