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영유아를 위한 일과기반 발달검사 MEISR 타당화

        김주현,김주현,박혜원 인지발달중재학회 2024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5 No.1

        Objective: The Measure of Engagement, Independence, and Social Relationships (MEISR) is a tool designed to assess the engagement, independence, and social interactions of infants and toddlers during daily activitie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Korean version of MEISR (K-MEISR) and evaluat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Methods: Korean version of MEISR was developed through the translation and modification of items of the MEISR following a pilot study (N = 44). Two studies were conducted with parents of infants and toddlers up to 36 months old using online (N = 124) and offline (N = 134) version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and AMOS 25.0. Item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as well as passing rates were calculated; and internal consistency, correlations among the routine and total scales, factor analyses, and correlations with K-DST rating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MEISR. Results: Analyses of item difficulty and passing rates identified characteristics of items for determining the item order for K-MEISR. High correlations between the total of each routine and the total of all items were found in both the online (r = .896~.992) and the offline (r = .874~.988) versions. Reliabilities of all total scale items were high for both the online (r = .998) and the offline (r = .997) versions. Reliabilities of routine items were also high, ranging from .913 to .985 for the online and .914 to .985 for the offline version. Correlations between K-DST and K-MEISR were high for both the online (r = .981) and offline (r = .959), showing high concurrent validity. Conclusions: The items of the total scale, and routines and functional domains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high correlations with K-DST, revealing the concurrent validity of K-MEISR.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clinical use of the assessment tool are discussed.

      • 녹색 경제와 산업 발전을 위한 지식경제(智識經濟)(Knowledge Based Economy) 2010. 봄 합본호 -2009. 겨울

        김주현 현대경제연구원 2012 知識經濟 = Knowledge economy research report Vol.7 No.-

        특집: 지역 특화 성장 전략 -1. 지역경제 침체와 육성 과제. 2. 지역별 R&D 효율성 분석. 정부 녹색소비 활성화 방안 영국의 탄소통화 구상 해외 배출권거래 실시 ·검토 현황 Greendex: 녹색소비의 국가별 비교.

      • KCI등재

        여고생의 한국 전통음식에 관한 기호도 및 섭취빈도에 관한 연구

        김주현 한국식품영양학회 1995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8 No.4

        대구시내 인문계, 실업계 여고생 총 420명을 대상으로 전통음식에 관한 기호도와 섭취빈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을 조사한 결과, 실업계 여고생의 부모보다 인문계 여고생의 부모의 총수입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대가족의 형태와 형제 자매수는 실업계 여고생에게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2. 전통음식의 섭취빈도를 조사한 결과 인문계 여고생에게는 상대적으로 구이류의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 실업계 여고생에게는 상대적으로 면류의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3. 된장류, 김치류, 젓갈류의 기호도와 섭취빈도를 조사한 결과, 젓갈류의 기호도와 섭취빈도가 실업계 여고생에게 높게 나타났다. 부모들의 수입정도에 따른 된장류, 김치류, 젓갈류의 기호도와 섭취빈도를 조사한 결과 수입이 높을수록 기호도와 섭취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4. 16종의 음식종류중 먹어보았거나 조리방법까지 알고 있는 식품의 종류를 조사한 결과 인문계 여고생은 7.74개, 실업계 여고생은 6.99개로 인문계 여고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 이것을 Pearson상관계수로 그 요인을 비교한 결과, 부모의 수입이 부모의 나이보다 전통식품의 인지도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에서 보듯이 교육환경 즉, 가족형태, 수입 등의 사회 경제적 요인이 서로 다른 두 집단에서의 전통음식의 섭취빈도, 기호도, 인지도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그들의 가족형태, 경제적인 수준의 차이가 전통식품의 선택, 기호도 등에 영향을 주었고, 이러한 경향은 오늘날의 식생활 변화를 대변해 준다고 볼 수 있다. 우리의 전통음식을 젊은 청소년에게 널리 인식, 보급시키기 위해서 그들을 둘러싼 사회 경제적, 교육적 환경을 더욱 자세하게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and consump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s. Questionaries were completed by 210 academic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also by 210 vocational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family income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was sin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family size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was langer than that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the food consumption,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are broiled foods more frequently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 ate noodles more frequently. Academic high school student showed a higher average in the preference of salted sea foods than that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the intake of salted sea foods, academic high school student had a higher intake frequency. The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salted sea food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ir family's income. Also academic high school student showed a higher average in Korean traditional food knowledge. And this knowledg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ir family's income.

      • KCI등재

        디지털 서명과 암호화 기반 보안 UART의 설계와 구현

        김주현,주영진,허아라,조민경,류연승,이규호,장우현,유재관 한국융합보안학회 2021 융합보안 논문지 Vol.21 No.2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는 데이터를 직렬 형태로 전환하여 전송하는 하드웨어 장치로서 대부 분의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시스템 진단 및 디버깅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해커는 UART의 기능을 이용하여 시스템 메모 리나 펌웨어에 접근할 수 있고 시스템의 관리자 권한 취득을 통한 시스템 장악도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UART를 통해 침 투하는 해커의 공격을 방어하기 위한 보안 UART를 연구하였다. 제안한 기법은 약속된 UART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인 가된 사용자만이 UART 접속을 허용하고 비인가자의 접속은 불허한다. 또한, 스니핑을 통한 프로토콜 분석을 막기 위해 데이 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제안한 보안 UART 기법을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에 구현하고 성능검증을 수행하였다. 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is a hardware device that converts data into serial format and tra nsmits it, and is widely used for system diagnosis and debugging in most embedded systems. Hackers can access system memory or firmware by using the functions of UART, and can take over the system by acquiring administrator rights of the system. In this paper, we studied secure UART to protect against hacker attacks through UART. In the proposed sch eme, only authorized users using the promised UART communication protocol are allowed to access UART and unauthoriz ed access is not allowed. In addition, data is encrypted and transmitted to prevent protocol analysis through sniffing. The proposed UART technique was implemented in an embedded Linux system and performance evaluation was performed.

      • KCI등재

        디지털 시대의 평등권

        김주현 법과사회이론학회 2022 법과 사회 Vol.- No.71

        The digital divide represents inequality in the digital age. In the early stages, the digital divide referred to the divide between those with access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ose without. The divide gradually developed into a social, economic, geographical, and educational gap between the haves and the have -nots. The issue of access also expanded to include the use and utilization of the Internet after it became widely available. Today, the advent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Internet of things, has expanded the scope of the digital divide. The concept is undergoing a dynamic transformation. The digital divide consists of three stages: the gap in access, the gap in utilization, and the gap in outcomes. Discussions regarding digital equal rights have progressed with each stage. First, the right to equal access was born out of the social consensus that everyone should have equal access to essential digital tools. Later, as the gap in utilization became prevalent, the right to equal utilization emerged. The right to equal utilization means rights to education and training in order to enable equal utilization of digital technology. In addition, the rights to digital equality for the socially vulnerable garnered attention as well, for instance, Korea has implemented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Informatization that guarantees equal access and use of digital technology to protect the rights of the socially vulnerable. Accordingly,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are providing digital devices or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he low-income class,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On closer inspection, however, the recent cases of digital alienation experienced by the elderly reveal the limitations of existing laws and policies. Senior citizens have a tendency to experience psychological barriers when using digital devices, and find simple daily tasks, such as ordering food and paying for public transportation, challeng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alleviate the alienation are often available online and discrepant across regions, further limiting the elderly’s access. Establishing a plan to provide not only equal physical access, but also equal psychological access to digital technology is necessary. As a matter of fact, strengthening regionally-uniform, experience-oriented education and developing digital devices are essential to improve digital competencies and reduce the burden of education on the elderly. In addition, to the above laws and policies, those that address the gender digital divide are needed. Above all, it is imperative to induce the developers to build digital tools that are friendlier to the socially disadvantaged, allowing them to lead a more sustainable and productive life. 디지털 시대의 불평등은 디지털 디바이드라는 개념으로 대표된다. 초기에 디지털 디바이드 개념은 정보통신기술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사이의 분리를 의미했다. 이러한 분리는 점차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의 사회적, 경제적, 지리적 또는 교육적 격차로 발전하였고, 접근의 측면도 인터넷이 보편적으로 보급된 이후에 인터넷의 이용 및 활용으로 확장되었다.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뿐 아니라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의 지능정보화기술이 등장하면서 디지털 디바이드 개념의 외연이 확장되고 있다. 이처럼 디지털 디바이드는 역동적 개념으로 다양한 맥락에서 재구성되고 있다. 디지털 디바이드는 크게 세 단계, 디지털 접근의 격차, 디지털 이용의 격차, 디지털 이용 결과의 격차로 나눌 수 있으며, 이 단계에 따라 디지털 평등권의 내용도 발전하였다. 먼저 평등한 접근권은 모든 사람이 기본적인 디지털 도구에 평등하게 접근할 권리가 있다는 데에서 형성되었고, 이후 디지털 기술의 이용 격차가 나타나면서 평등한 이용권이 등장하였다. 평등한 이용권은 모든 사람이 평등하게 디지털 기술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교육과 훈련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한다. 또한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디지털 평등권이 발전하였는데, 우리나라는 사회적 취약계층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에 대한 평등한 접근권과 이용권을 보장하는 「지능정보화 기본법」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저소득층, 고령층, 장애인을 위해 디지털 기기를 제공하거나 관련 교육의 제공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여성 고령층이 겪고 있는 디지털 소외 사례를 살펴보면, 기존의 법과 정책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고령층은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는데 심리적 거부감을 느끼며, 디지털 기기 사용이 강요되어 음식을 사먹거나 대중교통 티켓을 사는 등의 일상생활을 제대로 못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제공되는 교육도 온라인으로 이루어지거나 지역적 차이가 생겨 접근이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기술에 대한 물리적 접근을 넘어 모든 사람이 디지털 기술에 심리적으로 평등하게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디지털 역량 향상을 위해 지역적 균형을 이룬 체험 위주의 교육을 강화하고, 고령층에 친화적인 디지털 기기를 개발하여 교육의 부담을 덜어야 한다. 또한 젠더 디지털 디바이드에 대응하기 위해 관련 법과 정책을 마련해야 하며, 기술 개발자에게 사회적 취약계층에 친화적인 디지털 도구를 개발할 의무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우리나라 해운기업 톤세제의 정책적 효과 분석

        김주현,곽동욱,김태한,김기수,최석우 감사연구원 2022 감사논집 Vol.- No.39

        In the 1990s, European countries implemented a tonnage tax system for shipping companies to restore their merchant fleet and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shipping industry. Korea also introduced a tonnage tax system for shipping companies in 2005 to create an equivalent tax environment with other countries. This tax system, which was introduced as a sunset system, has been maintained for the past 20 years through partial revision of the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Although 40% of Korean shipping companies have been benefited from this system, an in-depth evaluation has not yet been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policy effects of the tonnage tax system in Korea, this study examines changes in the amount of tax reduction, asset investment, and sales volume for companies applying the tonnage tax system and general corporate tax system during the first implementation period of this system (2005-2009). For empirical analysis, the difference-in-difference method was applied, which is a kind of quasi-experimental design. As a result of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compared to companies adopted the general corporate tax system, the amount of tax savings, asset investment, and sales for companies adopted the tonnage tax system increased on average.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that if similar systems are introduced in the shipping industry in the future, some of the benefits from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should be used for employment, training, and reinvestment for related projects so that the effects of the policy can be spread to the industry and the national economy. 유럽 국가들이 1990년대에 들어 해운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자국 상선대의 증대를 위해 해운기업 톤세제를 시행함에 따라, 우리나라 역시 해운산업에서 타국과 대등한 세제 환경을 조성하고자 2005년에 해운기업 톤세제를 도입하였다. 일몰제로 도입되었던 동 제도는「조세특례법」의 일부개정을 통해 지난 20여 년 간 지속되고 있으며 외항화물운송업체의 약 40%가 이 제도를 활용해 법인세 절감 혜택을 받고 있다. 그럼에도 제도 시행에 따른 성과의 심층평가가 지금까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정책적 효과의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톤세제의 정책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톤세제 및 일반 법인세제 적용기업을 대상으로 조세절감액, 자산투자 규모, 매출액 규모의 변화를 톤세제 1차 시행 기간(2005~2009년)을 대상으로 준실험 설계기법인 이중차분법을 적용해 실증분석하였다. 고정효과모형의 패널회귀분석 결과, 톤세제 도입 이후 톤세제 적용기업은 일반 법인세제를 적용받는 기업 대비 조세절감액과 자산투자액 및 매출액이 평균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를 추가한 모형에서도 통계적 유의성은 확보하지 못했으나 세 가지 변수 모두 양(+)의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정책효과 분석을 토대로 향후 해운산업 분야에서 유사한 사업과 제도를 새로이 도입하게 되는 경우 정책을 통한 효과가 정책수혜대상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산업과 국가 경제 전반에 파급될 수 있도록 제도 도입에 따른 혜택의 일부를 국내 인력의 고용과 훈련, 관련 사업을 위한 재투자 등에 활용하도록 규정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