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어』 “오여회언(吾與回言)”장(章)에 대한 조선의 주자학적 접근

        강경현(姜卿显,)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8 泰東古典硏究 Vol.40 No.-

        《论语·为政》篇第九章以“吾与回言”广为人知,而朱子有关这一章的定论 则收录于《论语集注》中。这一章节是一段十分有价值的资料,包含了孔子对 颜渊的评价,能看到颜渊理解的孔子的教导具体是什么。但与之相关的朱子 的解释最初与《朱子集注》并不一致。我们可以通过《延平问答》、《论语精义》、 《论语或问》、《朱子大全》和《朱子语类》,看到朱子对其解释的转变过程。 通过《论语集注大全》接触到“吾与回言”章的朝鲜学者们想立足于《论语集 注》对这一段进行阐释,但因在《论语集注大全》小注中片面地提出各自不同 时期朱子的解释,碰上了一些问题。为了解决这个问题,在朝鲜对朱子文献 进行了更加全面的研究。并且筛选了对于理解“吾与回言”章有帮助的句子, 使其系统化。由此,朝鲜更加准确地掌握了能够确认与≷论语集注≸相关的朱 子立场的文献。以这种方式,朝鲜建立了使朱子学的≷论语≸分析更加深化所 需的基础资料。 “오여회언(吾與回言)”장(章)으로 알려져 있는 『논어』「위정(爲政)」9장에 대한 주자의 정론은 『논어집주(論語集註)』에 수록되어 있다. 안회에 대한 공자의 평가가 담긴 이 구절은 안회가 이해한 공자의 가르침이 구체적으로 무엇이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유의미한 자료이다. 그러나 이와 관련한 주자의 해석이 처음부터 『논어집주』와 동일했던 것은 아니다.『연평답문 (延平答問)과 『논어정의(論語精義)』, 『논어혹문(論語或問)』 그리고 『주자대전(朱子大全)』과 『주자어류(朱子語類)』를 통해 주자의 이 구절에 대한 해석의 변천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논어집주대전(論語集註大全)』을 통해 “오여회언”장을 접한 조선의 학자들은 『논어집주』에 입각하여 이 구절을 해석하고자 하였지만, 『논어집주대전』 소주(小註)에서 각기 다른 시기의 주자 해석을 단편적으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야기된 몇몇 문제를 맞닥뜨렸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해 조선에서는 주자 문헌에 대한 추가적 검토를 진행해 나가면서 “오여회언”장을 이해 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구절들을 선별하여 체계화하였다. 이러한 과정은『논어집주』와 관련된 주자의 입장을 확인할 수 있는 문헌의 장악을 동반함으로써 조선의 주자학적 『논어』해석을 심화시키는 토대 자료 구축의 의미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