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骨角器의 分析的인 硏究

        金建洙 호남고고학회 1998 湖南考古學報 Vol.8 No.-

        우리나라의 골각기는 신석기시대부터 기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정형화되어 청동기 시대, 철기시대, 삼국시대까지 사용된다. 이들 골각기는 기능에 따라 생산용구와 비생산용구로 분류할 수 있다. 생산용구는 골각촉이나 낚시와 같은 직접생산구, 도자병과 같이 다른도구와 결합하여 사용되는 간접생산구, 그리고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일상용구가 있다. 비생산용구는 의복이나 신체에 붙이는 장신구와 정신세계를 나타내는 주술구가 있다. 이들 골각기로부터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고고학적 정보는 수렵· 채집· 어로 등의 생업활동과 정신세계를 복원할 수 있다. 골각기의 재료는 뿔, 뼈, 패각 등이 이용되는데 가장 중심적인 재료는 사슴의 뿔이다. 이는 여러 유적에서 출토되는 동물유체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골각기의 재료로 뿔이 가장 선호된 이유는 뼈보다 내구성이 강하기 때문이다. 또 장신구에 패각과 짐승의 치아가 많이 사용된 것은 지연상태에서도 이것들이 광택이 나는 아름다움을 알았기 때문이다. 이처럼 골각기의 재료는 그 기능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이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Tools made of bone and antler are formed 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function in Neolithic Age and were continually used to Bronze Age and Iron Ages in Korea. These tools are classified production-tools and unproduction-tools. Production-tools divide direct production tool just like arrowhead and fish-hook, undirect production one which used to combine with other tools like knife handle, and tools of life for daily life. Unproduction- tools divide ornaments for cloths or for some parts of body and tools for ritual which shows spiritual world. It is possible to reconstruct their economic life like hunting, gathering and fishery, and spiritual world from these tools. These phenomena changed according to the Age. The raw materials of tools are bone, antler and shell. Most basic material is antler of reindeer. It is also possible to find from material of fauna discovered each sites. the reason why antler was often used for making tool is that the antler is most durable material. Ancient man also used shell and teeth of animals for ornaments because of lustrous beauty on the natural condition. It is possible to know that raw materials of tools is alternatively used for functions.

      • 담화불변화사 but 의 화용 및 심리학적 분석

        김건수 한국강원영어영문학회 2000 영어영문학 Vol.19 No.1

        최근 화용론에서, but을 포함한 둥위절 중 but의 역할을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Blakemore(1989)와 Rieber(1997)는 주로 청자(speaker)의 입장에서 but의 역할을 분석하고 있다. 즉 but은 앞절(S1)과 뒷절(S2)을 대조(contrast)시키는 역할과 but을 포함한 S2가 앞선 S1의 내용을 부인(denial)하는 역할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이 분석은 구문을 '어떻게(how) 해석할 것인가' 로 귀결된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청자의 입장에서가 아닌 화자(speaker)의 견지에서 '왜 but을 사용했을까'하는 점에 중점을 두어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첫쩨, but구문의 S1은 화자나 청자가 공유할 수 있는 일반적인(generic) 내용을 가리키는 경향이 있는 반면 S2는 청자가 끼지 않는 화자만이 갖는 특정한(specific) 세계가 있다. 둘째, S1은 일반적으로 주어진(given) 정보를 보여주는 반면 S2는 새(new)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S1는 초점(focus)을 받지 못하나 문장의 뒤에 위치한 S2는 초점을 받게 된다. 넷째, S1의 내용은 종속절의 성향을 띄는 반면 S2는 주절의 역할을 한다. 다섯째, 화자는 S1을 통하여 S2의 내용을 강화한다. 따라서 but구문은 Blakemore나 Rieber와 같이 청자의 입장에서 분석할 수도 있으나 본고에서와 같이 화자의 입장에서 분석하면 구문의 의미가 더 생생하게 살아남을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動物遺體를 통한 古墳 檢討

        김건수 호남고고학회 2003 湖南考古學報 Vol.18 No.-

        고분에서 출토되는 동물유체는 가축(닭, 돼지), 어류(해산 : 상어ㆍ농어ㆍ복어ㆍ돔류ㆍ고등어ㆍ멸치류ㆍ가자미류ㆍ조기ㆍ준치ㆍ민어ㆍ담수산ㆍ누치ㆍ꺽지ㆍ미꾸라지), 패류(해산 : 대수리ㆍ두드럭고둥ㆍ맵사리ㆍ소라ㆍ전복ㆍ피뿔고둥ㆍ명주개량조개ㆍ가무락조개ㆍ반지락ㆍ홍합ㆍ굴, 기수산 : 재첩류, 담수산 : 우렁이류ㆍ다슬기류ㆍ말조개)등이 있고 기타로 계란과 게류가 있다. 이로서 당시의 식자원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정확한 동정이 이루어진 원주 법천리 4호분의 경우 조기, 민어, 준치 등이 출토되었다. 이것들은 서해안지방에서 초여름에 포획되는 어종으로 원주는 서해안지방과 활발한 교역이 있었음을 알 수 있고, 이 고분에서 이루어진 장례시기도 이때쯤일 것으로 추정된다. 상주 병성동고분은 그 지역의 산물인 꺽지와 닭이 사용되었고 꺽지는 건어물이 들어갔을 가능성을, 그리고 닭은 몸통부분 만 장례에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신라ㆍ가야고분에서는 지역에 관계없이 패류, 어류 등의 해산물을 매납하였고, 대구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의 고분에서는 장례에 상어의 비중이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김해만 지역에서는 전복을 기대에 넣어 장례식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고분에서 출토된 동물유체를 통하여 종래의 시각과는 달리 식자원의 종류, 요리방법, 담는 요기, 고분의 장례시기, 교역권 등의 연구방법을 제시하였고, 이렇게 동물유체를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는데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동물유체가 발굴조사에서 소중히 다루어야 하고, 이것들에 대한 정확한 동정이 필요한 이류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