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비판적 읽기와 창의적 쓰기를 위한 지도 방안

        김원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5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a case of instruction measures for critical reading and creative writing of college students of Bukyung University, and to suggest clues of future oriented writing education which is emphasized for whole-person education and logical and creative thinking.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this case were critical reading and creative writing, and the way of writing focusing procedure based on basic theories of writing was stressed to achieve the objectives. Therefore, this thesis presents basic theories of writing, and describes the way of writing book report and discussion, writing a essay about himself, and writing group report for cultural experience. The instruction measures of this case and its implication is as follows;First, the procedure of writing and the components of report was highly recommended in the process of writing book report. This instruction makes students read texts critically and write creatively based on the critical reading. Second, writing a essay about himself also based on the procedure gave opportunity of self-reflection and self-expression. Third, writing group report for cultural experience was conducted with ubiquitous way. This kind of experience helped student develop their capability to the modern democratic citizenship in Digilog era. 대학 교양 글쓰기 교육은 글을 잘 쓰기 위한 기술의 숙련을 넘어 대학생의 전인적 교육과 논리적이며 창의적인 사고를 고양하는 측면에서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본 논문은 대학생의 비판적 읽기와 창의적 글쓰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부경대 교양 글쓰기 강의의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대학 교양 글쓰기의 미래지향적 교육 방법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사례에서는 대학생의 비판적 읽기와 창의적 쓰기를 주된 교육 목표로 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로 글쓰기의 기초 이론에 의거하여 절차에 따라 글을 쓰는 방법을 강조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비판적이며 창의적인 글쓰기에 필요한 글쓰기의 기초이론을 제시하고, 이러한 글쓰기 이론과 글쓰기 실천을 연계하는 측면에서 1)독후감 쓰기와 독서토론 2) ‘나(자기 자신)’에 대한 글쓰기, 3) 조별 문화체험과 문화 비평 등의 과제 지도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본 사례가 글쓰기 교육의 실제적 참고자료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구체적인 읽기 및 쓰기 과제의 지도 방법과 의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후감 글쓰기 과정에서 글쓰기 절차와 리포트의 요건을 적용하게끔 한다. 이 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은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읽게 되고, 그 감상을 기반으로 창의적인 글쓰기를 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나(자기 자신)’에 대한 글쓰기에도 글쓰기 절차를 적용하게끔 지도한다. 또한 ‘나(자기 자신)’에 대한 글쓰기는 자기 소개서와는 달리, 대학생들에게 자기 성찰 내지는 자기표현을 폭넓게 할 수 있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셋째, 조별 과제인 문화체험을 토대로 한 대학생의 문화 비평 글쓰기 과제의 지도에도 글쓰기 절차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유비쿼터스 글쓰기의 창의력을 발휘하게끔 지도한다. 이러한 방식은 협력적 과정으로서의 글쓰기, 대화와 체험과정으로서의 글쓰기를 디지로그 내지는 유비쿼터스 방식의 글쓰기로 확장함으로써 미래지향적 대학생의 비평의식을 민주시민의 실천적 삶의 현장으로 연계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 일반연제(포스터) : P-11 ; VRE 환자의 소변에서 분리된 Vancomycin-Dependent Enterococci(VDE) 1례

        김원희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08 임상미생물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08 No.-

        배경 : 1988년 유럽에서 처음 분리된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VRE)는 지금은 전 세계적으로 병원감염의 주요한 병원체이다. Vancomycin에 노출된 VRE는 내성 유전자(vanA, vanB, vanH, vanX 등)를 통해 내성이 발현된다. VRE 관련 내성 유전자 중 특정 유전자 소실로 vancomycin에 의존하는 현상을 보이는 vancomycindependententerococci(VDE)가 1994년부터 분리되기 시작했고 우리나라에서도 종종보고되고 있어 VDE의 배양과 동정검사 및 표현형 특징을 고찰하였다. 방법 : 뇌종양과 감염질환을 동반한 만 1세 여아의 소변을 면양혈액한천배지에 배양하여 부분용혈을 띤 회백색 집락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그람양성 사슬알균이었으며 자동분석장비(VITEK®2, bioMerieux, Inc.)로 동정검사와 항생제감수성검사를 하였고 에스쿨린 분해시험과 6.5% 식염내성시험을 하였다. 디스크확산법으로 항생제감수성검사 결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 동 환자의 초기 분리된 균주는 에스쿨린 분해시험 및 식염내성시험 모두 양성이었으며 E. faecium으로 동정되었고 항생제감수성 검사에서 vancomycin 내성이었다. 그 후 추적 소변배양검사에서 이전의 VRE 균 집락과는 다르게 집락 형성이 저조하였다. 자동분석장비(VITEK2과 MicroScan)에서 항생제감수성검사의 결과를 얻을수 없어서, 디스크확산법으로 검사하였다. Glycopeptide 계열 항생제인 vancomycin과teicoplanin 디스크 주변에서만 집락이 형성되었고 나머지 항생제 주변에서는 성장하지 않았다. 고찰 : VDE는 vancomycin이 첨가되지 않은 면양혈액한천배지에서 잘 자라지 않아 동정하기 쉽지 않았고 자동분석장비를 이용한 항생제감수성검사에서 오류를 범할 수있어 검사자의 주의가 필요했다. VDE는 vancomycin에 오랜 기간 노출된 VRE가 유전적 변이를 일으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상기 환자의 경우도 VRE에 대한 추적 소변배양검사에서 VRE, VDE로 순차적으로 분리되었다. 최초 분리된 VDE를 계대배양하면 vancomycin에 의존하는 현상이 없어져 VRE로 전환됨을 알 수 있었고, 이를 다시 vancomycin이 포함된 배지에 계대배양을 지속하면 VDE가 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모든 VRE에서 동일한 현상을 관찰할 수 있을 것인지, 그 발생 메카니즘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율곡의 사회국가론

        김원희 (사)율곡학회 2017 율곡학연구 Vol.35 No.-

        The characters of Jo-Seon society and country in the 16th century when Yulgok lived are much similar with ones of Korea nowadays. Both of them share various evil conventions in parts of each own society, which have been being accumulated, fixed, and finally fossilized as time goes away. Yulgok believed that the powerful reform called Geongjang was the very key to overcome all the national crisis. Therefore, he as a Confucian, not only pointed out all the specific problems but also suggested alternatives or ways to make improvements. He thought that the circumstances and actual effectiveness was the only way to get out from the overall crisis in the ongoing degradation days. Former researches have already given a lot of useful information on Yulgok's reform theory and view of the ideal society which would result from the reform and be naturally watched if it was a normal society and country. In this paper, on the basis of these former studies and also focusing on my own understanding of Geon-do, I examine the problems of family, Hang-yak and national defence and then reconstruct the theory on the Confucius nation as a socially extended family. With this, I reinterpreted Yulgok's approach by adapting it to family concepts of Korean these days and also pondered the reconstruction of the wholesome society and country with Gi-gang and Won-gi by demolishing all deep-rooted evil things. The right department to embrace all these could be politics and, as Yulgok's word, "to meet a sage king with wise retainers" could be pivotal to solve the problems. However, because trying to change a king who was the pick of the feudal society meant being treacherous, he mainly emphasized to recruit wise and capable men(so-called Heon-Jae) and to place them in the right positions appropriate for their own characters. This might be the best alternative plan for Yulgok. Then, the abrogation of the discriminations against Seo-eol could not be excluded. If Korea is unnatural today, it must be the result of the wrong systems and laws or the faults of people to improperly operate them. Only when Yulgok's age ought to be reflected, Yulgok's thinking ought to be reinterpreted, and everything ought to be alined and newly transformed one another, Korean society could have its hope at last. Only to do this must be the chance to overcome the ressentiment that has brought extreme disparities in educational background, social position, income and property, which Korean society has continually been ill with. 율곡이 살았던 16세기 조선이라는 사회와 국가는 작금(昨今)의 대한민국 모습과 유사한 부분이 적지 않다. 그것은 다름 아닌 사회 곳곳에 만연한 폐단인데, 시간이 거듭될수록 켜켜이 쌓여만 가면서 계속 묵혀져서 점점 화석으로 변모하는 양상까지 닮아 있다. 이 절체절명의 위기를 타개할 수 있는 핵심 동력이 강력한 개혁[경장(更張)]임을 모를 리 없는 율곡은 문제를 조목조목 지적하는 데 그치지 않고 개선책이나 대안까지 제시함으로써 유자(儒者)로서의 본분을 다하고자 노력한다. 오직 시의(時宜)와 실효(實效)만이 ‘중쇠기(中衰期)’로 자가 진단된 이 총체적 난국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이 같은 율곡의 개혁론과 그 결과로 도달 가능한 이상사회, 즉 하나의 정상적인 사회와 국가라면 당연히 자연스럽게 드러날 수밖에 없는 본연의 모습에 대한 견해는 이미 선행연구들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필자는 이를 바탕으로 하되 이 글에서는 ‘권도(權道)’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가족(家族)·향약(鄕約)·국방(國防)의 문제들을 검토하여 가족의 사회적 확대의 양상인 유가적인 국가론의 한 면모를 재구성한다. 이로써 우리시대에 맞는 가족에 대한 율곡의 접근법을 새롭게 해석해보고, 적폐청산을 통한 건전한 사회의 구성, 그리고 기강(紀綱)과 원기(元氣)가 살아있는 국가에 대해 고민하도록 한다. 이 모든 내용들을 아우르는 분야는 정치이고, 율곡의 표현대로 ‘성왕(聖王)과 현신(賢臣)의 만남’이 곧 문제해결의 관건이 된다. 하지만 봉건사회의 정점에 있는 국왕을 바꾸는 것은 반역이기에 율곡은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 현명하고 재능 있는 사람[현재(賢才)]을 등용하여 인물과 직위가 서로 알맞게 배치되어야 한다고 부단히 강조한다. 율곡으로서는 최고의 차선책을 내놓은 셈이다. 그렇다면 서얼(庶孼) 허통(許通) 또한 빠질 수 없는 대목이 된다. 지금의 대한민국이 비정상이라면 그것은 바르지 못한 제도와 법이 만들어낸 결과물이거나 제도와 법을 제대로 운용하지 못한 사람의 잘못에서 기인한 것이다. 율곡의 시대를 반면교사로 삼고 율곡의 생각을 오늘의 현실에 맞게 헤아려서 하나하나 제대로 정비하여 새롭게 변모할 때 비로소 한국사회는 희망을 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것만이 기존의 한국사회가 앓고 있는 학력이나 지위, 소득이나 자산의 극단적인 격차가 불러온 르상티망(ressentiment)을 극복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믿는다.

      • KCI등재

        중국 육식 문화에 대한 小考 ― 고전 문헌 속 돼지와 양을 중심으로 ―

        김원희,이종무 중국인문학회 2012 中國人文科學 Vol.0 No.51

        这篇文章的主要研究目的在于考察以猪肉、羊肉为主的中国肉食文化,以此探讨中国饮食文化的特点和文化史的意义。饮食是人们最基本的需求之一,而肉食文化则是最贴近人们日常生活的文化之一。猪和羊作为中国最常见的牲畜,是非常重要的肉类食品来源之一。以小农经济为主的中国古代农业社会,能选择以猪肉和羊肉作为最重要的肉食,具有一定意义。首先,本论文通过对饮食专著及农书里的调查,分析了中国猪肉饮食文化的具体情况。同时,探讨了在古代诗歌中的猪肉形象,据此具体了解当时日常肉食文化倾向。其次,本论文又考察了羊肉饮食文化。羊肉作为北方游牧民族的主要肉类饮食,顺着魏晋南北朝时期大规模地北方民族的南迁,逐渐地挑战和超越猪肉在汉族肉类饮食中的地位。唐宋时期经济急速发达,通过当时的诗歌和笔记,可知从贵族到官员成为羊肉的巨大消费群。特别在宋代人人对肉食的选择上,都可以看到羊的频繁出现。另外,通过袁枚≪隨园食單≫上记载有关羊肉传统烹饪法,可知清代羊肉已有多种烹饪法而普遍地受欢迎。最后,本论文根据古代饮食专著≪養小錄≫等所记,研究了为肉类的风味强化与肉类防腐及保藏,必不可少的中国香辣料文化。饮食文化之所以多样多变的文化标志,是因为它把社会現象的变化反映到它里面面观。'肉食'在人們的生活中佔據着重要而獨特的地位, 它不僅是一種美食, 而且更體現了文化和歷史價値。通过有關'猪'和'羊'的诗词和饮食专书等古代文献, 我们可以了解独特的中国肉食文化蘊含和古代民俗風情。

      • KCI등재

        한국 전후 김동리 소설에 나타난 공간인식 연구- 1950년대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김원희 한국비평문학회 2019 批評文學 Vol.- No.74

        Short stories about Kim Dong-ri in the 1950s and 1950s showthe perception of space that predicted reconstruction from the ruins. Through the spatiality of Kim Dong-ri's short stories in the 1950s,the political nature of post-war literature was identified as follows. The view of the spatial perception from ruins to reconstructionshown in Kim Dong-ri's postwar short stories in the 1950s wasfound in the following directions. First, the spatial recognition ofsacrifice and engagement was analyzed, with the prospect ofreconstruc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escape and shelter. Second,the spatial recognition of consideration and integration was identified,with the prospect of reconstruction, through the experiences ofreturning home and the new meeting place. As such, the vale ofsacrifice, engagement, consideration and integration based on theexperience of Refresh and Change of Place from the Ruins of thepostwar Korea to reconstruction can be seen as a spatial rhetoricthat emphasizes transnational harmony and coexistence. This is why we can refl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everything in space and organic matter through spatial recognition,which predicted reconstruction as the value of sacrifice, engagement,consideration and integration in the postwar ruins of Korea. 1950년대 김동리 전후 단편소설에는 한국 전후 폐허에서 재건을 전망한 공간인식이 포착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이 논문은 1950년대 김동리의 전후 단편소설에 집중하여 작품의 배경이 되는 지역을 기반으로 한 장소경험을 분석함으로써전후 김동리 본격문학에 뿌리를 둔 세계관의 전망으로써 공간수사학을 탐구하였다. 1950년대 김동리의 전후 단편소설에 나타난 폐허에서 재건으로의 공간인식의전망이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파악되었다. 첫째, 탈향과 피난의 장소경험을 통하여재건을 전망하는 희생과 포용의 공간인식이 분석되었다. 둘째, 탈향과 피난에 이어지는 귀향과 새로운 만남의 장소경험을 통하여 재건을 전망하는 배려와 통합의 공간인식이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1950년대 김동리 전후 단편소설의 공간 수사학은 구체적 지역을 기반으로 한 장소경험을 통하여 페허에서 재건으로의 장소 새로 고침과 바꿈에 맞닿는 희생, 포용, 배려, 통합 등의 전망으로 남북과 동서의 화합을 넘어 세계의 평화와 우주의 조화를 실현하는 공간인식을 강조한 효과가 크다. 한국 전후 폐허에서재건으로의 장소 고침과 재건을 희생, 포용, 배려, 통합의 가치로 전망한 공간 인식을 통하여 초지역적이며 초국가적인 화합뿐만 아니라 우주만물의 공존과 유기체적 관계성을 성찰할 수 있는 이유다.

      • KCI등재

        한반도 고유종 큰꽃땅비싸리의 배수성과 종분화

        김원희,김소영,최병희,Kim, Won-Hee,Kim, So-Young,Choi, Byoung-Hee 한국식물분류학회 2005 식물 분류학회지 Vol.35 No.2

        한국산 땅비싸리속 식물의 종분화를 연구하기위해 염색체수, 형태적변이 및 RAPD분석을 실시하였다. 땅비싸리(2n=16) 와 좀땅비싸리(2n=32)의 염색체수는 기존의 보고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큰꽃땅비싸리의 4배체(2n=32)와 6배체(2n=48)집단이 새로 조사되었다. 큰꽃땅비싸리는 가야산 부근에서 땅비싸리와 좀땅비싸리와 함께 자라고 있었다. 큰꽃땅비싸리는 이들 두 종에 비해 식물체 높이, 잎 및 꽃이 더 크며, 땅비싸리 근연종에서 중요한 분류형질인 잎과 꽃의 털에서 땅비싸리와 좀땅비싸리의 중간 형태를 보이고 있다. RAPD분석에서 큰꽃땅비싸리는 좀땅비싸리와 더 유사하였으나, 4배체와 6배체 간에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반도 고유종인 큰꽃땅비싸리가 공동분포지인 가야산 지역에서 땅비싸리와 좀땅비싸리 사이의 잡종현상과 함께 배수체현상에 의해 기원된 것으로 사료된다. Chromosome number, morphological variation and RAPD analysis were investigated to study on the speciation of Indigofera in Korea. Chromosome numbers of I. kirilowii (2n=16) and I. koreana (2n=32) a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reports. In this study tetraploid (2n=32) and hexaploid (2n=48) of I. grandiflora are newly observed. Indigofera grandiflora is distributed around Mt. Kaya area together with I. kirilowii and I. koreana. The former species has the larger sizes in plant height, leaves and flowers than the latter two and shows intermediate form between the two species in hairs on leaves and flowers which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taxonomic characters in this group. In the RAPD analysis, I. grandiflora is similar to I. koreana than I. kirilowii but RAPD band patterns revealed difference between tetra- and hexaploid of the speci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Korean endemic species of I. grandiflora (2n=16, 32, 48) might has multiple origin through polyploidization and/or hybridization between I. kirilowii (2n=16) and I. koreana (2n=32) around Mt. Kaya area where the latter two grow together.

      • KCI등재

        남중국해 중재판정과 독도의 법적 지위에 대한 함의

        김원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6 해양정책연구 Vol.31 No.2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legal status of island and rock under Article 121(3) and to review the legal reasoning rendered by the arbitral tribunal under the Annex VII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in the matters of South China Sea Arbitration. The reasoning on the legal status of island and rock has an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policy on Dokdo. For this reason, this paper examines background of the case and the interpretative guide on interpretation of Article 121(3) suggested by the arbitral tribunal. The arbitral tribunal anatomized the sentence of Article 121(3) word by word and gave detailed interpretation to every and each word in it.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interpretative guide, this paper will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reasoning for the policy on Dokdo from Korean perspective. 이 논문의 목적은 남중국해 중재재판에서 재판소가 제시한 섬의 법적 지위에 관한 판단 기준을 검토하고, 협약 제121조 제3항의 암석과 섬의 구별에 관한 해석지침을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중재재판소가 협약 제121조 제3항의 해석지침으로 제시한 판결이유들을 분석함으로써 독도의 법적 지위에 관한 한국의 정책에 함의를 파악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이번 중재사건의 배경과 소송경과를 살펴보고, 협약 제121조 제3항에 대한 중재재판소의 해석론을 검토한다. 중재재판소는 협약 제121조 제3항의 각 단어들을 분절하여 각 단어들마다 매우 상세한 의미와 해석을 부여하였다. 중재재판소의 판정이유를 상세히 검토하고 이번 판정이 독도의 법적 지위에 대해 갖는 함의를 도출하고 한국의 입장에서 마련해야 할 대응책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