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일인에서 슬관절 전 치환술 및 단일 구획 치환술 후 보행 분석 비교

        최원식(Won-Sik Choy),김하용(Ha-Yong Kim),김갑중(Kap-Jung Kim),감병섭(Byung-Sup Ka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4

        목적: 통일 환자에서 시행한 슬관절 단일 구획 치환술(UKA)과 전 치환술(TKA) 후 보행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동일 환자에서 슬관절 전 치환술과 단일 구획 치환술을 받은 1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70.3세(64-74)였다. 보행 분석은 슬관절 전 치환술 후 평균 14.6개월, 단일 구획 치환술 후 11.8개월에 시행하였다. 임상적, 방사선 평가 및 3차원 보행 분석을 시행하였다. 비슷한 연령대의 여자 7예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결과: 양 군 모두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호전되었다. 보행 속도, 골반 경사, 초기 입각기의 슬관절 굴곡, 최대 슬관절 굴곡, 초기 입각기에서 하중 반응기 사이의 슬관절 운동 범위와 중간 입각기에서 초기 유각기 사이의 슬관절 운동 범위 및 족관절의 3호 족저 굴곡을 제외하고 양 군에서 정상 보행 형태를 보였다. 시상면상 초기 입각기에서 양 군의 슬관절 굴곡 정도가 유사했으나 정상 대조군과 차이가 있었으며, 하중 반응기에서는 양 군과 정상 대조군 간에 차이는 거의 없었다. 운동 역학에서 말기 입각기의 발들림 모우멘트, 하중 반응기의 수직 지면 반발력, 초기 입각기의 고관절 신전 모우멘트 및 힘 값에서 UKA군이 정상에 가까운 결과를 보였다. 결론: 단일 구획 치환술과 전 치환술 후 보행 양상은 정상에 가깝게 회복되었다. 골 변형 교정은 전 치환술을 시행 받은 군에서 더욱 정상적인 정렬을 보였으며, 운동 역학적으로는 지면 반발력 등의 측면에서 UKA군이 더욱 정상에 가깝게 회복되었다. Purpose: To compare the gait characteristics of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UKA)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TKA) performed on the same patient.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female patients with advanced degenerative arthritis of both knee joints were enrolled for the study group. The mean age was 70.3 (64-74) years old. One side of the knee joint had been replaced with UKA and the other side with TKA.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1.8 months for the UKA side and 14.8 months for TKA sid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evaluations were performed. The gait features of the study group were assessed using computerized gait analysis. Seven age-matched healthy female volunteers (14 knees) were included as the normal control group. Results: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improved after joint replacement in both groups. The postoperative gait was almost normalized regardless of the type of surgery performed, with the exception of some parameters including the walking speed, mean pelvic tilt, knee flexion at initial contact, peak knee flexion, knee flexion between initial contact and loading response, knee flexion between initial swing phase and mid-stance phase and ankle 3rd rocker. Knee flexion at the initial contact of UKA and TKA groups was similar, and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normal control group. At the loading response, the amount of knee flexion was similar between the three groups. Kinetic data of the first peak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and hip extension moment at loading response were better in the UKA group. Conclusion: The gait features were normalized in both groups. The UKA group was better normalized than the TKA group in terms of the aspect of the gait features, whereas TKA group showed better correction of deform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