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 발포폴리스티렌과 발포폴리스티렌 비드를 활용한 경량 모르타르의 특성

        강석표,황병일,Kang, Suk-Pyo,Hwang, Byoung-Il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7 No.5

        본 논문에서는 발포폴리스티렌 비드 (EPB)와 폐 발포폴리스티렌 (WEP)의 대체율에 따른 경량 모르타르의 기초 특성을 평가였다. EPB 및 WEP를 이용한 경량 모르타르의 기초 특성으로서 단위용적중량, 압축 강도, 휨강도, 흡수율, 열전도율 및 폴리스티렌 (EPB 및 WEP) 분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량 모르타르는 WEP의 대체율이 증가할수록 단위용적중량, 압축 강도, 휨강도, 흡수율 및 열전도율은 증가하고, 폴리스틸렌 면적 분포는 감소하였다. This study presents an evaluation of basic properties of light weight mortar with expanded polystyrene bead(EPB) and waste expanded polystyrene(WEP) by varying replacement rations. In order to evaluate the basic properties of the light weight mortar with EPB and WEP, unit weight, compressive strength, flexural strength, water absorption ratio, thermal conductivity and distribution of polystyrene (EPB and WEP) in hardened mortar were performed. As a result, unit volume, compressive strength, bending strength, water absorption and thermal conductivity of light weight mortar were increased, but area distribution of polystyrene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replacement ratio of WEP.

      • KCI등재

        가열온도별 습식방식 폐슬러지를 활용한 모르타르의 특성에 관한 연구

        강석표,조구영,이준,김창오,Kang, Suk-Pyo,Cho, Ku-Young,Lee, Jun,Kim, Chang-Oh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11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Vol.6 No.1

        Recently, urban redevelopment programs and expansion of social infrastructure have caused massive amounts of construction waste in construction fields, and the mounds of it keep increasing every year. The disposal of construction waste is emerging as a national and social issue and the recycled powder generated by the treatment process of waste concrete is all being abolished or buri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tilize waste sludge generated by the wet-type treatment process of waste concrete as materials(binder, filler) for cement composite. This study evaluates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ortar using recycled powder according to heating temperature, contents and applications. As a result of the chemical analysis, recycled powder is composed mainly of CaO and $SiO_2$, and that it is even lower in the content of CaO than OPC. The charateristics of mortar using recycled powder, according to drying and heating temperature, shows that as the heating temperature increases, flow decreases. Also, compressive strength and porosity of mortar using recycled powder was superior when heating temperature was $600^{\circ}C$. Thus, it is revealed that an effective development of recycled powder is possible since the binder by cement composite recovers a hydraulic property during heating at $600^{\circ}C$. 근래 도시 재개발사업 및 사회기반 시설의 확충 등으로 건설현장에서는 막대한 양의 건설폐기물이 발생량은 매년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건설폐기물의 처리는 국가, 사회적으로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중 폐콘크리트의 중간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슬러지는 현재까지 유효활용되지 못하고 대부분 폐기 또는 매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시설 중 습식방식에 의한 순환골재 생산시 필연적으로 부산되는 폐슬러지를 시멘트 복합체용 사용재료(바인더, 충진재 등)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순환미분말의 가열온도, 혼입조건, 적용용도별에 따른 모르타르의 물리, 역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가열온도 조건에서 순환미분말의 주성분은 $SiO_2$와 CaO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기에서 유의할 점은 순환미분말의 CaO 함량은 종래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비하여 작은 함량을 나타냈다. 그리고 건조 및 가열온도 조건별에 따른 모르타르의 유동특성은 가열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는 결과를 나타냈고 압축강도 및 기공특성의 경우는 $600^{\circ}C$에서 가장 우수한 특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시설에서 발생되는 순환미분말의 재수화성 부여를 위한 유효 온도조건은 $600^{\circ}C$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양생조건에 따른 레드머드 혼입 알칼리활성화 슬래그 시멘트 모르타르의 강도 및 백화특성

        강석표,황병일,Kang, Suk-Pyo,Hwang, Byoung-Il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8 No.3

        본 논문은 알칼리활성화 슬래그 레드머드 시멘트의 백화저감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다양한 온도 및 습도 조건이 레드머드 혼입 알칼리활성화 슬래그 시멘트의 강도 및 백화에 미치는 영향을 보통 포틀랜트 시멘트와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양생조건에 따른 레드머드 혼입 알칼리활성화 슬래그시멘트의 강도 및 백화특성 검토결과 표준수중양생을 실시한 모르타르는 기건양생, 고온양생, 저온양생과 비교하여 28일 압축강도, 휨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흡수율 및 백화발생면적, $Na^+$용출량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레드머드의 대량 활용을 위한 방안으로서 적정한 양생조건은 수중양생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ous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on the strength and efflorescence of alkali activated slag cement(AAS) using the red mu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trength and efflorescence characteristics of AAS mixed with red mud according to the curing conditions,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were the highest at 28 days, but the absorption rate, efflorescence area and soluble $Na^+$ elution were lowest in standard wet curing compared to the air curing, high temperature curing and low temperature curing.

      • KCI등재

        콘크리트의 투기계수를 이용한 CO<sub>2</sub>확산 탄산화진행 예측모델

        강석표,김영선,송하원,김규용,Kang, Suk-Pyo,Kim, Young-Sun,Song, Ha-Won,Kim, Gyu-Yong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 콘크리트학회논문집 Vol.22 No.2

        최근 콘크리트의 탄산화 진행 예측을 위한 수식적 모델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모델들은 $Ca(OH)_2$과 $CO_2$의 화학적 반응과 $CO_2$의 확산에 대한 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이 모델들은 콘크리트의 탄산화 영역에서 $CO_2$가 확산하고 콘크리트 중의 탄산화 영역과 미탄산화 영역과의 경계면에서 $Ca(OH)_2$와 반응한다는 가정에 기초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중의 $CO_2$ 확산 및 탄산화진행영역에서의 $CaCO_3$와 $Ca(OH)_2$의 공존을 고려한 $CO_2$와 $Ca(OH)_2$와의 반응을 모델화한 것이다. 콘크리트 탄산화진행을 보다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콘크리트 투기계수로서 탄산화진행모델에 적용하여 $CO_2$확산 계수를 유추하였다. 모델에 의한 예측은 W/C에 따라 페인트처리를 실시한 콘크리트의 촉진탄산화의 실험 결과와 아주 유사하게 나타나, 콘크리트 투기계수를 이용한 탄산화 진행속도 기본방정식을 활용하여 촉진환경 및 일반 대기환경에서 탄산화 진행예측이 가능함으로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내구성설계를 위한 보다 정량적인 수명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some mathematical models for the prediction on progress of carbonation of concrete were reported. These models take account for $CO_2$ diffusion and chemical reaction between $Ca(OH)_2$ and $CO_2$.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CO_2$ diffuses in the carbonation zone and reacts with $Ca(OH)_2$ at the outer face of carbonation zone and non-carbonation zone. In this study, a mathematical model to predict the progress of carbonation of concrete has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 reducing concentration of $Ca(OH)_2$ in the carbonation progress zone, where $Ca(OH)_2$ reacts with $CO_2$ and $Ca(OH)_2$ and $CaCO_3$ coexist. Also, the prediction model of carbonation progress rate of concrete using the air permeability coefficient regarding to $CO_2$ diffusion is developed. As a result of this study, an expression, the model equation is obtained for the prediction of carbonation based on the time and interaction velocity between $CO_2$ and Ca(OH)$_2$ dependent air permeability coefficient. The prediction by the model satisfied the experimental data of the accelerated carbonation for painted concrete. Consequently, the model can predict the rate of carbonation and the potential service life of concrete structure exposed to atmosphe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노후도실태조사에 의한 철근콘크리트조 아파트구조물의 노후도 평가에 관한 연구

        강석표 ( Kang Suk-puo ),김규용 ( Kim Gyu-yong ),권영진 ( Kwon Young-jin ),정민희 ( Jung Min-hee ),고진수 ( Ko Jin-soo ),송병창 ( Song Byung-chan ),김무한 ( Kim Moo-ha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1998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 No.1

        The concrete structures are hardly ever built under ideal conditions, So many defects may occur for a various reasons such as unsuitable and defective materials, construction methods, poor workmanship, particular structural form and prevailing weather conditions. Some structural form can greatly increase the risk of occurrence of defect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deterioration factors for reinforced concrete apartment, which was composed of 85 apartments with various building ages in different regions regions with five evaluation items. It is the aim of this study to analyze and evaluate the deterioration factors of apartment building to establish the overall evaluation system of deterioration degree for reinforced concrete apartment in Korea.

      • KCI등재후보

        순환골재를 사용한 알칼리활성화 슬래그-레드머드 흙포장재의 특성

        강석표(Suk-Pyo Kang)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16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4 No.3

        보오크사이트 원광석에서 생산되는 알루미나의 선광과정에서 발생되는 무기질 부산물이다. 인 레드머드를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강알카리성의 레드머드를 건설산업용 촉진제로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로서 알칼리 활성화 슬래그-레드머드 시멘트가 국내외적으로 발표되고 있다. 본 논문은 순환골재 대체율에 따른 알칼리활성화 슬래그-레드머드 건식 흙포장재의 최적함수율, 압축강도, 흡수율, 백화발생 특성에 대하여 비교·검토하였다. 그 결과 순환골재 대체율이 증가할수록 알칼리활성화 슬래그-레드머드 흙포장재의 최적 함수비, 물흡수계수, 백화면적은 증가하고 압축강도는 감소하였다. Red mud is an inorganic by-product produced from the mineral processing of alumina from Bauxite ores. the development of alkali-activated slag-red mud cement can be a representative study aimed at recycling the strong alkali of the red mud as a construction material.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ptimum water content, compressive strength, moisture absorption coefficient and efflorescence of alkali-activated slag-red mud soil pavement according to the recycling fine aggregate cont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ptimum water content, moisture absorption coefficient and efflorescence area of alkali-activated slag-red mud soil pavement increased bu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at decreased as the recycled fine aggregate content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