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광주 신창동유적 : 제1차조사개보

        조현종,장제근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92 고고학지 Vol.4 No.-

        이 글은 국립광주박물관이 광주시의 의뢰를 받아 실시한 광주 신창동 소재 유적에 대한 조사 약보(略報)이다. 유적은 광주-장성을 잇는 국도확포장구간에 포함되었고 공사의 진척에 따라 유적 일부가 잘려나가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특히 유적 일대의 충적 저지대에서는 공사로 인해 패인 지표하 2m 정도의 깊이에 있는 황갈색 사질층과 흑갈색 진흙층에서 볍씨와 탄화미(炭化米) 등이 곡물자료와 함께 일부 가공흔이 나타나는 목재류 등이 채집되었다. 이에 광주박물관은 광주시 등 관계기관과 협의하여 1차로 공사구간에 대한 유구확인을 위한 발굴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조사는 1992년 6월 26일부터 7월 25일까지 이루어졌다. 그 결과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목제 농기구가 출토된 소택지(沼澤地)의 존재가 알려졌으며 이와 함께 초기철기시대에서 원삼국시대에 이르는 것으로 생각되는 토기요지·구상유구(溝狀遺構)·조상유구(條狀遺構)·주거지 등이 확인되었다. 소위 소택지에서는 흑도(黑陶)·고배(高杯)·점토대토기(粘土帶土器) 등 각종 토기류와 함께 칠기고배, 빗(櫛), 검파(劍把), 통발 등 다양한 목제유물과 볍씨 등 탄화미를 비롯한 곡물자료가 발견되었다. 특히 칠기고배를 비롯한 칠기 등과 목제유물은 지금까지 창원 다호리를 비롯한 영남지방에서는 드물게나마 출토된 바 있으나 한반도 서남부지역에서는 초출(初出)의 자료로서 시사되는 바 크다. 또한, 주거지를 제외한 각 유구에서 출토된 토기류의 형태적 특징에서 요지 출토품과 유사성이 인정됨으로써 당시의 생산과 유통에 관한 새로운 인식의 계기를 마련해 주고 있다. 이러한 물질자료들은 유적의 극히 일부에서 출토된 것이지만 아직 밝혀지지 않은 이 시기의 생산양식과 농경문화의 구체적인 실체에 접근하는 데 필요한 하나의 수확이며 고환경의 복원 및 문화발전과 전파문제의 해석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The Shinchang-dong site in Gwangju, Jeollanam-do Province, was excavated by the Gwangju National Museum in 1992, prior to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road. The excavation revealed a peat bog, a pottery kiln, a ditch-shaped feature, a dry field-like feature and a dwelling house. Among the materials recovered from the peat bog were 1) lacquer wares and wooden artefacts including a hoe, mounted dishes, a comb, a dagger handle, basketry fish traps, bird's head-shaped scuplture, and various tools for woodworking, 2) potteries including plain-coarse pottery, black-burnished pottery, and pottery with clay stripe along the rim, the shapes of which are mounted dishes, long-necked jars, wide-mouthed bowls, dish-shaped covers and steamers, 3) organic remains including grains and seeds of rice, barley, wheats, cucumber, legumes and apricots, walnut shells, fish bones and snails, 4) accumulations of large quantities of rice husks. Many wooden pieces, planks and tools with some indications of woodworking as well as the existence of posts for hanging wooden implements indicate the use of swamp as the place for woodworking. The pottery kiln was dug in the direction of contour. Its size is 8m in length by 2m in width, and the slopeness of the floor is 5~8°. It is a open kiln without any additional structure such as roof, wall and combustion chamber. The potteries found from the kiln are similar to those from the bog site. The floor plan of dwelling site is a rectangle about 430cm by 320cm, in the depth of 20cm. It has a central hearth in an oval shape, 50cm in diameter. The peat bog, the kiln and other features date to about the late 2nd century B.C. or the 1st century B.C. while the dwelling site dates to the 3rd century AD.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site, it is designated as the NATIONAL HISTORIC SITE NO. 375.

      • KCI등재후보

        日本의 稻作農耕硏究 : 미생시대수전을 중심으로 focused on the Yayoi rice fields

        趙現鐘 호남고고학회 2000 湖南考古學報 Vol.11 No.-

        水田遺蹟에 대한 일본 考古學界의 연구는 1940年代 精剛縣에 소재한 登呂遺蹟의 조사를 基點으로 본격적으로 전개되었으며 지금은 北海島를 제외한 일본 전지역에서 궁생시대 水田遺蹟이 확인되고 있다. 水田은 地下水의 위치에 따라 濕田과 乾田 또는 半乾田 등으로 구분되며 초기에는 低濕地 周邊을 대상으로 한 濕田形態에서 점차 半乾田 또는 乾田이 일반화된다. 한편, 水田經營의 根幹은 물의 流入과 湛水 그리고 排水 등 효율적인 물 管理體季와 밀접하게 관계되며 따라서 水田에는 水路와 水門, 水桶(暗渠), 水中湺(井堰), 방죽(溜池), 논둑 등이 설치되어 평상관리뿐 아니라 洪水로 인한 水災 및 渴水期에 대한 대비 등 발달된 構造가 初期段階에서부터 확인되고 있다. 이것은 水田이 稻作과 함께 수용된 農業技術이며 그것이 상당히 발달된 형태로 일본에 유입되었음을 示唆한다. 이러한 수전의 立地는 欲間의 欲口部,沖積地의 緩傾斜面, 背後濕地등 비교적 다양하나 대체적인 지형으로는 沖積地一帶가 優勢하다. 이것은 水田의 開田을 條件으로서 土壤肥沃度가 비교적 높고 물의 관리가 용이한 沖積地와 같은 地形이 選擇的으로 採擇되었음을 보여 주며 그 배경으로서 各地形에 대응할 수 있는 技術的適應의 擴大가 이루어진 결과이다. 水田의 開田形態는 면적에 따라 크게 大區劃과 小區劃등 2 類型으로 구분되며, 稻作初期段階에서 이미 出現하고 있는데 전체적으로 小區劃이 많다. 이러한 수전면적의 차이는 開田地形의 修理問題에 따른 考慮, 그리고 開田道具 즉, 木製農耕具의 發展과 궤를 같이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최근 우리나라의 울산 武去洞 玉峴遺蹟과 논산 麻田里遺蹟에서 확인된 水田이 小區劃인 점에서도 근거를 찾아볼 수 잇다. 稻作農耕의 구체적인 자료는 水田遺蹟을 통해 본 日本의 初期稻作은 繩文晩期에 해당되는 突帶文土器段階에 유입된 것이다. This paper reviews the studies on rice fields in Japan. It deals with the basic structure of rice fields, characters of typical rice field sites, and management systems of rice fields including their structure and size. Studies on rice fields in Japanese archaeology were developed from the excavation of Toro site, Shizuoka prefecture, in 1940's, where the farming settlement including rice fields and many wooden tools were preserved in damp conditions, and its excavation produced a detailed picture of an early farming village in Japan. Since then, Yayoi rice fields has been found throughout Japan except Hokkaido. Rice fields system are divided into wet fields, dry fields and half-wet, half-dry field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undergroud water. Early rice fields were wet field system constructed near the swampy lowlands, but gradually changed into dry or half-dry fields system Operation of rice field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water control system such as inflow, filling, and outflow of water. Advanced structure of water control system including drainage canals and irrigation were already found from early rice fields. It means that rice agriculture was introduced in Japan with technologically highly developed form. Rice fields usually located in an alluvial plain where the soil fertility is relatively high and the water control is easy. Rice fields are divided into two types of large and small partition based on their size. Both types were already appeared from the early stage of rice agriculture. However small rice fields were more common since small paddies reduced the amount of earthwork required to keep water at an even depth. Earliest rice fields in Korea are also the small partition type.

      • 잔디 생육에 대한 미량원소의 효과

        조현종,진선재,정종배 대구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2002 생명과학연구 Vol.1 No.2

        미량원소 복합비료의 처리에 따른 한국 들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미량원소 복합비료는 0,6.7 및 11.2 kg/10a의 3수준으로 처리하였으며, 시비 후 2주 및 4주 째에 각각 생육, 토양과 잔디 잎중의 유효태 미량원소의 함량 및 잎중의 엽록소 함량을 조사하였다. 미량원소 복합비료의 처리로 토양과 잔디 잎중에서 유효태 미량요소 함량중에서 Fe와 Zn 함량이 표준구와 배비구에서 증가하였으며, 토양중 Cn 함량은 배비구에서만 증가하였다. 잔디 잎중에서 Cu와 Mn의 함량은 4주째에 배비구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잔디 잎중의 엽록소 함량은 2주 및 4주째에 무비구에 비하여 표준구와 배비구 모두에서 증가하였으나, 표준구와 배비구의 엽록소 함량 차이는 유의성이 없었다. 잔디 생육은 무비구에 비하여 미량원소의 처리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으며, 표준구와 비교하여 배비구에서 생육이 증가하였으나 유의정은 없었다. 미량원소 복합비료의 처리로 토양중의 유효태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식물 체내 이들 미량원소 함량이 증가하고 이는 식물의 과합성을 비롯한 체내 대사과정을 촉진함으로써 잔디의 생육뿐만 아니라 색상을 향상시키는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micronutrients on the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 of turfgrass. The STEP HiMag, micronutrient fertilizer, was applied on turfgrass field in Daegu University at three different rates, 0, 6.7 and 11.2 ㎏/10a. Available micronutrient (Fe, Mn, Cu, and Zn) content in soil and turfgrass blade and chlorophyll content and growth of turfgrass were measured 2 and 4 weeks after the fertilizer application. Content of the available micronutrients in soi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application of micronutrient fertilizer and also the nutrient content in turfgrass blades was increased. Chlorophyll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urfgrass blades treated with the fertilizer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treatment (P>0.05). The average growth of turfgrass was higher in the plots of micronutrient fertilizer, and the growt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fertilization of essential micronutrients is necessary in sandy soils of turfgrass land and can improve the turfgrass growth.

      • KCI등재

        진구성 아킬레스건 파열에 대한 파열 단 사이의 반흔 조직을 이용한 재건술 (2예 보고)

        조현종,여제형,이근배,Cho, Hyun-Jong,Yeo, Je-Hyoung,Lee, Keun-Bae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3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7 No.4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gap between the tendon stumps in chronic Achilles tendon rupture is filled with interposed scar tissue. If it was available to use the interposed scar tissue for reconstruction or augmentation of Achilles rupture, possible damage of normal tissues could be avoided. Our results show that direct repair method using interposed scar tissue for chronic Achilles tendon rupture can successfully relieve pain and restore function of the ruptured Achilles tendon in carefully selected patients.

      • 고추와 토마토에 대한 칼슘 엽면 시비 효과

        조현종,진선재,정종배 대구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2003 생명과학연구 Vol.2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foliar application of calcium on the Ca content and yield of tomato and red pepper plant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a content of tissues and their resistance to fungal diseases was also investigated. The plants were sprayed with commercial Ca fertilizer (49.8% of water soluble CaO) three times during the growth period at a rate of 100 L/10a with 400x diluted solution per spray. Plants sprayed with water served as control. Studied spray had no effect on fruit yields of both tomato and red pepper. Sprays increased Ca concentrations in fruit and leaf. Foliar application of Ca decreased blossom end rot of tomato and fungal diseases in red pepp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oliar application of Ca can be recommended to increase fruit resistance to physiological disorders.

      • 화순 백암리유적 조사보고

        조현종,은화수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5 고고학지 Vol.14 No.-

        화순 백암리 유적은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백암리의 전(田) 355-3번지에 위치하며 민묘 이장작업의 과정에서 한국식동검(韓國式銅劍)과 동과(銅戈)가 발견됨으로써 유구의 잔존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유구는 남동-북서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낮은 구릉의 정상부와 사면에서 송국리형주거지와 적석목관묘가 확인되었다. 백암리 유적은 청동유물이 다량 출토된 대곡리 유적과 직선거리로 약 3.75km에 위치한다. 주거지는 평면 형태가 원형이고 중앙에 타원형 구덩이를 갖춘 송국리형이다. 주거지에서의 출토유물은 석기, 옥, 점토대토기편 등으로 점토대토기가 출토되었다는 점에서 축조 시기는 상대적으로 늦다고 볼 수 있다. 적석목관묘는 훼손되기는 하였지만 매장유적에 사용한 돌의 존재를 통해 적석목관묘로 파악할 수 있었다. 적석목관묘에서 수습된 유물은 한국식동검, 동과, 정문경(精文鏡), 관옥(管玉), 삼각형 석촉(石鏃), 흑도편(黑陶片) 등이다. 백암리 한국식동검은 동부가 길고 등대가 봉부까지 굵게 이어져 공주·연기·당진·장수 등지의 유적에서 철기가 출현한 이후 동검들에서 많이 보이는 특징을 갖추고 있다. 정문경은 2구식으로 함평 초포리유적 및 장수 남양리 유적과 관련되는 시점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정황으로 보아 백암리 유적은 비록 철기가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철기가 유입되고 확산되는 단계의 시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백암리 유적은 기원전 2세기 전후하여 조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Baekam-ri site was accidentally found during movement of a modem burial in April 2003. During the process, a so-called Korean-style bronze dagger and a spearhead were discovered at the location. Subsequent excavation revealed that the archaeological features at the site were mostly located on the top and side of the hill (68 meters above the sea level). They were arranged linearly along the southeast-northwest axis. The excavated archaeological features include a pit-dwelling and a stone-mounded wooden coffin tomb. The pit-dwelling is so-called Songguk-ri style. It has circular plane shape and an oval pit is placed in the center. The oval pit has one central posthole and two additional postholes whose axis does not run over the central posthole. This probably indicates that the pit-dwelling was renovated at least one time.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site include stone tools, jade ornament, and ring-rimmed pottery. The discovery of ring-rimmed pottery indicates that the site was occupied relatively late during the Bronze period. The long axis of the tomb is aligned to the north and south and is perpendicular to the ridge of the hill. The coffin was placed underground. The artifacts recovered from the tomb include a so-called Korean-style bronze dagger, a bronze spearhead, a fine-grained bronze mirror, some tubular jade, a triangular stone arrowhead, and pieces of black burnished pottery. The Korean-style bronze dagger from Baekam-ri shows stylistic features that postdate the appearance of iron tools. Furthermore, the fine-grained mirror is in the transitional stage from the three-decoration-zone style to the two-decoration-zone style. Accordingly, despite the absence of iron tools in the Baekamri artifact assemblage, this site is dated to about second century B.C., when iron tools appeared in the Korean-style bronze dagger culture.

      • 우리나라 稻作農耕의 起源과 稻作類型

        조현종 한국농업사학회 2004 농업사연구 Vol.3 No.2

        우리나라에서 확인되고 있는 炭化米와 紉痕資料 등 벼 자료는 신석기시대 중기이전단계까지 소급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고고학적인 유적에서 확인되는 稻作農耕資料는 아직까지 靑銅器時代를 넘어서지 못한다. 最初의 도작농경은 중국 楊子江流域에서 야생벼를 재배하면서 시작되는데, 農耕地와 耕作道具, 그리고 재배와 수확에 이르는 기술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水稻作體系로 완성되며 이 水稻作이 중국의 산동반도 일대를 거쳐 우리나라에 受容된다. 우리나라 靑銅器時代의 대형 合刃石斧와 有溝石斧·石鑿 등의 木工具의 등장과 石刀와 같은 收穫具의 증가현상은 稻作農耕의 수용과 관련된 耕地確保 및 기술 발달의 근거라 하겠다. 初期稻作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자료는 蔚山 玉峴遺蹟과 論山 麻田里遺蹟 등지에서 확인되고 있는 청동기새대의 水田이며, 이들은 곡간 沖積地나 구릉하부의 低地形에 선택적으로 조성된 小區劃水田으로 존재하는데, 水路와 洑, 그리고 用水의 유입과 배수를 위한 시설이 완비된 발달된 灌漑水田의 형태를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