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집회시위 해산 절차의 개선방안 연구 - 경찰업무기준론의 관점에서 -

        황규진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6 경찰학논총 Vol.11 No.3

        집회시위 해산 절차에 대하여 국내 규범과 국제 규범 그리고 인간 지향 경찰활동을 각각의 축으로 하는 경찰업무기준론을 도식화하고 그동안 법률이나 정책학, 사회학 등으로 흩어져있던 연구를 통합하여 보았다. 여기서 경찰업무기준을 만들겠다는논리는 경찰 자의에 의한 법집행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규범을 바탕으로 국제규범과 외국 경찰 사례, 그리고 인권 가치와 법과학/법공학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경찰의 업무기준을 세밀하게 제대로 만들겠다는 취지이며 한 걸음 더 나아가 현장에서의 법집행 분야도 발전시키는 목적도 겸하고 있다. 경찰업무기준론의 틀로 불법 집회시위 해산 절차를 검토하여 본 결과 국제법 규범에서는 ‘해산은 최후의 수단’, ‘타인의 불법행위로 전체 시위대의 집회의 자유가 침해되어서는 안된다’는 등의 선언적규정이 우리나라의 국내법규에 반영이 되지 않았음을 발견할 수 있었고, 독일 경찰의집회 해산 사례를 살펴보면서 집회 해산과 위해성 장비의 사용은 불가분의 관계에있음을 알게 되었다. 인권과 법률의 조화를 위해 합법성과 비례성의 원칙을 검토하여본 결과 훈령/규칙이나 내부 지침이라 할지라도 시민의 참여 하에 공정하고 투명하게 제정되어야 한다는 사실도 배울 수 있었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찾아보기는 힘들지만 과학적 연구를 통해 집회시위 관리정책의 발전 가능성을 엿봤다. 이렇게 잘게 쪼개진 개선안들을 다시 모아서 집회시위 해산에 이르는 위험 즉, 공공의안녕과 질서에 명백하게 초래된 위험 여부를 판단할 새로운 ‘평화적 집회시위 보장위원회’를 설립하여 운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한편, 행정규칙이나 내부 지침이라 할지라도 국민의 권리에 침해를 가할 수 있는 경우라면 시민의 참여하에 공정하고 투명하게 제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It needs the multi-level considerations pertaining to the procedure for the dispersal of the assembly. First of all, researcher suggests the theory of policing standards which is consisted of three axes such as the international norms, domestic norms and human-oriented policing. This theory creates the 3 dimensional space for the framework of the research and analysis. This theory does not mean the arbitrary law enforcement in policing, but manufacture the successful and well-taylored standards for policing in detail. Then, in view of the framework of policing standards, the dispersal of the assembly in Korea has various kind of problems. Korean domestic law does not include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properly. Although Water canon is proved harmful for many participants of the assembly, its guidelines even does not include the principle of necessary minimum. The enforcement ordinances or guidelines which may infringe the people’s rights are not established by fare and transparent ways. Korean Police has made many ordinances and guidelines for the assembly discretionally. Moreover, there are very few research for the evidenced based policing. Therefore, researcher suggests that new committee should have the rights for decision of the risk evaluation in the dispersal of the assembl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nd civil parts should take part in the legislation procedure for the ordinances and guidelines about the assembly.

      • KCI등재

        집회소음 규제에 대한 미국 뉴욕경찰청(NYPD)의 제도와 연방대법원 판례 연구

        황규진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5 경찰학논총 Vol.10 No.1

        지난 2014년 7월 21일 경찰청에서는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시행령(대통령령 25488호)을 개정하여 집회시위 소음 규제를 강화하였으며, 개정된 기준은 10월 22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집회시위 소음규제는 헌법적 권리의 충돌이라고 할 수 있고 어떻게 하면 양자를 조화시켜야 할지에 대해서는 국민적 합의가 필요한 부분이다. 이에 따라 필자가 미국 뉴욕 경찰청(NYPD)을 방문하여 수집한 자료와 미국 연방대법원의 판례를 연구하여 한국적 상황에 맞는 실무적인 검토를 전개하여 보았다. 미국 뉴욕의 집회시위 소음규제는 경찰기관장에게 광범위한 재량을 허용하면서도 우리나라보다 더 강력한 규제를 하고 있다. 집회시위를 개최하고자 하는 자는 집회신고를 할 때 별도의 소음허가 신청서를 제출해야 하며 수수료는 하루에 45$이다. 구체적인 소음기준은 없고 경찰서장이 이전의 집회에서 발생한 소음의 정도, 인근 주민의 불편사항을 등을 고려하여 집회 책임자와 협상을 통해 허가 여부를 결정한다. 미국은 프라이버시의 보호를 위해 선택의 자유 없는 청중의 법리(captive audience doctrine)를 판례의 원칙으로 발달시켜왔으며, 헌법 판례로 확립된 정교하게 고안된(narrowly taylored) 원칙에 의거하여 헌법상 기본권을 제약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1948년 Saia v. New York 판례, 1949년 Kovacs v. Cooper 판례, 1988년 Frisby v. Schultz 판례, 1989년 Ward v. Rock Against Racism 판례를 검토하였다. 이들 판례들은 정교하게 고안된 법령이라면 헌법적 자유라 할지라도 제한할 수 있다는 원칙을 발달시켜온 역사라고 할 수 있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집회소음 규제에 대한 판례는 나오지 않고 있지만 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가 더 많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결론으로는 한국의 집회시위에 대한 오랜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보건대 경찰기관장에게 광범위한 재량권을 허용하는 것은 어렵지만, 정교하게 고안된 원칙에 근거하여 집회시위 소음을 규제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이는 경찰법 상의 비례의 원칙을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과 배치되는 부분이 있는데, 비례의 원칙이 현장에서는 적용하기가 까다로와 실효성이 적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향후 집회시위 소음 규제에 대한 데이터가 축적되고 법률 이론이 꽃을 피워 객관적으로 계량화, 수치화된 집회시위 소음 기준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The newly amended noise restriction of the law on the assembly and the demonstration entered into force from July 22 by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The grounds for the amendment of the section of the noise restrictions are the growing civil complaints rate, ineffective measurement, the necessity of regulation in proximity to hospital and library zone. A lot of NGOs and some lawyers who organized or participated in the assembly and the demonstration argued that new standards are too extravagant to regulate the noise level of the assembly and eventually infringe the rights of free assembly. It became important to find whether the reinforced regulations are too restrictive. Therefore, I searched the legislative cases of the of the US Supreme Court. In the view of the legislation, many developed nations adopt more reinforced and specific standards for the assembly noise than that of the Republic of Korea. Although the methods of the regulation and measurement are excessively different, its trends are quite distinct. In the occasion of the US NYPD(New York Police Department), NYPD requests the assembly application and the sound device application respectively from the organizer of the assembly. If someone wants to organize the public assembly during 5 days, it needs to submit the assembly application once. However, the organizer should submit the sound device application 5 times with a fee of 45$ per day. The police commissioner might not issue the sound device permit if the public assembly can harm the safety and peace of the place due to the noise. Therefore, the organizer negotiate sound device permit with the authority everyday. In Korea, the sound device application is included in the assembly application. If police authority issue the permit of the public assembly during one month, the organizer has the rights to use any sound device or apparatus under the regulation standards in the period of one month without no fees. On the other hand, US Supreme Court developed the time, place and manners restrictions in relation to protecting the First Amendment. These restrictions need 4 principles to evaluate the consistency with constitutionality; content-neutral, narrowly taylored, significant government interests and open alternative channels of communications. As ‘narrowly taylored’ principle is associated with the protection of privacy, ‘captive audience doctrine’ is established. The US Supreme Court held in Kovacs v. Cooper case that captive audience should not be infringed by loud and raucous noise of the public assembly. However, the Court in Frisby v. Schultz and Snyder v. Phelps cases held that captive audience doctrine must be narrowly tailored. It seems to focus on the protection of more privacy than the rights of assembly.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has not any specific case with the sound devices or noise of the assembly. However, there are similar principles in relation to time, place and manners. All of these related cases suggest that the amendment of noise standards in assembly does not infringe the rights of free assembly.

      • KCI등재후보

        문화유산활용과 지역사회프로그램 - 쿵쾅! 쿵쾅! 공룡허수아비 조형예술제 연계 교육?체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황규진 한국박물관학회 2015 博物館學報 Vol.- No.29

        이 연구는 지역사회 프로그램 개발 시 문화유산을 활용하는 사례에 초점을 두어 바람직한 응용 모델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관광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심이 많아지 면서 많은 지역자치단체들이 지역문화유산을 자산으로 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모색하고 있다. 잘 설계된 문화유산활용 프로그램은 문화유산 본래의 모습을 해치지 않고도 새로운 가치를 발굴하여 지역민에게 자부심과 문화향유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부가가치를 창출하여 지역사회활성화에 이 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 사례로 경기도의 문화유산활용방안 공모로 채택된 ‘쿵쾅! 쿵쾅! 공룡허수아비 조형예술제’의 제안내용과 실제 프로그램으로 구상되어 실행되는 과정을 알아보고, 지역문화유산을 자산으로 한 지역프로그램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역의 문화유산을 활용한 지역사회 프로그램은 지역의 정체성을 재정립하고 지역문화 중흥을 가져올 수 있는 높은 가 능성과 가치를 가지고 있다 여겨진다.

      • KCI등재후보

        치안정보의 개념에 관한 연구

        황규진 경찰대학교 2009 경찰학연구 Vol.9 No.1

        The Police of the South Korea have played an important part in national security and order maintenance by intelligence operations. The intelligence operations of the police has originated in Japan's 1910-1945 rule of Korea when most policing pattern was political surveillance or watch for independent movements. After national liberation in 1945 and national foundation in 1948 police had watched politician of nongovernment parties and many student activists. Because the legacy of Japan's rule of Korea had not been eliminated and anti-communism had strengthened the intelligence operations of the police. In this thesis, I examined whether the national intelligence was different with the intelligence operations of the police and considered the countermeasure at the protection of the private information. The intelligence operations of the police is the branch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But the police's is more lawfulness than the nation's. Because the national intelligence is possible to go ahead the covert action if necessary. I indicate that the police's intelligence must specialize in order maintenance and the nation's in national security. The police's intelligence gathering and analysis is possible to violate private information by necessity: all the police's action in itself too. Accordingly the intelligence operation of the police have to be regulated in democracy and ruled in law. The scope, limits, objects, methods, procedures of policing in relation to intelligence must be provided in the law. As excessive regulation is able to shrink the diversity of the policing, the sufficient debates and scientific support is necessary. And it have to correspond with the real situation of Korea.

      • KCI등재

        둥근대이끼(산주목이끼과)의 신분포지 및 형태적 특징

        황규진,박선주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3 No.4

        Plagiothecium platyphyllum Mönk (Plagiotheciaceae), a species unrecorded previously in the moss flora of the Republic of Korea (South Korea), was collected in the Surak stream of Mt. Daedun in Jeollabuk-do Wanju-gun Sanbuk-ri. This species was known to be distributed around China, Japan, North Korea, and Europe.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P. platyphyllum’s leaf are ovate-lanceolate, and mostly asymmetric, 2.0~2.5 × 1.0~1.4 ㎜. The margin of the leaf is entirely below and weakly serrulated near the apex. The costae parts are double, unequal, with one branch reaching to the mid-leaf. Median leaf cells are linear-rhomboidal, 80~127 × 10~16 ㎛ and alar cells are rectangular. Central strand is developed in the core of the stem. 둥근대이끼(P. platyphyllum)는 산주목이끼과 산주목이끼속에 속하는 선류 식물이다. 중국, 일본, 유럽, 북한에 분포하고있다. 특히, 북한 지역에는 관모봉, 금강산, 묘향산, 차일봉에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남한 지역에는 2017년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산북리 대둔산 수락계곡에 자생하고 있음이 처음 확인되었다. 식물체의 색깔은 녹색에서 암녹색이고 윤기가 난다. 줄기에는 중심속이 발달해 있다. 가지는 불규칙하고, 가지잎은 편평하게 붙는다. 잎은 난상 피침형으로 2.0∼2.5 × 1.0∼1.4 ㎜이며, 비대칭하는 것이 특징이다. 잎 중앙세포는 80∼127 × 10∼16 ㎛로서 형태는 장사방형이다. 본 연구에서둥근대이끼의 형태학적 기재와 동정을 위한 주요 형태 형질의사진, 도해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관람객의 주체적 해석과 경험을 위한 아카이브 전시연출 고찰 -국립현대미술관《미술이 문학을 만났을 때》전시를 중심으로-

        황규진,김영호 한국박물관학회 2021 博物館學報 Vol.- No.41

        If museum exhibitions in the past unilaterally instilled knowledge into visitors, the exhibition in the new museum emphasizes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exhibits and themes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of visitors. Now, museums will not convey only one meaning to visitors, but will display it in a way that museums and visitors can create, modify, and share various interpretations together. Even in the selection and interpretation of exhibits, which were the areas of experts, more freedom and authority are given to visitors, aiming for exhibition models different from previous knowledge structures. Visitors-centered museums, which value the experience of visitors and the composition of their meanings as independent learners, require a form of respecting visitors' free choice, and the exhibition of archives has recently been highlighted as an exhibition method to accept it. Archive exhibition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methodology for exhibition production that develops from simple sharing and disclosure of archives to deepen visitors' understanding in the context of narrative exhibitions. The "Encounters Between Korean Art and Literature in the Modern Age" (2021.2.4.-5.30) held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Deoksugung, was an exhibiti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 and the artis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lthough not designed as an archive exhibition as an aesthetic strategy, the special exhibition that has a strong character as an archive exhibition exhibits a vast amount of documentary materials such as letters, drawings, material photographs, and rare books, and duplicated visual materials and videos. In this thesis, it will be discussed that this exhibition as an example of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ve exhibition, that provide subjective interpretation and experience to visitors and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exhibition in the context of narrative exhibitions. 과거의 박물관 전시가 일방적으로 관람객들에게 지식을 주입하였다면 새로운 박물관의 전시에서는 관람객의 능동적인 참여를 통한 전시물과 주제의 주체적인 해석이 강조되고 있다. 이제 박물관은 하나의 의미만을 관람객들에게 전달하는 방식이 아닌, 박물관과 관람객들이 함께 의미를 만들고 수정하고 다양한 해석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전시를 진행한다. 전문가의 영역이었던 전시물의 선별과 해석에서 조차 자유와 권한을 관람자에게 더 많이 부여하여 이전의 지식구조와 다른 전시 모델을 지향하고 있다. 관람객의 경험과 주체적 학습자로서의 의미 구성을 중시하는 관람객 중심 박물관에서는 이렇게 관람객들의 자유로운 선택을 존중하는 형식이 요구되는데 이를 수용하는 전시방법으로서 최근 아카이브 전시가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아카이브 전시는 단순한 기록물의 공유와 공개에서 발전하여 내러티브 전시의 맥락 속에서 관람객의 이해를 심화시키는 전시연출 수단의 새로운 방법론으로 주목된다.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 열린《미술이 문학을 만났을 때》(2021.2.4.-5.30)는 우리나라 일제 식민 치하에서 예술가들이 서로 교유하던 관계에 주목한 전시로 미학적 전략으로서 아카이브전으로 기획 된 것은 아니지만, 편지, 드로잉, 자료사진, 희귀본 도서 등의 자료와 복제된 시각자료, 영상 등 방대한 양의 기록물 자료를 작품과 함께 전시한 아카이브전으로서의 성격을 강하게 가진 기획전이다. 관람객에게 주체적 해석과 경험을 제공하고, 기록물의 공유와 공개를 통해 내러티브 전시의 맥락 속에서 전시의 이해를 심화시키는 아카이브 전시의 특성을 잘 활용하고 있는 예로서 이 전시를 긍정적으로 고찰해 보고자한다.

      • KCI등재후보

        협의관리모델 분석을 통한 한국 경찰의 집회시위 관리정책 연구

        황규진,김학경 한국융합보안학회 2011 융합보안 논문지 Vol.11 No.2

        미국과 유럽의 집회시위 관리정책은 지난 30년 동안 ‘물리력 의존 모델(Escalated Force Model)에서 협의관리모델(Negotiated Management Model)로 급진적으로 변화해왔다. 스웨덴은 2008년부터 집회시위 주최 측과 대화를 통해 질서를 유지하는 ‘대화 경찰(Dialogue Police)’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한국 경찰은 진압 위주의 대책을 탈피하기 위해 1999년 이무영 경찰청장이 제시한 ‘新집회․시위 관리대책’ 이후, 2010년 G20 서울 정상회의를 전후해 협의관리모델의 한 방편인 ‘합법촉진적 집회시위 관리방침’(Facilitation of Lawful Protests Model)을 시행하고 있다. 이 방침을 바탕으로 G20 서울 정상회의를 무사히 치러낸 한국 경찰의 역량은 높이 평가할만한 것이다. 하지만 한국 경찰의 집회시위 관리정책에 대한 이론적 토대가 약하기 때문에,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서구 경찰의 협의관리모델을 통해 합법촉진적 집회시위관리방침을 분석하였다. 그중에서도 특히 집회시위 현장에서 시위대와 협상을 담당하는 스웨덴의 대화경찰과 한국의 정보경찰에 대해 비교해 보았다. 정보경찰이 집회시위에 대한 규제가 심각하다는 시각도 있지만, 시위대와 대화를 중단하는 경우는 없으며 최근 그 협의 사항이 잘 지켜지는 추세이기 때문에 한국적 협의관리모델이 나름대로 발달해 왔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서울 G20 정상회담의 집회시위 관리정책을 관찰한 뉴욕시립대 Alex S.Vitale 교수는 한국 경찰도 ‘협의관리’ 체계 속에서 운용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한편, 한국과 서구의 경찰제도의 역사와 구조가 상이한데도, 대화, 협상, 조정촉진, 대안제시와 같은 갈등해결기법을 연결고리로 집회시위 관리정책이 상호 접근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앞으로 갈등해결기법을 더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한국적 집회시위 관리정책의 미래로 갈등해결 촉진모델(Facilitation of Conflict Resolution Model)을 제시하였다. In Western Europe and the US, there has been a general trend over 30 years of reducing the amount of force by the police, through a paradigm shift from 'Escalated Force Model' towards 'Negotiated Management Model'. In tune with this trend, for example, the Swedish Police have implemented the uniformed 'Dialogue Police' system, in order to establish communication contact with demonstrators, before, during, and after their events. The Negotiated Management Model involves a greater respect for the rights of protesters, a more tolerant approach to community, and improved intelligence, communication, and flexibility, in order to facilitate lawful protests and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an escalation of major public disorder. The Korean National Police (KNP) appears to be operated within this negotiated management framework, since in preparation for the G20 Seoul Summit, they have also emphasized good communication between the police and protest groups, by newly creating the concept of 'Protest Policing Through Facilitation of Lawful Protes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first attempts to analyze not only the negotiated management model, but also the Swedish dialogue police. Secondly, the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KNP's Protest Policing Through Facilitation of Lawful Protest and the Swedish dialogue police system, particularly, in conjunction with the negotiated management. Although Korean and western police have different system and history, protest policing model is now approaching with each other through a link between conflict resolution techniques, such as dialogue, negotiation, mediation and facilitation. Finally, the study is to prove if the KNP's protest policing model corresponds with the negotiated management model, and further to suggest new 'Facilitation of Conflict Resolution Model' as a desirable future of the KNP's protest policing.

      • KCI등재

        갈등해결기법의 경찰업무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황규진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1 경찰학연구 Vol.11 No.3

        The police work is inseparable from conflicts. Most 112 reports that is equivalent to the U.S. 911 reports start from conflicts between individuals. The police officers are destined to fairly execute law in the middle of a conflict among the many parties involved – offender, victim, witness and the pr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police to be fully aware of conflicts and learn how to respond to them properly. Fist of all, I reviewed Conflict Resolution Techniques such as negotiation, mediation, arbitration and facilitation. Then I verified that facilitation i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in which the police can intervene with conflicts situation in Korea. Because the police do not have the neutrality among lots of parties of conflicts, the police cannot mediate any conflicts. However, if the conflicts are serious and violent, the police had better facilitate the conflict directly. For example, in the month leading up to the G20 Seoul Summit in 2010, members of a naval veterans group - UDT veterans - threatened to undertake violent protest to raise awareness of their demands for enhanced pensions. At that time, the Commisioner General of Police arranged for a meeting between the UDT veterans and the Minister of Defense to insure that the issue could be dealt with through bureaucratic channels rather than street protest. It was the most successful case of the facilitation. Then I examined the cases to apply conflicts resolution techniques to the police work such as the mobilization police in the U.S police, Civil Complaints Review Board in NYPD, Dialogue Police in Sweden and the Victim-Offender Mediation Program in Korean Prosecutors. As the studies related the conflict resolution are still new and fresh fields, especially in police work, I does not suggest the specific policies but explain the current position of Korean Police on the view of conflict resolution techniques. These techniques also seem to be one of the most primary new direction in police science.

      • KCI등재

        성범죄사건 양형판단에서 배심원 특성의 영향과 피고인 요인의 조절효과

        황규진,박우현,이수정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2 여성연구 Vol.114 No.3

        본 연구에서는 배심원의 심리특성, 피고인 요인 등 법률 외적 요인이 배심원의 법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배심원의 심리특성이 양형에 미치는 영향을 피고인의 감정호소, 제3자의 선처 탄원서가 조절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참여재판 배심원 선정 가능성이 있는 만 20세부터 69세 사이의 연구 참여자 총 351명(여성 173명, 남성 17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양가적 성차별 의식, 강간 통념 수용도가 높은 배심원일수록 피고인에게 무죄 판단을 내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3자의 선처 탄원서가 피고인의 양형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한편 배심원에 대한 피고인의 감정호소 여부에 따라서는 양형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심원의 양가적 성차별 의식, 강간 통념 수용도와 양형의 관계에서 제3자의 선처 탄원서가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법률 외 배심원의 심리특성과 피고인 요인이 배심원의 법적 판단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국민참여재판에서 동정심을 호소하는 것이 양형에 유리하다는 언론의 여론몰이 주장에 대한 실증적인 검증이 이루어졌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또한, 성범죄사건의 양형을 결정하는 준거로서 피고인 자신의 변론보다 제3자의 탄원이 더 설득력을 얻을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