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구성원의 비윤리적 행위에 관한 경쟁모형 비교: 포화모형과 수정모형 중심

        민기,박철민 대한정치학회 2019 大韓政治學會報 Vol.27 No.4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mpetition models on unethical behaviors, focusing on nested and revised models. How the fitting index of the competition models on unethical behaviors differentiate between the nested and revised model. The study adopted a questionnaire method in research of public employees in Busan. Data were collected from 352 public employees for empirical analysis. Technique used in analyzing data was SEM. Amos 22.0 program was applied in the analysis. Variables used in the research are summed up as follows. Influencing variables of unethical behaviors, which are an exogenous latent variable, are consisted of individualistic and organizational factors. Mediating variable is consisted of is moral approbation. Endogenous latent variable is consisted of unethical behavior. The study itself is consisted of four basic parts. The second chapter addresses the research scales and model for empirical study by reviewing previous related references. In the third chapter, empirical analysis on competition models on unethical behaviors, focusing on nested and revised models, will be implemented after suggesting methodology and study design for the research. The findings obtained from the analysis is discussed in the fourth chapter, closing with some short concluding remark. In conclusion, revised model on unethical behaviors fitted well more than nested model. 이 연구는 개인적, 조직적 요인이 도덕적 용인 및 비윤리적 행위에 미치는 영향 경로 모형을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포화모형과 수정모형 두 개의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먼저 포화모형에서는 원인변수인 개인적 요인 및 조직적 요인이 매개변수인 도덕적 용인과 결과변수인 비윤리적 행위에 미치는 전체 영향 경로 모형을 설정하였다. 둘째, 수정모형에서는 원인변수인 개인적 요인 및 조직적 요인이 매개변수인 도덕적 용인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결과변수인 비윤리적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들 두 모형을 비교・분석한 후 각종 적합도 지수를 기준으로 최적 모형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공무원 352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 자료를 수집・분석하였으며, 분석기법으로는 구조방정식모형(SEM with AMOS)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개인적 요인에 관한 포화모형과 수정모형의 적합도 지수 비교이다. 수정모형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NFI값은 .912로 포화모형과 동일하였지만 /df 1.707, GFI .920, AGFI .894, TLI .954, CFI .963, RMSEA .046으로 나타나서 포화모형 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안모형 비교에 사용되는 AIC 지수는 수정모형의 적합도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ⅱ) 조직적 요인에 관한 포화모형과 수정모형의 적합도 지수의 경우, 수정모형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GFI값 .947, NFI .953으로 포화모형과 동일하지만 /df 1.438, AGFI .926, TLI .986, CFI .986, RMSEA .036으로 나타나서 포화모형 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도 수정모형의 AIC 지수 적합도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수정모형이 포화모형의 적합도 지수 보다 다수 항목에서 향상되어, 종합적으로 볼 때 수정모형의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수정모형을 중심으로 연구 결과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섬쑥부쟁이의 차광망 처리에 재식거리에 따른 생육 및 수량변화

        민기 한국자원식물학회 1996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9 No.3

        The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ways of increasing fresh leaf yield under conditions of the optimum shading net treatment and planting densities of Aster glehni. Although the most effective shading net treatment to acclimatize the plant was 75% shading in 1993, as growing years were prolonged, effects of shading net treatment was not recognized. Ca contents in 75% shading net treatment was much higher than other shading net treatments. Shading effect tend to promote their growth and fresh leaf yield in 1993 even though 75% shading net treatment did not increase fresh leaf yield in 1994 and 1995. Planting density. $30\times20cm$. showed the effectiveness fresh leaf yield for 1994 and 1995 except for 1993. 울릉도(鬱陵島)에 자생(自生)하는 섬쑥부쟁이(일명:부지갱이)의 경북(慶北) 내륙지역(內陸地域) 적응성(適應性) 제고(提高)와 함께 고품질(高品質) 다수확기술체계(多收穫技術體系)를 확립(確立)하고자 $1993{\sim}1995$년(年) 3개년(個年)에 걸쳐 차광(遮光) 망(網) 처리(處理)와 재식거리(栽植距離)가 생육(生育) 및 엽수량(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섬쑥부쟁이의 내륙적응성(內陸適應性)을 증대(增大)시키기 위(爲)하여 적어도 1년차(年次) 재배(栽培)에서는 차광정도(遮光程度)를 높이는 것이 생육(生育)에 유리(有利)하였다. 2. 3년차(年次) 재배(栽培)된 섬쑥부쟁이 생엽(生葉)의 무기성분중(無機成分中) P를 제외(除外)한 N. K, Ca 및 Mg 등(等)의 함량(含量)이 차광정도(遮光程度)가 클수록 높았다. 3. 차광망(遮光網) 처리(處理)에 따른 수량(收量)은 1년차(年次) 재배(栽培)에서는 75% 차광(遮光)에서 가장 높았으며, 2년차(年次) 재배(栽培)에서는 55% 차광(遮光), 3년차(年次) 재배(栽培)에서는 오히려 무차광(無遮光)에서 가장 높은 수량성(收量性)을 보였다. 4. 재식거리(栽植距離에) 따른 재배년차별(栽培年次別)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을 종합(綜合)하여 볼 때 소식(疎植)인 $30\times20cm$ 재식(栽植)에서 고른 생육(生育) 수량성(收量性)을 나타냈다.

      • KCI등재

        물엉겅퀴이 엽형특성과 재배법 확립에 관한 연구

        민기 한국자원식물학회 1996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9 No.2

        산채(山菜) 및 약용(藥用)으로서의 이용개발(利用開發) 가능성(可能性)이 높은 물엉겅퀴에 대(對)한 엽형(葉形)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고, 차광(遮光) 조건(條件), 시비방법(施肥方法) 및 재식밀도(栽植密度)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엽형(葉形)의 차리(差異)에 따라 크게 무결각형(無缺刻形)과 결각형(缺刻形)으로 나눌 수 있었고 무결각(無缺刻) 형(形)에서는 대자침(大刺針)과 소자침(小刺針)으로 세분(細分)되었으며 염색체(染色體) 수(數)는 공(供)히 2n = 68로 동일(同一)하였다. 2. 물엉겅퀴의 지상부(地上部) 초장(草長)은 무차광(無遮光)에서 길었으며 비료(肥料) 시용방법간(施用方法間)에 전반적(全般的)으로 유기물(有機物) 30,000kg/ha 처리(處理)에서 생육(生育)이 양호(良好)한 경향(傾向)이었다. 3. 차광(遮光) 조건간(條件間)의 엽(葉) 수량(收量)은 연차별(年次別) 차이(差異)는 차광구(遮光區)에서 많았으며 비료시용방법간(肥料施用方法間)에는 유기물(有機物) 처리(處理)에서 증대(增大)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4. 물엉겅퀴의 재식거리(栽植距離)에 따른 생육상황(生育狀況)은 $60\times45cm$에서 초장(草長)과 경수(莖數)가 증대(增大)되었다. 5. 재식거리별(栽植距離別) 엽수량(葉收量)은 밀식(密植)인 $30\times20cm$에서 많아 재식거리(栽植距離)와 수량간(收量間)의 관계(關係)에 대(對)한 구체적(具體的)인 연구(硏究)가 금후(今後) 수행(遂行)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思料)되었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leafy shapes, and to establish the cultural practices such as shading condition, fertilization method, and planting distance of Cirsium nipponicum. Leaf shapes in this plant consist of two kinds, lobation and non-lobation which has two spur type showing large and small spur. Protein band patterns showed that a new protein band in non-lobation with large spur was appeared at the 116.4kDa. For shading condition and fertilization method, number of stems in non-shading and organic matter treatment was higher than that of shading 55% with 3.7. Fresh leaf yield on non-shading and organic matter treatment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treatments. Growth characteristics of leaf number was increased in the $60\times30cm$ treatment, but was redeuced to some extent compared with $60\times45cm$. To increase the fresh leaf yield, the optimum planting distance was $30\times20cm$ with 4,100kg/10a.

      • KCI등재

        하수 중 N-nitrosodimethylamine 분포 및 라니티딘에 의한 이의 형성: 클로라민 처리 방법과 산화 전처리 영향

        민기,홍석원,손아섬,조강우 대한상하수도학회 2022 상하수도학회지 Vol.36 No.1

        N-nitrosodimethylamine (NDMA) is a potent carcinogen that frequently detects nitrosamine from water chloramin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ccurrence of NDMA and its potential precursor, ranitidine (RNT), in four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WTPs). Additionally, the effects of chloramination methods and oxidative pretreatment on the NDMA formation potential (FP) were assessed. Concentration levels of NDMA in the WWTPs waters ranged from 2.5 (detection limit) to 72.6 ng/L, while RNT values ranged from 1.32 to 186.9 ng/L. Further study indicated that the NDMA-FPs from chloraminated wastewaters varied between 36.2 and 227.8 ng/L. Nonetheless, chloramination methods and oxidative pretreatment significantly impacted the NDMA-FP levels. For example, breakpoint chlorination and stepwise chloramination promoted NDMA-FP when compared to preformed chloramination, which could be attributed to the formation of dichloramine and chlorine species. In contrast, prechlorination was found to effectively mitigate NDMA-FP, based on integrated ultraviolet (UV) irradiation. Notably, UV irradiation with free chlorine (UV/Cl2) or permanganate (UV/MnO4 -) reduced NDMA-FP by up to 70%. This study suggests that UV/MnO4 - and UV/Cl2 may be used as alternative mitigation strategies for reducing nitrosamine-FP in the water treatment process.

      • KCI등재
      • 모바일 결제 실시간 이상거래 탐지에서 불균형 데이터를 고려한 기계학습 알고리즘 성능비교 분석

        민기,조위덕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21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05

        최근 코로나 사태로 인하여 비대면 거래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로 그 중 모바일 소액 결제가 점점 높 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모바일 금융 결제를 악용하여 보이스 피싱, 스미싱, 휴대폰 소 액결제 한도를 현금으로 바꿔주는 이른바 '소액결제 깡' 등 이상거래로 인하여 피해 사례도 함께 증가 하는 추세다. 이러한 이상거래는 점점 교묘해지고 피해 유형이 다양해짐에 따라 규칙 기반의 탐지만으 로는 한계가 있다. 이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이상 거래 패턴을 스스로 학습하여 이상거래를 스스 로 판단할 수 있는 기계학습 기법을 이용한 이상거래 탐지 시스템 (Fraud Detection System) 구축해 야 한다. 하지만 이상 거래 데이터는 정상 거래에 비해서 현저하게 적기 때문에 기계 학습 시 제한이 있다. 이러한 데이터 불균형을 보완하기 위해서 데이터 전처리 과정에서 Over-Sampling 방법론을 이용한다. 모바일 소액 결제는 사용자 편의성과 동일한 서비스와의 경쟁을 위하여 빠른 속도가 중요하 다. 그리하여 성능이 가장 뛰어난 알고리즘으로 기존의 결제 시스템의 성능보다 뛰어나거나 차이가 없 는 것에 중점을 두고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기반한 알고리즘을 기존 룰 기반의 탐지 시스템에 연동하 여 이상 거래 탐지율 및 정확도를 상승시키고 오탐률을 최소화함으로써 기존 고객 이탈률을 최소화하 고, 추가적인 이상 거래 피해자 및 금융 이상 거래 발생률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