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스하이드레이트 개발과정에서의 단층 재활성화 해석

        김형목,김아람,Kim, Hyung-Mok,Kim, A-Ram 한국암반공학회 2016 터널과지하공간 Vol.26 No.2

        본 논문에서는 해저 하이드레이트 퇴적층에서의 메탄가스 생산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생산정 주변 단층의 재활성화 가능성을 수치해석을 통해 평가하고 재활성화에 따른 미소지진 규모를 예측한 결과를 소개하였다. 가스 생산에 의한 하이드레이트 퇴적층의 유효응력 변화 및 역학적 변형은 TOUGH+Hydrate 코드와 FLAC3D 코드를 순차적으로 연계해석함으로써 시뮬레이션하였다. 단층면 재활성화 기준은 모어쿨롱(Mohr-Coulomb)법칙이 유효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30일간의 시험생산 해석 결과, 감압에 의한 공극압력 감소 및 유효응력의 증가가 주변 단층의 활성화를 일으킬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응력 조건에 따른 활성화 가능성을 활동마찰각으로 평가한 결과로부터 수평응력에 비해 수직응력이 상대적으로 큰 정단층 응력조건(normal fault stress regime)에서 단층 재활성화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정단층 응력조건에서 단층 재활성화에 기인한 유도지진 발생규모를 모멘트 크기(moment magnitude)로 추정할 경우, 모두 음(-)의 값을 보여 인간이 감지하지 어려운 수준의 미소지진에 해당하는 결과를 보였다. 다만, 본 해석은 하이드레이트 생산과정에서의 단층재활성화 가능성 평가를 목적으로 한 해석기법 구축 및 그 적용성을 소개할 목적으로 상당히 단순화된 지질구조 모델을 가정한 결과이므로, 향후 하이드레이트 시험 생산 및 상업 생산 지역에서의 상세 지질구조, 입력 물성 및 생산 설계조건을 반영한 해석에서는 상이한 결과를 보일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we perform a numerical analysis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fault reactivation during gas production from hydrate bearing sediments and the moment magnitude of induced seismicity. For the numerical analysis, sequential coupling of TOUGH+Hydrate and FLAC3D was used and the change in effective stress and consequent geomechanical deformation including fault reactivation was simulated by assuming that Mohr-Coulomb shear resistance criterion is valid. From the test production simulation of 30 days, we showed that pore pressure reduction as well as effective stress change hardly induces the fault reactivation in the vicinity of a production well. We also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tress state conditions to a fault reactivation, and showed that normal fault stress regime, where vertical stress is relatively greater than horizontal, may have the largest potential for the reactivation. We tested one simulation that earthquake can be induced during gas production and calculated the moment magnitude of the seismicity. Our calculation presented that all the magnitudes from the calculation were negative values, which indicates that induced earthquakes can be grouped into micro-seismic and as small as hardly perceived by human being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urrent simulation was carried out using the highly simplified geometric model and assumptions such that the further simulations for a scheduled test production and commercial scale production considering complex geometric conditions may produce different results.

      • KCI등재후보

        김정혜의 사립 정화여학교와 육영사업

        김형목 ( Kim Hyung-mog ) 한국여성사학회 2016 여성과 역사 Vol.0 No.25

        김정혜는 청상과부가 된 이래 방탕한 생활로 안일한 삶을 살았다. 40대를 전후하여 개신교에 입문한 후 성씨마저 바꾸는 파격적인 행보를 걸었다. 사립정화여학교 탄생은 이와 같은 역사적인 배경 속에서 이루어졌다. 강연회 개최는 외부 세계와 소통·교류하려는 의도였다. 개성여자교육회 조직과 조선여자교육협회와 교류는 대표적인 경우이다. 열성적인 교육활동 소식은 재정적인 확충을 꾀하는 든든한 밑거름이었다. 재단법인 설립은 이와 같은 후원에 힘입어 가능할 수 있었다. 지식인은 명예교사로서 자원하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동창회도 학교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재학생들에게 `정화인`으로서 자긍심을 일깨우는데 앞장섰다. 식민지 노예교육은 육영사업가들로 하여금 식민지 교육체제 내로 견인하였다. 목적은 내선일체에 의한 `충량한 황국신민` 육성이었다. 정화여학교도 이러한 규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김정혜는 육영사업가로서 여러 번 수상을 받았다. 이를 기념하는 행사도 개최되었다. 물론 자신의 의향과 전혀 상관없는 부분임에 틀림없다. 개성군사회장으로 치룬 장례식은 언론에서 특종으로 보도했다. 개성여자교육회는 그녀 일대기를 정리하는 한편 당시 조사·만사 등을 수록한 『김정혜선생 소전』을 발간하였다. 동상도 건립했다. 다만 `위험하고 험난한 외 줄타기`인 교육활동에 대한 평가는 어떻게 해야 할지 여전히 고민이다. Since Kim Jeonghye became a young widow, she had a life filled with depravity. However, she became a Christian in her 40s or so and she showed unconventional activity, changing her family name. Her foundation of the Private Jeonghwa Girl`s School`s was achieved in this historical background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The budget was expanded by her passionate educational activities and at last, a foundation could be established through these efforts. Intellectuals volunteered for her educational work as honorary teachers. School reunions tried to find a way to foster its school while encouraging students to have pride. The colonizers recruited such educational entrepreneurs to join the colonial education efforts.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however, was to raise `loyal subjects of Japanese empire` through Naisen Ittai (Japan and Korea as one body). Jeonghwa Girl`s School was also influenced by such Japanese restrictions. Kim won awards many times as an educational entrepreneur and celebratory events were held in her honor. However, this was not her intention. After her death, Kaeseong Girl`s Educational Society researched her life story and published 『A Short Biography of Mrs Kim Jeonghye』. Her statue was erected. Nevertheless, a critical judgement on her educational works is challenging and yet to take place.

      • KCI등재
      • KCI등재

        한말 야학운동의 기능과 성격

        김형목(Kim, Hyung-Mog)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05 중앙사론 Vol.21 No.-

        The function of Night-school movement is very multifarious, and the educational function was an elementary educational institution. A name of Night-school and a curriculum and teachers organization was very similar to the elementary educational institution. The education period was an intensive training curriculum for one or two years. Night-school was recognized an evening school. Next was a social educational function. A concern at the modern education and a sense of the crisis about a colonialization were connected with a high pitch of eagerness for education. Night-school of labor․night-institute of korean language came to be much in fashion. Also an emphasis on the Korean alphabet education and the publication of Korean newspaper․magazine is not unrelated to this. Night-school, teaching linguistics and mathematics, belongs to this category too. Finally Night-school was the place and medium which created and produced the popular culture. The athletic meeting․lecture meeting․debate were the spot where was felt keenly a new change. On the other hand, Night-school put special stress on Japanese education had many problems. Most of night-school seemed to be jumping on the Japanese aggressive bandwagon. This kind of Night-school was to look after one s own interests. On this account, there are want of concerns about night-school and some negative evalu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3 · 1운동 직후 야학운동의 전개양상과 역사적 성격

        김형목(Kim, Hyung-mog) 호서사학회 2018 역사와 담론 Vol.0 No.86

        1890년대 후반 부국강병책을 위한 시무책 일환으로 야학은 역사무대에 등장하였다. 근로청소년들에게 새로운 ‘배움터’로서 주목되었으나 별다른 진전은 없었다. 을사늑약을 전후로 식민지화에 대한 위기의식은 국권회복을 위한 야학운동으로 전개되었다. 당대인의 야학에 대한 인식과 관심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였다. 1,000개소 이상에 달하는 야학 설립은 이를 반증한다. 3 · 1운동 당시 민중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등 민족해방운동 주력으로 떠올랐다. 이러한 변화는 새로운 사조인 개조론 유입과 더불어 개인이나 사회적인 능력 배양에 대한 관심을 촉진시켰다. 향학열 고조로 초등교육기관인 공립보통학교는 심각한 입학난을 초래하였다. 심각한 지역은 학령아동 입학자 중 겨우 30% 정도를 수용하는 상황이었다. 문화계몽운동이 확산되는 가운데 조선교육협회 · 조선여자교육협회 · 조선교육개선회 등은 학령아동 구제와 문맹퇴치를 위한 야학운동에 적극적이었다. 이와 동시에 부문별 민족해방운동도 확산되는 분위기였다. 지역을 단위로 조직된 계몽단체나 사회단체 등도 한국인 본위교육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리하여 교육열은 대한제국기 이래 다시 고조되었다. 야학운동도 노동 · 농민 · 여자 · 형평 · 점원 야학 등으로 분화 · 진전되는 계기를 맞았다. 여자야학은 여성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하는 등 많은 진전을 이루었다. 지역을 아우르는 야학학술연합회는 교재 통일과 학예회 · 강연회를 공동으로 개최하는 등 주민들의 적극적인 지원을 견인하였다. 나아가 항일운동과 연계되는 등 합법적인 활동공간으로 활용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새로운 현실에 부응하는 민중문화를 창출하는 생활현장이었다. Modern night schools appeared in history as a policy of the requirement to enhance prosperity and defense of the nation in the late period of 1890s. Even though they were paid attention to as a new ‘type of school’ for working youth, there was no progress in particular. Before and after the unwilling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year of Eulsa(1905), the sense of crisis against Japanese colonialism developed into night school movement to restore national sovereignty. The contemporary awareness and interest in night schools must have been beyond imagination. The existence of over one thousand of night schools proved this phenomenon. The people emerged as an active driving force of National Liberation Campaign at the time of Independence Movement on March 1, 1919. This change promoted to draw attention for the strength of both individual and social capacity along with an introduction of new reformation theory. Due to a feverish heat of education, a serious difficulty in entering public elementary school was caused. A serious situation in which about only 30% of school age children were accepted had occurred. Joseon Women’s Education Association and Joseon Education Improvement Association took active part in night school movement to save school age children and to eradicate illiteracy when Cultural Enlightenment Campaign was spreading throughout the nation. There was an air of spreading National Liberation Campaign by sector as well. The enlightenment group or social group organized by region also, called for the education only for Korean people. Accordingly, the heat of education had increased again since Korean empire. The night school movement marked a turning point of dividing and advancing into the night schools for laborers, female farmers, social equality and clerks. Academic Alliance of Night Schools drew active support from the residents by unifying textbooks and holding lectures in cooperation with them. Furthermore, night schools were used as a legitimate activity space in association with anti-Japanese colonialism movement. This change meant a just living environment creating culture for the people responding to the new change.

      • KCI등재

        복공식 압축공기 지하저장을 위한 가변성 분할 라이닝 터널기술

        김형목(Hyung-Mok KIM),류동우(Dong-Woo RYU),정소걸(So-Keul CHUNG),송원경(Won-Kyong SONG) 한국암반공학회 2009 터널과지하공간 Vol.19 No.2

        가변성 분할 라이닝 기밀시스템을 채용한 CAES-G/T 발전용 복공식 압축공기 지하저장 터널기술을 소개 하였다. 본 기밀시스템의 특징은 라이닝 세그먼트의 변위를 허용함으로써 고압 압축공기에 의한 내압을 암반이 최대한 부담토록 하고 특수고무시트 부착을 통해 저장터널의 기밀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기밀시스템을 채용한 가변성 터널기술은 압축공기 지하저장 시설의 천심도, 도심지 근교 및 도서지방에서의 시공을 가능케 하여 소규모의 분산형 CAES-G/T 발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에너지(천연가스, LPG, DME) 지하저장시설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Flexible and lined segment air-tight tunnelling technology for Compressed Air Energy Storage-Gas Turbine (CAES-G/T) power generation was introduced. The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the air-tight tunnel system can be summarized by two facts. One is that the high inner pressure due to compressed air is sustained by surrounding rock mass with allowing sufficient displacement of lining segment. The other is that the air-tightness of storage tunnel was enhanced by adopting a specially designed rubber sheet. The flexible lined air-tight underground tunnel can be constructed at a comparatively shallow depth and near urban area so that the locally distributed CAES-G/T power generation can be accomplished. In addition, this air-tight tunnelling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energy underground storage tunnels such as Compressed Natural Gas (CNG), Liquifed Petroleum Gas (LPG), DeMethyl Ether (DME) etc.

      • KCI등재

        점토질 퇴적암 내 굴착영향영역 투수특성의 시간경과 변화 파악을 위한 수치해석기법에 대한 고찰

        김형목(Hyung-Mok Kim),박의섭(Eui-Seob Park) 한국암반공학회 2020 터널과지하공간 Vol.30 No.6

        본 고에서는 점토질 퇴적암 부지에 건설되는 처분갱도 주변 굴착영향영역에서의 투수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수치해석기법을 검토하였다. 팽창성 점토를 함유한 퇴적암에 형성된 굴착영향영역 내 균열은 포화과정에서 점진적으로 간극을 상실하고 주변 모암의 투수계수에 수렴해 가는 자기 치유(self-healing) 혹은 자기 밀봉(self-sealing)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고에 소개된 수치해석기법은 실내 및 현장실험을 통해 관측된 균열의 자기 치유 거동을 고려함으로써 처분장 건설 후 장기 운영과정에서 예상되는 굴착영향영역 투수계수의 시공간적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지하연구시설 내 굴착 갱도 주변에서 현장투수시험을 통해 획득한 투수계수 측정치와 수치해석에 의한 결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활용타당성을 검증하였다. We reviewed numerical approaches to assess a hydraulic properties of excavation-disturbed zone (EDZ)created in argillaceous sedimentary rocks. It has been reported that fractures in the sedimentary rocks containing expansive clays are gradually closing due to swelling and their permeabilities are evolving to the level of in-tact rock, which is known as a self-healing or self-sealing process. The numerical approaches introduced here are capable of simulating spatio-temporal variation of EDZ permeability during long-term operation of a repository by including the self-healing characteristics of fractures, which wa observed in laboratory as well as in-situ experiments, The applicability of the numerical approaches was verified from the comparison to in-situ measurements of EDZ permeability at underground research laborato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