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강민철,Gang, Min-Cheol 한국주택협회 2006 주택과 사람들 Vol.189 No.-
전 세계인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중국은 투자 대상1순위 지역으로 꼽힌다. 최근에는 고객들이 거꾸로 중국 부동산 펀드를 찾을 정도로 투자자들의 관심이 굉장히 높다. 하지만 중국 부동산 시장은 리스크가 높아 투자를 하기 전에 신중해야 한다.
대학생 개인진로상담에서 진로미결정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변화에 대한 잠재성장모형 분석
강민철,이아라,신미라,이용석,조항 한국상담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9 No.2
This study employed the Latent Growth Model to investigate how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indecision level of college students changed through individual career counseling. Additionally, this study explored how student perfectionism and trait anxiety affected the changes in two outcome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d, first, that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ended to increase over time (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sessions) up until a certain point, and then decrease. Second, students with higher self-oriented perfectionism, lowe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lower trait anxiety had significantly highe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ird, trait anxie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hanges; clients with higher trait anxiety showed slower self-efficacy growth. Fourth, career indecision levels tended to decrease over time. Lastly, students with higher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lowe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higher initial career indecision scores that decreased rapidly over time. 본 연구는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대학생 개인진로상담 과정에서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미결정수준의 변화양상을 확인하고, 완벽주의와 특성불안이 변화양상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상담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다 특정 시기부터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자기지향 완벽주의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수준과 특성불안 수준이 낮을수록 상담 시작 시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성불안만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변화율에 대한 개인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성불안 수준이 높은 내담자일수록 진로상담으로부터 얻는 자기효능감의 변화 정도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넷째, 진로미결정 수준은 상담이 진행됨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다섯째, 자기지향 완벽주의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성향이 낮을수록 상담 시작 시기 진로미결정 수준이 높고 진로상담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특성불안은 진로미결정 초기치 및 변화율의 개인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하여 상담에서의 시사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제주도에서 생육시기별 기후변동이 감귤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강민철,이승호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19 기후연구 Vol.14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limatic variability on the citrus yield in Jeju-do.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itrus yield and climate elements(temperature, rainfall, sunshine duration etc) at each growing season. Temperature show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period of flower bud for the yield of citrus. The rainy days of bud bursting period have a negative relation in Seogwipo area. The sunshine duration of the 1st physiological fruit drop period was positively related to citrus yield in Jeju and Seogwipo area. The maximum temperature of the 2nd physiological fruit drop period and the fruit enlargement period were negatively related to the citrus yield. In Jeju and Seogwipo area, about 60% of the variation of citrus yield is explained by the variation of climatic factors. The sunshine duration of the 1st physiological fruit drop period and fruit enlargement period were selected to the yield estimation in Jeju. In Seogwipo, the number of rainy days and the sunshine duration of the 1st physiological fruit drop period were selected.
강민철,Gang, Min-Cheol 한국주택협회 2006 주택과 사람들 Vol.190 No.-
수천 년간 우리 민족의 영안을 위해 애써온 공존의 주거 문화 한옥. 온 가족이 오순도순 사는 삶의 터전인 한옥이 콘크리트 벽에 가로막혀 그 기운을 잃어가고 있다. 우리 고유의 문화를 고스란히 간직한 현대 한옥을 테마로 한옥 문화를 재해석하고자 한다. 안동 하회마을의 심원정사를 시작으로 양평의 상곡당 등 순차적으로 엮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