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민의 민주주의? 라클라우의 ‘인민주의’와 발리바르의 ‘자유-평등 명제’의 비교연구

        강경덕 ( Kang Kyong Deock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학연구 Vol.57 No.2

        라클라우는 대중이 ‘인민’이라는 표상을 매개로 집합적 주체가 형성되는 과정을 정치의 핵심 동학으로 파악한다. 요컨대 라클라우는 집합적 주체화가 사회적 변혁이 일어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 중 하나이고 그러한 주체화를 작동시키는 기제가 바로 ‘인민’이라는 기표를 매개로 한 담론작용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라클라우의 입장은 계급투쟁을 정치의 동인으로 간주하는 마르크스의 문제설정과 일정 부분 단절하면서 새롭게 정치의 동학을 사고할 수 있는 이론적 도구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흥미로운 점은 발리바르도 라클라우와 유사한 입장에서 집단적 정체성을 구성하고 작동시키는 상징적 기표의 작용을 정치의 핵심적 동학으로 인정한다는 것이다. 그는 특히 자유와 평등 명제가 현실의 정치공간에서 창출하는 이데올로기적 효과에 주목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두 이론가 사이에 형성되는 이러한 이론적 유사성·친화성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서로 다른 기표(‘인민’과 ‘자유-평등’)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는다는 차이 말고는 이 두 이론가 사이에 유의미한 이론적 차이가 없는가?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질문을 염두에 두고 라클라우와 발리바르의 입장을 비교하고자 한다. 특히 ‘자유평등’과 ‘인민’이라는 표상이 창출하는 정치적 효과에 주목하면서 이 두 이론가 사이에 나타나는 차이와 그 차이가 생산하는 이론적·실천적 함의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Laclau, the discursive construction of 'we' based upon the notion of 'people' constitutes the core dynamic of politics, which allows us to break from the economic determinism of the classical Marxist formulation of politics by suggesting the discursive functions of signifiers as another motor of social, historical changes. In a similar vein, Balibar also admits that some symbolic signifiers work as a core dynamic of politics while activating and conditioning the construction/deconstruction of collective subjectivity. In particular, 'equality' and 'liberty' play a significant role in his theory instead of 'people'. Then how can we underst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inkers? Even though they share some selective affinities between them, their arguments crash each other at some critical points. Particularly, 'people' and the proposition of equal-liberty work in very different ways, and produce different political effects. With this point in mind, this paper compares Laclau's populism with Balibar's theory of democracy.

      • KCI등재

        알튀세르와 데리다 - 변증법이라는 쟁점

        강경덕 ( Kang Kyong Deock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21 철학연구 Vol.- No.63

        알튀세르(L. Althusser)는 헤겔(G. W. F. Hegel)의 변증법을 목적론적이라고 비판하고, 이를 비목적론적인 변증법으로 전화시키려 한다. 그의 작업의 핵심은 변증법의 한계를 인정하지만 동시에 그 잠재력을 바탕으로 변증법을 ‘주체도 (최종) 목적도 없는 과정’의 이론으로 변환시키는 것이었다. 하지만 데리다(J. Derrida)는 알튀세르의 시도가 여전히 형이상학적 한계에 사로잡혀 있다고 비판한다. 특히 구조인과성(structural causality) 개념을 바탕으로 전개하는 알튀세르의 목적론(teleology) 비판이 실은 종말론(eschatology)과 목적론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못하는 이론적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체계의 논리로 한정되지 않는 차이를 승인하는 데리다의 차연(差延, différance) 개념이나 (해체적) 정의 개념은 모순을 구조의 동력으로 이론화하는 변증법과 유사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1) 알튀세르와 데리다 사이에 형성되는 논쟁(종말론/목적론)에 주목하며 데리다의 해체적 정의론을 변증법적인 관점에서 해석할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특히 헤겔의 변증법에서 목적론을 제거하고자 한 알튀세르의 입장과 데리다의 입장을 비교하면서 2) 데리다의 이론을 ‘주체도 목적도 없는 과정(procès sans sujet ni fins/a process without a subject or a goal)의 이론으로서 변증법’의 한 사례로 읽어볼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3) 데리다가 종말론과 관련해 보인 입장 변화를 추적하며 그러한 입장 변화의 이유와 함의에 대해서 고찰해 볼 것이다. 데리다의 종말론은 대안적 주체의 형성을 적합하게 설명하지 못하는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 이론의 약점을 보완하고, 변증법의 목적론적 성격을 제거하는 데 주요한 이론적 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Derrida criticized Althusser’s project of constructing a non-teleological dialectic for still remaining caught up in the trap of metaphysics, failing to distinguish between teleology and eschatology. However, Derrida’s notion of justice comes closer to Hegel’s dialectic as a theory of contradiction than he thinks in that the former presupposes irreducible residuals/ contradictions which cannot be subsumed under the logic of totality. S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limits and possibilities of the dialectic, focusing on the controversy between Althusser and Derrida. Particularly, it explores in the process the possibility of interpreting/ reconstructing Derrida’s theory of justice as a non-teleological dialectic.

      • KCI등재
      • SCOPUSKCI등재

        대두 ( Glycine max ) 유식물에서 하배축의 (下胚軸) 신장과 유관속전이 (維管束轉移)

        강경덕(Kyung Duck Kang),소웅영(Woong Young Soh) 한국식물학회 1991 Journal of Plant Biology Vol.34 No.4

        The relationship between elongation of hypocotyl and its vascular transition was studied with seedling of Glycine max. The hypocotyl elongation proceeded acropetally from the base of hypocotyl toward the cotyledonary node. The vascular transition did not occur in the basal region of the hypocotyl, which did not nearly elongate, with exarch radial vascular bundles. However, the vascular transition was almost completed at the middle part of the hypocotyl, more or less elongated, with endarch collateral vascular bundles. Such bundles also appeared in the uppermost region of the hypocotyl, in which the elongation was the most striking.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vascular transition was related to the hypocotyl elongation and that the transition of primary vascular system in Glycine max seedling was established by rather rapid process. Our observations of the serial sections from root to hypocotyl revealed that the vascular system through the root-hypocotyl-cotyledon was a unit, to which one of the epicotyl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ransition was superimposed.

      • KCI등재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 이론에 대한 비판 및 재구성 - 발리바르의 `자유-평등` 명제의 관점에서 -

        강경덕 ( Kyong-deock Ka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56 No.3

        알튀세르는 이데올로기를 사회의 보편적인 요소이자 그 자체의 물질적 메커니즘을 지닌 것으로 이론화한다. 이 이론은 개인들이 호명을 통해 무의식적으로 이데올로기에 종속되는 과정을 이론화하면서 고전적 마르크스주의가 설명하지 못하는 부분을 다룰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다. 특히 민족, 인종의 문제를 계급 정체성의 문제와 접합할 수 있는 이론적 가능성을 내포한다. 하지만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 이론은 재생산과정에 집중하면서 이데올로기의 해체와 재구성의 문제를 적합하게 설명하지 못한다. 이 논문에서는 르세르클의 반호명 이론과 발리바르의 이상적 보편성 개념에 기대어 이러한 이론적 약점을 보완할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특히 이상적 보편성을 매개로 이데올로기의 갈등적 구성을 설명하는 발리바르의 이론에 주목하면서 알튀세르의 논의의 한계를 극복할 방법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Althusser constitutes a decisive modification of the problem of ideology by conceptualizing it as a universal element of society operating on its own materiality, which allows us to better understand the reproductive processes where individuals unknowingly submit to ideology through interpellation, and the formation of mass ideologies and identities irreducible to class identity. However, such a conceptualization exhibits its weaknesses in accounting for the emergence of a new subject. In particular, the explanation of counter-interpellation in terms of its inner mechanism lacks in Althusser`s account of ideolog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some ways to elaborate this mechanism through Lecercle`s theory of language and Balibar`s conceptualization of ideal universality, and to find continuity/discontinuity between Althusser and Balibar particularly in terms of ideology. Lecercle investigates the transformation of ideology by making reference to Derridian dissemination: the interpellative process is also the process of de-interpellation in that language slides from the speaker`s intention in the same process of its reproduction. Balibar theorizes possibility of ideological transformation by utilizing the idea that ideologies could not be dominant without universal elements, e.g. equal-liberty. This paper utilizes these theories to complement what remains underdeveloped in Althusser`s theory of ideology, giving critical account of them.

      • KCI등재

        구조인과성의 변증법의 가능성과 한계

        강경덕(Kyongdeock Ka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1

        알튀세르(Louis Althusser)는 『『자본』을 읽자(Lire le capital)』에서 스피노자(Benedict de Spinoza)의 이론에 의지해서 사회와 역사 영역에 적합한 과학적 인과성 개념으로 구조인과성(structural causality, la causalité structurelle) 개념을 가공한다. 그러나 이는 많은 이론적 난점을 지니고 있었다. 특히 모순을 바탕으로 구성되는 이론인 변증법을 긍정성/실정정을 바탕으로 하는 스피노자의 이론으로 재구성하고 해체하는 작업은 이론적 갈등을 초래했다. 결국 알튀세르는 스피노자의 이론을 통한 역사유물론 개조 작업을 이론주의로 비판하고 헤겔(G. W. F. Hegel)의 변증법으로 회귀한다. 알튀세르는 스피노자와 헤겔 사이에서 나타나는 변증법의 이론적 문제를 적합하게 해결하지 못한 것이다. 하지만 두 이론가 사이에 절충의 지점이 완전히 부재한다고 말할 수는 없다. 스피노자의 이론에 내재하는 관계(relations) 및 내재적 인과성(immanent causality)이 모순 자체를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헤겔의 부정성(negativity) 개념도 주체 없는 과정(process without a subject or a goal)의 요소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마슈레(Pierre Macherey)와 바스카(Roy Bhaskar)의 스피노자·헤겔 해석을 참조하며 알튀세르의 이론 속에 내재하는 이론적 갈등을 조명하고, 스피노자와 헤겔의 변증법이 수렴할 수 있는 이론적 조건에 대해서 논의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마슈레의 해석을 바탕으로 스피노자의 실체·속성·양태 개념에서 드러나는 이론적 난점들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의 이론을 변증법적으로 독해할 가능성을 모색할 것이다. 나아가 이를 바스카의 부재화(absenting of constraints on absenting absences or ills)로서 변증법 이론과 비교한 후, 관계의 존재론(ontology of relations)의 관점에서 이 두 이론이 수렴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 글은 헤겔 대 스피노자라는 쟁점을 되살리며 ‘구조인과성’을 재평가하고. 비목적론적 변증법의 구성을 위한 이론적 조건들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In Reading Capital (Lire le capital), Louis Althusser attempted to construct the notion of structural causality (la causalité structurelle) based upon Benedict de Spinoza's theory of substance, which was aimed to capture the originality of the conception of historical/social causality posited by Karl Marx and to pose historical materialism as a rigorous science. The point was to change/translate G. W. F. Hegel's dialectic into a non-teleological one, i.e., the dialectic of a process without a subject or a goal. However, this resulted in some theoretical problems in that Spinoza's theory of the positive was incompatible with the Hegelian dialectic, which was based upon the notion of contradiction. Thus Althusser returned to the Hegel's dialectic, criticizing that his own project of reconstructing Marxism was a theoreticism. However, Althusser failed to understand a certain dialectic working in Spinoza's work: contradictions are at work in Spinoza' theoretical system of substance, though differently from that of Hegel. Therefore, I will attempt to find a different form of dialectic in Spinoza's work based on Pierre Macherey's reading of Spinoza's dialectic and explore the possibility to find the point of convergence between Spinoza and Hegel with reference to the notion of relations (determination by relations): the conception of relations implied by Marx's and Spinoza's work creates some theoretical space where positivity and negativity can stay together without negating each other, and in turn provides a theoretical platform on which to construct a non-teleological dialectic.

      • KCI등재

        마르크스주의적 ‘구조’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랑시에르 대 바스카 -

        강경덕 ( Kang Kyong-deock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59 No.3

        자크 랑시에르는 사회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추구하는 마르크스주의나 ‘관계의 존재론’에 바탕을 둔 구조주의가 대중의 정치적 실천을 억압한다고 주장한다. 나아가 그는 정치가 정치의 조건으로 환원될 수 없는 독자적인 특징을 갖는다고 주장한다. 마르크스주의의 이름으로 대중을 억압한 다수의 사례가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그의 비판은 주의 깊게 들을 필요가 있다. 또한 마르크스주의나 구조주의 이론들이 구조의 일반성을 강조하면서 대중의 실천을 상대화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사회에 대한 과학적 이해라는 문제틀 자체가 실천을 억압한다는 그의 주장은 비판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현실에 대한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분석없이 유효한 실천을 사고할 수 있는지 반문할 필요도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랑시에르의 비판에 반해 과학과 실천의 접합을 사고할 수 있는 방법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하지만 이 글이 단순히 랑시에르에 반해 과학적 담론의 특성 및 유효성을 방어하는 데 그치지는 않을 것이다. 마르크스주의 이론이 이데올로기나 이데올로기 내부의 모순을 적합하게 이론화하지 못하는 데 반해, 랑시에르의 ‘평등’ 이론은 이러한 이론적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이론적 잠재력을 지닌다. 이는 랑시에르의 이론이 과학적 문제설정을 부정하기보다 과학적 문제설정 안에서 마르크스주의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랑시에르가 주장한 것과 달리 랑시에르의 ‘이상적 보편성’ 이론을 과학적 문제설정의 틀 속에서 이해하고 이를 마르크스주의와 접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찰할 것이다. Jacques Rancière criticizes Marxist project of a struggle of science, including Althusser's, against ideology for repressing the potential strength of mass revolt. Though admitting the relevance of his criticism that politics cannot be reduced to the simplicity of the Marxian proletariat nor to its conditions, however, it is not easy to accept his other claim that the idea of scientific understanding of society exercised a negative impact on social or popular movements as such. Thus, this paper attempts to reconsider/reconstruct the meaning of sciences and structure, without negating the social movements' effectivity, with reference to Bhaskar's critical realism. However, this paper will not simply defend the role of sciences against Rancière, but rather attempt to articulate Rancière's theory of equality with the Marxian framework of the mode of production. Rancière's theory of ideal universality has the theoretical potential to complement what lacks in the Marxist theory of ideology rather than deconstructing it, by providing a concrete theoretical too to analyze the materiality of ideology and its immanent contradictions.

      • KCI등재

        노동가치이론의 근본 전제에 대한 고찰-자동화와 노동가치이론

        강경덕 ( Kang¸ Kyong Deock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21 철학연구 Vol.- No.64

        기술발전과 함께 생산과정의 자동화와 디지털 경제가 심화되었고, 이러한 경향은 인간의 노동을 가치의 근원이자 기준으로 정립하는 마르크스(K. Marx)의 잉여가치론의 이론적 유효성을 부정하는 계기로 작용하는 것처럼 보인다. 기계가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는 상황에서 인간의 노동이 가치를 생산한다는 주장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실제로 자동화와 디지털 경제가 노동력을 대체하면서 노동가치론의 이론적 전제를 무너뜨리고 있는지 경험적으로 검증할 것이다. 나아가 이 논문은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노동을 측정 가능한 단위이자 가치의 기준으로 만드는 조건이 무엇인지 묻고, 자동화와 디지털 경제가 그 조건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볼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 글은 현재의 자동화나 디지털 경제가 자본주의적 생산관계의 중력장 안에서 노동가치론의 근본 전제인 ‘노동의 현실 추상화’를 유지하거나 강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일 것이다. 그 과정에서 노동가치이론이 온라인 노동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노동/작업 방식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 논할 것이다. The development of automation and digital economy seems to deny the theoretical validity of Marx’s labor theory of value, which posits labor as the standard of value. So,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automatized machines really replace labor and thereby invalidate the labor theory of value by encroaching upon its conditions. It also asks, on a more fundamental level, under what conditions labor (or labor time) becomes a measurable quantity, and whether/how the current economic changes influence these conditions. In conclusion, it argues that automation and digital economy serve to maintain or rather intensify the real abstraction of labor, which is the core mechanism/condition of the labor theory of value, and thereby they still gravitate around the capitalist relation of production.

      • KCI등재

        정치의 타자 또는 조건 -알튀세르의 인식론적 절단-

        강경덕 ( Kyong Deock Kang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2 철학연구 Vol.0 No.46

        알튀세르는 역사과학의 고유한 이론적 아포리아인 구조/정세, 구조/모순의 아포리아를 해결하고, 마르크스의 역사유물론을 엄격한 과학으로 정립하기 위해 과잉결정 개념과 인식론적 절단 개념을 가공한다. 과학적 마르크스주의를 방어하려는 알튀세르의 이와 같은 이론적 시도는 중심점을 철학과 문화이론으로 이동시켜 역사과학의 난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했던 루카치 (자본에 반한 혁명), 칼코르쉬, 프랑크푸르트 학파 등 당대의 서구 마르크스주의의 주요 흐름과 큰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알튀세르는 자기비판을 통해 초기의 인식론적 절단 개념을 수정하고 철학을 이론에서의 계급투쟁으로 재정의한다. 이전의 입장(『자본을 읽자』)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계급착취로 인한 모순과 실천을 마치 구조의 단순한 효과처럼 다루었다는 것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역사의 사건이나 현상이 정해진 경로(인과성의 법칙)를 따라 움직이고 결국 그 안에 다른 실천적 대안이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철학과 인식론적 절단의 재정의는 이러한 이론주의적 편향을 극복하기 위한 이론적 시도이다. 하지만 알튀세르의 이러한 이론적 수정은 주의주의라는 비판을 받게 된다. 또한 많은 이론가들은 알튀세르의 자기비판에서 자기파괴의 경향을 읽어내기도 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1) 알튀세르의 자기비판을 중심으로 사회 및 역사에 대한 과학적인 담론을 구성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논점들을 확인하고, 2) 알튀세르의 자기비판에서 긍정적인 자기발전의 양상을 찾아내는 것이다. 역사과학의 유효성이 과학적 실증성 (예: 사회적 생산, 이윤율 분석)뿐만 아니라, 역사적 사건과 투쟁에 의해 이중적으로 결정된다고 주장하는 알튀세르의 자기비판은 실천의 가능성을 개방하는 동시에 역사의 객관성을 사고해야 하는 역사과학의 특수성을 사고하는데 있어 주요한 이론적 준거점을 제시한다. 즉 철학에게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실천을 표상하게 하면서, 이를 과학적 검증의 대상이 되도록 재구성하는 알튀세르의 시도는 과학과 실천을 접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개방한다. This paper provides a critical account of Louis Althusser`s (1918-1990) self-criticism. In Reading Capital, Althusser`s project commenced with the concepts of structural causality and epistemological rupture. Its main focus was to capture the originality of the conception of historical causality posited by Marx and Marxism, and to pose historical materialism as a rigorous science by providing it with an epistemological and scientific basis. Althusser then shifted his emphasis from this epistemological problem to a political task the correction of what he perceived, in self-criticism, to be a theoreticist tendency in his initial project. Most existing assessments of Althusser`s theory stress the destructive elements in his works after his self-criticism, while sharing the view that the real theoretical contribution of Althusser`s Marxism is to be found in his first mature works. In particular, Althusser`s self-criticism was accused of voluntarism in the sense that it viewed history as the clash of rival class wills rather than explaining the causes/formation of the latter. This paper argues that this interpretation loses sight of the important contributions Althusser`s self-criticism made to Marxism. Althusser`s reformulation of philosophy and historical materialism implies the double determination by the scientific positivities and historical events and struggles, which provides a reference point to articulate practice and theory in a scientific way: philosophy, which represents political and ideological practice, becomes the object of scientific proof. In short, the thesis of class struggle as the motor of history still retains the scientific view of historical causality, and distinguishes itself from Ranciere`s and Badiou`s theoretical positions, which relativize or mystify the conditions of politics.

      • SCOPUSKCI등재

        은행나무 유식물에 있어서 반응구조의 분화에 대한 해부학적 연구

        강경덕(Kyung Duck Kang),소웅영(Woong Young Soh) 한국식물학회 1990 Journal of Plant Biology Vol.33 No.4

        In order to elucidate the formation of reaction tissues during the transition from primary to secondary growth, the developmental anatomy was conducted in the first internode of Ginkgo biloba seeding in horizontal position. The righting of the horizontal first internode took place at the middle portion and gradually proceeded to the base during the primary growth. Reaction tissues we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righting movement in the horizontal first internode. During the transition from primary to secondary growth, compression wood was gradually developed on the lower side only. The anatomical features of compression wood also extended longitudinally to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where it coincided with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Thus, compression wood formation in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first internode occurs acropetally from basal to apical portion. Eventually, some of the anatomical features of compression wood occurred at the primary growth. And the typical compression wood is gradually established during the secondary growth. On the other hand, the lower side tracheid and ray were longer and higher than those of the upper side in the horizontal first internode. however, difference in the width of ray was not observed between the lower and upper si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