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매체와 한국 현대문학

        김상태 중한인문과학연구회 1999 국제학술대회 Vol.- No.4

        文學的第一媒體是語言. 這是從文學胚胎時期各중媒體發達的現在始終不變的事實. 然而, 傳這語言的手段可能不一樣. 首先, 사可分爲聲音和文字語言.聲音語言是通過?覺傳達的, 而文字語言是通過視覺傳達的. 卽使是相同的語言,通過以上兩者所履行的文學效果却不盡相同. 大體而言, 在文學子普及以前依고聲音文化進行文學行爲. 相反, 文字被普及之后, 文字語言開始逐漸分단其作用. 從現今趨勢來看, 認爲文字語言在文學行爲起到中主要作用幷非言這其實. 當然, 雖然在一定程度上存在着差기. 但是事實上흔多國家仍然保留着生硬文化的傳統. 這也許是其文學效果不同之故. 根据媒體的性質和功能, 文字語言可分爲兩大類型. 卽表意文字和表音文字. 表意文字所指名的事物和記號之間存在着密切關係, 而表音文字是與事物有着完整的恣意關係的文字, 据說, 長期使用表意文字和表音文字的集團的文化表現形式互不一樣. 羅慮翰(Marshall McLuhan)在 《媒體的理解》一書中對比使用表意文字的中國和使用??馬字母的西歐文化, 說從其使用文字的狀況中旱就能구豫見西歐諸國在机械文明方面走在前頭的事實. "表意文字是籠統的經驗的統一體. 相反表音文字通過分析辨認感覺和功能". 因此, 使用表意文字可以調動各중感覺從而在整體上把握事物. 與此相反, 在使用몽馬文字的西歐諸國里存在 "作爲라輯和理性的象征喜好推理"的傾向. 韓國文學以開化時期爲分岐点, 分爲古代文學和近代文學. 勿需多言, 사們的文學形式和內容不同. 而最重要的是代表文學的媒體開始變化的這一点. 在這以前, 文學的正式媒體是漢文, 而后來由訓民正音來代替. 這一媒體的輯變就是我國文學史上的一大革命. 因爲, 這一正式標記手段的輯變不僅是文學, 更是隨伴着包括改變文化整體的一大輯換. 令人양奇的是這一輯變過程僅僅二三十年之內徹底完畢了. 然而, 衆所周知我們有將近五百年使用訓民正音的傳統. 正因爲如此, 흔容易完成那요龐大的文字革命. 卽使如此. 我們沒有注意隨着文學標記手段而發生的意說變化, 對比以漢文爲媒體的文學行爲和以國爲媒體的文學行爲, 兩者之間存在着明顯差기. 不容置疑的是, 如同使用表意文字的集團和使用表音文字的集團的文化發達方式互不一樣, 文學媒體的輯換해實大大地影響了文學本身的變化. Seymour Chataman 從 Ferdinand de Saussure 和 LouisHjellmslev 的語言分析方法理得到啓示, 把敍事物(narrative 區分爲表現expression 和內容 content, 然后又重身分爲實體 substance 和形式form. Chatman 所說實體相當于文學的媒體, 卽根据不同的實體把相同的 故事表現爲文學 漫畵 電影 舞蹈等等. Chatman 只說實體是分化爲藝術章節的媒體, 幷不注重同樣的媒體也是根据其性質和功能産生不同藝術效果的這一点. 他認爲文學的實體是語言, 不考慮사究竟帶有何중語言性質的問題, 但是, 只要觀察其사藝術, 我們便可知道同樣的 "實體" 也不一定是可視爲同等的. 因爲, 卽使是同樣的 " 實體", 如果其材料不同則産生完全相反的效果. 比如, 說美藝術實體是色彩和線條, 但是如果使用的材料不同, 那요其效果相差是非常懸殊的. 卽用油彩的效果和或用墨水的效果是完全不同的. 音??亦如此, 表現同樣旋律時, 使用鋼琴的效果和使用小提琴的效果不一樣. 就拿人的聲音來說, 獨唱和合唱的效果各不相同. 因此, 在文學里隨着不同語言, 其文學作用也明懸不同, Chatman 單純地把實體規定爲語言的同時, 對形式方面的敍事的輯換結構或敍事要素進行頗有深度的分析. 然而, 根据文學的媒體屬于聲音還是文學, 文字語言中的表意文字還是表音文字, 其文學的作用也互不一樣. 本論文就以開化時期爲分界線, 就我國文學的主要媒體從表意文字表音文字的事實, 試圖考察사在如何參與以后的我國近代文學幷在我國文學變化這程之中起到何중作用的問題

      • KCI등재

        The Test Items Development of Debate Class for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extlinguistics

        김상태 한국중원언어학회 2019 언어학연구 Vol.0 No.5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test items for debate class for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extlinguistic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employed data collection of evaluating university students’ debate class according to test items based on textuality.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es were conducted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In factor analysis, all the test items could be approved valid, might have one communality, textuality. All the test items had a strong interdependency with one another. There was no need to exclude any item. The cohesion in textuality had a great impact on the total score of debate class. According to reliability analysis, the coefficient of Cronbach’s α is 0.988. The measure is highly reliable. Like the factor analysis, if any of the test items were added or excluded, the reliability would be unchanged.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 teaching method of debate class based on textlinguistics would be very valuable. Lastly, instructional implications for the classroom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특별지방자치단체의 기본계획에 대한 공법적 과제*

        김상태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2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 No.

        A Public Legal Issues on the Basic Plan of Special Local Government Kim, Sang-Tae (Professor, Department of Law, Soonchunhyang University) Today, there is a demand for metropolitan administration beyond the existing district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so it became difficult for the existing local government to fulfill such demand alone. Therefore, in the Local Autonomy Act amended in January 2021, a ‘special local government’ was introduced for establishing a system to jointly handle cases that are difficult to be managed by the existing local government structure or where the existing local government structure lacks capacity. In particular, Article 203, Paragraph (1) of the amended Local Autonomy Act stipulates the basic plan of the special local government. This clause was not stipulated in the previous Local Autonomy Act and there was not enough discussion, so a detailed analysis is necessary for a more stable legal application. In this study, legal tasks for the basic plan of the special local government were reviewed under this background. The main content are as follows. First, the target affairs of the basic plan are limited to autonomous affairs and collective delegated affairs, excluding agency delegated affairs. Second, the 「Local Autonomy Act」 imposes the responsibility to establish and implement a basic plan to manage affairs under the jurisdiction to the head of a special local government. However,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basic plan lacks resident participation procedures, so additional legislative supplementation is needed. Third, the binding force of the basic plan on a special local government is recognized, but the binding force on a constituent local government is not recognized. However, there should be mutual harmony between the special local government and the constituent local government while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should be minimized, so in practice, the head of the constituent local government is expected to be bound by a request from the head of the special local government. Fourth, “Abwägungsgebot” (the obligation to balance private and public interests) applies to the illegal control of the basic plan, and disposability may be recognized if the basic plan is a binding plan to residen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disposability because the scope of affairs, the goal of affairs, and the processing method of affairs are planned for the content of the basic plan. Fifth, the basic plan should include the goal of the basic plan, the period and target area of the basic plan, the scope of metropolitan affairs to be managed by the special local government, the processing method (criteria) of affairs, the type of affairs to be managed by the special local government and the constituent local government (role sharing), the matters regarding financial allocation, etc. 특별지방자치단체의 기본계획에 대한 공법적 과제 오늘날 교통과 통신의 발달에 따라 기존의 구역을 넘어서는 광역적 행정의 수요가 발생하면서 기존의 지방자치단체만으로는 그 수요에 대응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2021년 1월 개정 「지방자치법」에서는 기존의 지방자치단체 구조에서 처리하기 곤란하거나 역량이 부족한 경우에 이를 공동으로 처리하는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특별지방자치제도’ 운영과 관련된 세부적인 규정을 마련하였다. 특히, 개정 「지방자치법」 제203조 제1항에서는 “특별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소관 사무를 처리하기 위한 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이라 한다)을 수립하여 특별지방자치단체 의회의 의결을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동 조항의 기본계획은 이전의 「지방자치법」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충분한 논의도 없어서 보다 안정적인 법적용을 위하여 입법정책적인 관점에서 세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배경 하에 특별지방자치단체의 골격을 이루는 기본계획에 대한 검토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계획은 특별지방자치단체의 사무를 처리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사항(사무처리의 목표, 기본방향, 처리방식, 구성원 간 역할분담 등)을 정하고, 사무처리 과정에서 충돌되는 다양한 이해관계들을 조정한다. 둘째, 기본계획의 대상 사무는 자치사무와 단체위임사무에 한정하고, 기관위임사무는 제외한다. 셋째, 「지방자치법」은 특별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소관 사무를 처리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할 책무를 부여하고 있다. 다만,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주민참여 절차가 결여되어 있어 추가적인 입법적 보완이 필요하다. 넷째, 기본계획의 특별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구속력은 인정되나, 구성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구속력은 인정되지 않는다. 하지만, 특별지방자치단체와 구성 지방자치단체간에는 가능한 상호 조화되어야 하며 모순과 충돌은 최소화되어야 하므로, 실무상으로는 특별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요청에 구성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구속될 것으로 본다. 다섯째, 위법한 기본계획의 통제에 대해 형량명령이론이 적용되며, 기본계획이 주민에 대한 구속적 계획인 경우 처분성이 인정될 수 있다. 다만, 기본계획의 내용이 사무의 범위, 사무처리의 목표, 사무처리 방식 등이 예정되므로 처분성을 인정하기는 어렵다. 주제어 지방자치, 지방자치법, 지방자치단체, 특별지방자치단체, 기본계획

      • KCI등재

        가상현실게임의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연구

        김상태,조영기,허준영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경제규제와 법 Vol.11 No.2

        Recently many VR contents that experience VR and provide experience are emerging with the development of display technology and graphic technology. VR and AR technologies are recognized as one of important technologies during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lso, the market size of VR/AR are anticipated to grow up to $150 billion by 2020. The biggest application of this VR technology is entertainment industry such as video, performance, and games. And games covers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in which VR is utilized. In the field of games, VR is being used very muc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VR game. Also, the research of the legal issues of VR game and discussion of regulating VR game haven’t been contently prepared yet. Because VR game not only derives the issue of IP infringement of the game contents that happened in the field of previous online game, but also it derives the new pattern of the issue using the information of real world, such as privacy data of players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game service area. Currently, the kind of law regulating the virtual world and reality world is quite divided and fixed. But to solve the issues of the VR game cleary, this kind of separation of the law might be weaken and rely more on how close the causation and result brought by VR game related to our real world. However, If you do not enforce regulations are established through political discussions or plans to ensure legal stability. Thus, the legitimacy and effectiveness, as well as regulatory predictability operators be able to acquir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intensive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potential of virtual reality games, and research that can suggest development directions for augmented reality games will be necessary. 이 논문은 가상현실게임과 관련하여 법제도적 측면에서 몇 가지 쟁점에 대해 검토하였다. 첫째, 규범의 적용대상으로서의 가상현실 게임의 범위를 명확히 함으로써 규범 수범자의 이해를 돕고 예측가능성의 제고에 도움을 줄 필요성이 있다는 측면에서 가상현실 게임의 정의를 명확히 하였다. 둘째, 가상현실게임은 기존의 게임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게임이므로 기존의 게임과는 다른 시각에서 분류하였으며, 특히, 가상현실게임에 이용되는 기기를 「관광진흥법」상의 유기시설 또는 유기기구와 구별하고자 하였다. 셋째, 가상현실게임의 등급분류 대상 여부, 보다 상세한 등급분류 기준 마련, 등급분류 세분화를 제시하였다. 넷째, 가상현실게임이 안전성 검사 대상인지 여부와 이용 시 부작용 발생 여부 및 대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가상현실게임의 설치 및 시설 기준에 대해서는 현행법상 흠결되어 있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가상현실게임의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크화 허용 여부를 검토하였다. 일곱째, 가상현실게임의 셧다운제 대상 여부와 셧다운제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게임산업에 있어서 미래 먹거리인 가상현실게임 관련 주요 정책 과제를 체계화하고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비록 가상현실게임에 관한 법적ㆍ제도적 관점에서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융ㆍ복합적 측면이 강하여 이를 통해 도출된 문제의식과 법리적 관점에서 규범 및 법적 쟁점을 검토한다는 사실은 향후 가상현실게임 산업을 활성화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일본에서의 소음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

        김상태,최현태 한국법정책학회 2018 법과 정책연구 Vol.18 No.4

        This article deals with the legal problems of noise pollution.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emedies against the noise pollution by a variety reasons, especially a compensation claim, including the injunction claim against noise pollution, and also deals with laying the responsibility on whom, the requisites and the restrictions of the responsibility for a compensation for damage etc. The fact that the noise accident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is reflected not only in the material but also in the social trends that emphasize the pleasant living environment and quality of life. Nevertheless, remedies for noise damage do not play a sufficient role. This seems to be due to the property of noise damage. Noise damage is a phenomenon that occurs after a person’s health or life environment influences caused by human activities such as business activities, and the cause of the damage is changed or disappear according to the long term. It is often difficult to reproduce the damage phenomenon of the time has the property is impossible. Therefore, it is virtually impossible for a victim lacking expertise to prove the cause of the damage if the offender is denied due to the nature of such noise damage. In reality, if damage is caused by various noise sources such as noise, factory noise, airfield noise, traffic noise from roads, etc., the victim sued the court for damages, It is difficult to receive relief because of difficulties such as proving relationship. For this reason, in this paper, we briefly summarize the main contents of how to regulate in order to prevent damage caused by noise in Japan, and then examine how the court judges the actual noise damage. Finally, based on these discussions, we propose the criteria for the calculation of damages for noise damages in Korea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 realization. 최근 삶의 질과 권리향상으로 인한 국민들의 쾌적한 환경에 대한 욕구 증대 및 산업 발달에 따른 환경오염의 증대로 인한 환경피해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환경피해의 원인을 분석해 보면 소음으로 인한 피해가 분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경향이 매년 계속되고 있다. 소음분야 분쟁의 대부분은 도심지의 아파트 건설공사나 도로건설 등 사회간접시설 공사 중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한 정신적 피해호소들이다. 소음사건이 다른 분야에 비하여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건설공사에 의한 소음ㆍ공장소음ㆍ비행장소음ㆍ층간소음ㆍ도로에서 발생하는 교통소음 등 소음원이 다양화되고, 이로 인한 정신적 피해를 야기하는 경우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소음피해를 호소하는 경우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것은 물질적인 것뿐만 아니라 쾌적한 생활환경과 삶의 질을 중요시하는 사회적 조류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최근 아파트 등 공동주택 층간 소음 분쟁이 늘어난 것도 바로 그 점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음피해의 속성으로 인해 소음피해에 대한 구제수단들이 충분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왜냐하면 소음피해는 사업 활동 등 사람의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사람의 건강 또는 생활환경상의 영향이 사후에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장기간 경과에 따른 원인상황의 변경 또는 소멸 등으로 피해발생 원인에 대한 확실한 인과관계 규명이 곤란한 경우가 많고 또한 당시의 피해현상에 대한 재현이 불가능하다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소음피해의 속성으로 인하여 가해자가 부정하는 경우, 전문지식이 부족한 피해자가 피해의 인과관계를 입증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실제로 건설공사에 의한 소음ㆍ공장소음ㆍ비행장소음ㆍ도로에서 발생하는 교통소음 등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소음원에 의해 피해가 발생하면, 피해자는 법원에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하지만 수인한도ㆍ인과관계 입증 등의 어려움으로 구제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이 논문에서는 일본에서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어떻게 법적으로 규제하고 있는지 주요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한 후, 실제로 발생한 소음피해에 대해 법원은 어떻게 판단하고 있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의 소음 규제 법제와 판례를 비교하여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 KCI등재

        Achieving High Carrier Mobility Exceeding 70 cm2/Vs in Amorphous Zinc Tin Oxide Thin-Film Transistors

        김상태,신연우,정인재,윤필상,배종욱,정재경 대한금속·재료학회 2017 ELECTRONIC MATERIALS LETTERS Vol.13 No.5

        This paper proposes a new defect engineering concept for low-cost In- andGa-free zinc tin oxide (ZTO) thin-film transistors (TFTs). This concept iscomprised of capping ZTO films with tantalum (Ta) and a subsequentmodest thermal annealing treatment at 200 °C. The Ta-capped ZTO TFTsexhibited a remarkably high carrier mobility of 70.8 cm2/Vs, lowsubthreshold gate swing of 0.18 V/decade, threshold voltage of −1.3 V, andexcellent ION/OFF ratio of 2 × 108. The improvement (> two-fold) in the carriermobility compared to the uncapped ZTO TFT can be attributed to theeffective reduction of the number of adverse tailing trap states, such ashydroxyl groups or oxygen interstitial defects, which stems from thescavenging effect of the Ta capping layer on the ZTO channel layer. Furthermore, the Ta-capped ZTO TFTs showed excellent positive andnegative gate bias stress stabilities.

      • KCI등재

        Simple Calculation Method as a Supplementary Radiation Safety Assessment for Facility with Radiation Generator

        김상태 한국콘텐츠학회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14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radiation shielding analysis for the facility equipped with radiation generator.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in two aspects. First, from the aspect of the effect caused by primary and leakage radiation. Second, effect of scattered radiation was evaluated by applying a simple calculation method based on a scattering rate concept since effect of scattered radiation is significantly important at maze entrance of the radiation facility. The calculated results obtained using the simple method were compared to the results calculated using Geant4 code and the measured values. The results calculated by the suggested method indicate that slight error exists in a radiation shielding analysis done at the maze entrance comparing to other two results, while the results evaluated at the outside of the maze entrance door are relatively consistent with other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