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Etudes sur Le Neveu de Rameau de Denis Diderot
金春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72 韓國文化硏究院 論叢 Vol.19 No.-
Denis Diderot의 「Le Neveu de Rameau」는 Jacques le Fataliste (운명론자 쟈끄)와 함께 유일한 그의 풍자 소설로서 18세기 소설에서 빼 놓을 수 없는 걸작이다. 약 15년 이상 (1761~1776?) 걸쳐 사회의 이모저모를 스케치 하듯이 신랄히 풍자한 소설이며 출판경위부터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작품이다. Diderot가 Catherine II세에게 팔았던 것이 Leningrad 국립박물관에 비치, 그 후 독일의 Shciller가 작품의 일부를 발견, Goethe와 함께 불어로 번역. 1821년 작품의 일부 출판, 1891년 드디어 완전한 작품으로 불란서에서 출판의 빛을 본 웃지 못할 사실이 있다. 그만큼 이 작품은 당시의 사회를 너무 가혹하게 풍자하여 그 시대는 물론 19세기에 와서도 사회의 물의를 일으킨 바가 있다. 철학가인 「나」(MOI)와, 음악에 실패한 떠돌이 철학가 「그사람」(LUI). 그들의 대화는 그 시대의 사건, 인물을 그대로 등장시키며 감추어진 문제들을 폭로하며 불꽃처럼 튀긴다. 종교인, 철학인(Voltaire…), Encyclopedie의 반대파들(Palissor…), 「음악개인교수」의 맹랑한 이야기들…. 여기에서는 주로 LUI의 인물연구와, 작품의 내용상의 분석을 다루어 보았다. 첫째부분에서는 음악가 Rameau의 조카 Lui를 "실패한 음악가" "寄生하는 보에미안" "Cynique한 철학자"로 나누어 보았다. 둘째 부분에서는 두 인물, LUI와 MOI가 제시한 天才, 도덕, 철학, 쾌락주의적 유물론적 사고방식 등 문제중심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나는 호화판으로 사는 불한당 놈들과 함께 행복한 불한당 일지언정 위선자가 될 필요는 없다」라고 LUI는 말한다. 위선으로 가면을 쓰고 자신을 속이고 사는 그럴듯한 양반네들 그러한 위선자가 되느니 차라리 자신을 속이지 않고, 자기 양심의 소리에 귀 기울이며 사는 위대한 범죄자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LUI의 호언장담은 그 말 뿐이며 그의 행동은 그의 말과 조금씩 다르게 나타난다. 여기에 도덕가, 철학가의 진실이 있다.
Etude sur le Personnage de Ferrante dans la Reine Morte
金春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71 韓國文化硏究院 論叢 Vol.18 No.-
Montherlant은 1940년 이전까지만 하여도 소설가로서, 특히 여성을 지독하게 멸시한 작품들을 쓴것으로만 알려졌으나, 1942년 LaReine Morte를 내놓으므로써 결코 여성의 자세를 허무러트린 작가가 아님을 알게 되었다. 오히려 여성들을 남성들보다 더욱 고귀한 모습으로 승화시킴은 놀라운 일이다. 이작품중에 나오는 가장 年老한 王인 Ferrante의 인물 연구는 다른 작중인물 연구 내지는 Montherlant의 극작품들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그의 작품 속에 나오는 男주인공들은 아직 세속의 때가 묻지 않은 순결한 여주인공 이라든가 혹은 어린이들을 희생시키는 비극을 가져온다. 그리고 그 희생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거나 聖化되는데, Ferrante의 경우에서는 그 희생의 가치성마저 의문을 품게 되는 것이다. 결국 그것은 Ferrante라는 年老한 인간과 年少한 인간들의 대결이다. 즉 늙음과 젊음의 대결이다. Ferrante는 이처럼 자신의 무기력함을 결코 겉으로 나타내지 않으려고 한다. 자신의 무기력을 감추기라도 하듯 그는 자기의 아들(Pedro)의 보잘 것 없이 평범한 성격을 극도로 배격하여(In?s를 남몰래 사랑 했다는 죄명) 그를 투옥케 한다. 평범함과 저속함을 증오했던 그의 저의에는 어쩌면, 한편으로는 절음에 대한 질투의식도 있으나 스스로의 성격을 자기 아들에게서 찾아볼 수 있는 데에서 자신에 대한 혐오의식이 있다. 아들의 태도를 비난한 그에게서 특기할만한 사실, 그리고 자기의 혈연을 이세상에서 영원히 끊어 버리려 했던 태도가 그것이다. 결국 그는 자기자신속에 내재하는 이율배반적인 성격 때문에 그의 호소력이 더욱 독자에게 강하게 오는 것이 아닐까. 강한 것 같으나 약하고 다정하면서도 거칠고 악을 규탄하는 듯 하지만 결국 악을 행함에 있어서 주저하지 않았던 자기 모순 속에서 고통하는 인물이다. 그가 범한 일이 무엇인지를 의식했으나 결코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였는가를 몰랐던데에 그의 비극이 살아있는 것이다. 그러한 Ferrante의 자기 모순적인 비극은 바로 우리들 스스로의 모습이 아닐까? 우리가 범하는 일들이 어떠한 것이며 어떠한 결과를 가져 오는지 분별할 수 없는 데에 현대인의 비극이 있는 것이다.
GSMP를 이용한 OBS의 병렬형 제어 및 연결설정 지연의 측정
김춘희,차영욱 국립7개대학공동논문집간행위원회 2004 공업기술연구 Vol.4 No.-
Optical burst switching (OBS) overcomes the inefficient resource usage of optical circuit switching and minimizes the optical buffering requirement of optical packet switching. General switch management protocol (GSMP) is an open interface between a label switch and a controller, and it provides connection, configuration, performance, event management and synchronization. GSMP open interface in the OBS network allows the control plane to evolve independently from the transport plane. The introduction of open interface will cause the connection setup delay because of additional processing overhead of open interface protocol. In this paper, we applied the GSMP open interface to the OBS control, and proposed the parallel connection control mechanism using the centralized connection server. Our parallel control mechanism will reduce the connection setup delay in comparison with the traditional switch-by-switch control mechanism. We implemented OBS control protocol and GSMP interface to validate the realization of the parallel control mechanism, and measured the connection setup delays of switch-by-switch and parallel controls.
광대역 엑세스 망을 위한 연결 제어 프로토콜의 연동 모델
김춘희,차영욱,한기준 安東大學校 工業技術硏究所 1999 공업기술연구논문집 Vol.6 No.1
B-ISDN 환경에서 전송 시스템은 가입자망과 국간 중계망으로 구성되며, 가입자망 내에 도입된 광대역 엑세스 망은 다양한 유형의 가입자들을 서비스 노드로 집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TU-T의 SG13에서는 광대역 엑세스 망과 서비스 노드 사이에서 ATM 자원의 동적인 할당 및 해제를 위하여 연결제어 프로토콜의 표준화를 수행하고 있다. ATM 연결의 설정을 위한 연결 제어 프로토콜과 신호 프로토콜의 연동 기능은 서비스 노드에서 수행되며, ITU-T에서는 순차적 연동 모델을 채택하고 있다. 순차적 연동 모델은 SN에서 각 프로토콜의 절차가 순차적 방식으로 연동되므로 연결 지연이 크다. 본 논문에서는 광대역 엑세스 망의 도입으로 인한 연결 설정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병렬형으로 수행되는 연동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순차적 연동 모델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병렬형 연동 모델의 연결 설정 지연 및 완료비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에서 사용된 워크로드 파라미터는 RACE MAGIC 프로젝트의 결과를 적용하였다. In B-ISDN environment, various subscribers are concentrated into a service node via a broadband access network. The SG13 of ITU-T is standardizing a connection control protocol which provides dynamic allocation of ATM resources between an access network and a service node. To establish an ATM connection, interworking functions between the connection control protocol and the signaling protocol are performed at the service node. ITU-T adopts a sequential interworking model. In this paper, we propose a parallel interworking model which minimizes the overall connection setup delay by introducing the access network. Using the simulation, we compare our proposed parallel model with the existing sequential model in terms of connection setup delay and completion ratio. The workload parameters of RACE MAGIC project are applied to the analysis and simulation.
김춘희 한국 헨리제임스 학회 1996 헨리 제임스 연구 Vol.- No.1
If we can say that the unconventional way of defining literary forms in the nineteenth century, especially in the second half of the century, means a sort of literary or cultural evolution, then we can propose that this unconventional evolution came along with literary activities being characterized by a confusion of forms or an indistinction of forms. One of the most distinct aspects of the literary activities of that time must be through a double vision of the novel and theater: understanding drama through novels, novel-writing based on the scenic method, etc.... This specific general tendency of the literary movement makes us approach Henry James with a new perspective. The question of drama was roused and activated ironically by the novelists of this era and their dramatic criticisms and playwritings.Henry James, who was generally known as a novelist but whose ardour for the theatre never waned all through his life, can be brought up as a real and problematic case for a double vision of the novel and the theatre. In this article, we well study aspects of the confusion of mixed forms of literary genres that will guide us towards certain salient aspects of integration of different kinds of literary forms, especially through Summersoft, Covering End and The High Rid The transtional moment, a moment of crisis, from one crisis to another reveals a certain vital aspect of literary creation. Here we'll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vision of integration: towards expansion or towards restraint. It is the dynamic force of transformation which can be interpreted as vitally essential in expanding or restricting the framework of literary genres a priori defined as novel, drama, etc. Our main task is to evaluate these characteristic aspects of literary forms: collision, tension and intervention with respect to various types of integration in the novel(or short story) and dramas of James, and to suggest a new specific perspective in the study of Henry James.
金春熙,崔德瓊 우석대학교 의과대학 1970 우석의대잡지 Vol.7 No.1
Oxygen uptake and body temperature regulation were studied in male albino rats to which thyroxin was administered orally for more than 3 weeks. Observations were made in three different ambient temperatures, namely, room temperature (18℃), 36℃ and 4℃ water bath. Measurements of oxygen uptake, rectal temperature and skin temperature were made every 10 minutes for 60 minutes during.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In 11 normal control rats oxygen uptake in 18℃ was 27.8-32.4 ml/kg/min and it increased to 32.7-34.6 ml/kg/min in the thyroxin administered animals. In 36℃ ambient temperature oxygen uptake of experimental animals ranged between 27.8 and 34.2 ml/kg/min and is almost identical with the normal control animals showing oxygen uptake of 27.4-36.2 ml/kg/min. In cold of 4℃ ambient temperature oxygen uptake of experimental animal was 67.7-33.7 ml/kg/min as compared to 73.7-55.4 ml/kg/min of normal rats. 2. Rectal temperature of thyroxin administered rats in 18℃ ranged between 37.7 and 38.5℃ and is higher than the normal control rats whose rectal temperature ranged between 36.6 and 36.9℃. In hot environment of 36℃ rectal temperature of both experimental and normal rats increased as compared in the ambient temperature of 18℃. Rectal temperatures in 36℃ were: experimental rats, 38.2-41.3℃; normal rats, 38.2-40.6℃. In the cold of 4℃ rectal temperature of experimental animal was 36.5-27.0℃ and was lower than that of normal rats whose value was 37.0-30.5℃. 3. Skin temperature of thyroxin administered rats was higher than that of normal control rats in 18℃ and 4℃ ambient temperature. Skin temperatures were: 35.3-35.9℃ at 18℃, 36.9-39.4℃ at 36℃, and 31.5-23.2℃ at 4℃ in experimental rats and 33.0-34.1℃ at 18℃, 37.0-39.6℃ at 36℃, 30.7-23.9℃ at 4℃ in the normal control rats. 4. Thermal circulating index in 18℃ and 4℃ ambient temperature of experimental rats was higher than normal rats. In hot ambient temperature of 36℃ thermal circulating index of experimental rats was lower than normal rats. Thermal circulating index were: 4.04-7.41 in 18℃, 0.77-4.81 in 36℃, and 2.89-5.52 in 4℃.
에밀 졸라의 '도덕성'에 대한 헨리 제임스의 비평적 오류
김춘희 한국 헨리제임스 학회 2000 헨리 제임스 연구 Vol.- No.5
본 논문의 주제, 즉 A라는 작가에 대한 B라는 작가의 비평적 입장은 두 작가에 대한 비교문학적 시각의 정당성을 지닌다. 그러나 두 작가 사이에 대한 비교문학적 시각의 정당성을 지닌다. 그러나 두 작가 사이에 순탄한 영향 관계를 성립시키기에는 A의 용어에 대한 B의 오해가 그 정당성을 위태롭게 하기도 한다. 작가들 사이의 영향 관계를 정립한다는 것은 작가들 상호관계에 관한 해석적 오해의 위험을 감수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오해의 가능성을 철저히 배제시키는 시도가 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그런 해석적 오해의 위험을 감수하여 두 작가의 순탄한 영향 관계를 성립하려는 경향이 강했던 종래의 시도들에 대한 문제 제기인 셈이다. 따라서 그들에게서 간파되는 가장 중요하면서도 오해의 소지가 큰 ‘도덕성’의 문제에 관한 논의 속에서 절실하고 민감하게 제시되는 과학과 예술에 관한 그들의 입장을 분석해 보았다. 결과적으로 제임스의 예술과 과학의 대비적 비평 방식은 졸라에 관한 한 부적절하고 문제적이었음을 고찰해 보았다. 제임스가 과학과 예술을 구분하여 예술을 구분하여 예술의 역할과 가치의 문제를 제기했다면, 졸라는 예술· 삶· 과학· 창조· 개성적 기질 등의 용어들을 종합하여 그가 이끌어 낸 것은 과학과 예술의 산물, 즉 예술 자체는 “자연계의 견고한 결정적 법칙들을 향해 나아가는 것” 으로서 이러한 예술은 ‘근대적 미학’으로서의 과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