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周易象義占法』에 나타난 白雲 沈大允 易學의 특색―새로운 占法과 爻變說 및 先後天說을 중심으로―

        조희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9 民族文化硏究 Vol.82 No.-

        In this article, I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eas shown in Shim DaeYoon (沈大允)’s Juyeogsanguijeombeob (周易象義占法). First, it is a new invention of the law of Jeomseo (占筮). When ‘hyo (爻)’ is unchanged or one ‘hyo’ changed, it is the same as Jeomseo (占筮) of Zhūzǐ (朱熹), but when two or more changed, it is interpreted through the number 4 and 8. Second, it’s the theory of Hyobyeon (爻變說). It is said that the ‘hyo (爻)’ is the change, as Yangyhyo (陽爻, Nooyang (老陽) 9) is going to change Eumhyo (陰爻), Eumhyo (陰爻, noeum (老陰) 6) is going to change Yangyhyo (陽爻), and judge the Transformation-byeonhyo (變爻). Jeong Yakyong (丁若鏞) has already become known for his hyobyeon (爻變說). However, it is interesting for Joseon dynasty I-ching history that his previous generation, Shin hudam (愼後聃), and the later generation Shim Daeyoon (沈大允), independently claimed the same effect in different time and space. Third, it is the theory of Seonhucheon (先後天說). He places an after-the-post on every place where he develops his theory (Seonhucheon (先後天說)). He uses this theory as a classification criterion to distinguish his theoretical analysis framework or logic. At the same time, he eventually converges all theories here, that’s ‘Seonhucheon (先後天)’. 필자는 조선후기 사상사의 돌출적 존재라 할 수 있는 백운 심대윤의 『周易象義占法』 에 나타난 역학사상의 특색을 셋으로 간추려 보았다. 첫째, 새로운 占法 발명이다. 그가 점법을 발명한 직접적인 계기는 『左傳⋅襄公 9年』(B.C. 564) ‘艮之八’ 때문이다. 그의 점법은 효불변, 한 효변인 경우는 朱子占法과 같으나 두 효 이상 변할 경우에는 책수 ‘4’와 나머지 ‘8’이라는 수를 개입시켜 점단한다. 변한 효의 9, 6의 수를 합산하고4로 빼서 남는 수가 7이면 본괘 괘사, 8이면 지괘 괘사로 점치고, 5, 6이면 처음부터다시 계산하여[周而復始] 8에 그치는 효로 점친다. 둘째, 효변설[효변점]이다. 효변설이란 효가 변하는 것으로 양효[노양9]는 음효로, 음효[노음6]는 양효로 변하는 것인데 변효를 중심으로 점단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건괘 초구는 초효가 변하여 ‘乾之姤’ 가 된다는 것이다. 효변설에 대해서는 다산을 통해 이미 널리 알려졌다. 그러나 다산의 앞 세대인 신후담과 후세대인 백운이 서로 다른 시공간에서 독자적으로 동일한 효변설을 주장한 것은 조선역학사에 흥미로운 일이다. 셋째, 선후천설이다. 그는 자신의역리를 전개하는 길목마다 선후천을 배치한다. 선후천을 자신의 이론 분석 틀이나 논리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삼는 동시에 종국에는 모든 역리를 선후천으로 수렴시킨다. 백운은 선후천으로 태극음양오행을 논하고, 氣數와 象理를 분석하며, 「선천원도」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고, 64괘를 나름대로 분석한다. 아울러 선후천과 연결하여 중용과 충서를 말하고 심성정을 선후천의 관점에서 논하며 나아가 「하도」와 「낙서」까지도 선후천의 영역으로 귀결시킨다. 그러나 그의 태극관과 음양의 기론에 대해서는 논리의 미흡함이 있다.

      • KCI등재

        2007 개정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교과서 생명 영역 과학 용어 조사

        조희영,신영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교육논총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07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3, 4학년 과학교과서의 생명 영역에 사용된 과학 용어의 어원을 조사하고, 학생들이 이들 용어에 대한 이해 정도와 어려움 정도를 파악하는데 있다. 조사 결과 3학년용 과학교과서에는 과학 용어가 총 47개, 4학년용의 경우 62개가 수록되어 있었다. 각 교과서의 어원 분석결과 3학년은 외래어와 혼합 형태, 우리말, 한자어로 갈수록 개수가 증가하 였다. 4학년의 경우 외래어, 혼합 형태, 우리말, 한자어로 갈수록 개수가 증가하였다. 3학년과 4학 년 모두 한자어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이 우리말 순으로 나타났다. 과학 용어의 빈도 분석 결과 3, 4학년 과학 교과서에서 모두 5회 미만으로 등장하는 단어가 3학년용에 는 31개, 4학년용에는 41개 나타났다. 3학년용에서 24회 이상의 출현 빈도를 나타내는 단어는 동 물, 한살이, 관찰, 알, 애벌레 등 총 5개였고, 4학년용에서는 27회 이상의 빈도를 나타내는 단어는 식물, 씨앗, 관찰, 물, 줄기, 잎, 열매, 꽃으로 총 8개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과학 용어에 대해 느끼 는 난이도 조사 결과 3학년은 60.8%의 학생이, 4학년은 47.6%의 학생들이 과학 용어가 쉽다고 응 답했다. 하지만 과학 용어에 대한 이해도 조사 결과에서는 과학 용어를 정확히 알고 있는 학생의 비율이 3학년의 경우 30.6%, 4학년은 31.9%의 비율로 나타났다.

      • KCI등재

        송대 역학과 율도량형론(律度量衡論)의 맞물림 - 채원정의 『율려신서』를 중심으로 -

        조희영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6 철학논집 Vol.44 No.-

        상수역학이 포섭할 수 있는 다양한 영역 가운데 律呂論이 있다. 상수역학의 입장에서 저술된 대표적 율려론이 송대 채원정이 지은 『율려신서』이다. 이 책에는 음악의 핵심이론과 풍부한 도량형이론이 역학 특히 송대 역학의 바탕 위에 전개된 다. 이 책에 대한 현대적 연구는 전통음악 분야에서 활발하고 도량형 분야에서도 이루어졌으나 역학계에서는 거의 없었다. 본 글은 이 책을 역학적 관점 특히 송역 의 관점에서 악율론과 도량형론으로 나누어 살핀 것이다. 악율론과 역학이 맞물린 지점은 세 부분이다. 첫째, ?계사전?의 天地之數 9로 황종율 관 9촌을 해석하는 것이다. 둘째, ?설괘전?의 삼천양지론을 근간으로 한 삼분손익 법이다. 셋째, 『율려신서』에 나타난 태극음양론이다. 도량형론과 역학과 맞물린 지점은 두 곳이다. 하나는 도량형 原器(황종율관)를 구하 는 법에서 후기법을 선택한다. 후기법은 성기지원을 구하는 방법으로 여기에 『주역 』의 복괘와 구괘가 상징하는 음양소장의 원리가 있다. 또 하나는 황종관의 위경지 수(圍徑之數) 산출에 있어서다. 채원정은 원주율을 355/113을 적용하지 않고 3을 적용한다. 그 이유는 황종은 삼천양지를 기본으로 한다는 굳은 믿음 때문이었다. 그의 주장 중에서 후기법이나 원주율 3을 적용한 점은 후학들의 비판 대상이다. 그 러나 그는 다른 학자들이 이루지 못했던 율려론을 수립했다.

      • 기술지식의 속성이 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

        조희영,황세욱 동국대학교 경제경영연구원 1999 經濟經營硏究 Vol.23 No.1

        This thesis investigates whether and how characteristics of technological knowledge explain variation in the persistence of a firm's competitive advantages. In order to test our hypotheses, I developed an instrument to measure three attributes of technological knowledge complexity. tacitness, and specificity. I found that the complexity and tacitness of technological knowledge prolongs performance advantages from new products; however, specificity is associated with less persistence. By contrast, firms with more tacit knowledge find it difficult to sustain advantages from existing products, while specificity is associated with greater persistence. Complexity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a firm's ability to sustain advantages from existing product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strategic management literature by providing evidence on the validity of a core, but largely untested proposition of resource-based theory: that inimitable resources, rather than market entry barriers, often explain the persistence of superior financial performance. Our findings both support and qualify the resource-based logic. In addition, we begin to resolve a tension that exists between resource-based theory and research on dynamic capabilities and product development. Whereas resource-based theory associates complexity, tacitness, and specificity with imitation barriers, the dynamic capabilities literature suggests that the opposite attributes enable firms to sustain advantages by learning faster than competitors. Our study suggests that both arguments apply, but under different conditions. Finally, resource-based theory highlights knowledge as a particularly attractive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

      • KCI등재

        김석문의 『易學二十四圖解』에 나타난 새로운 占筮法 연구

        조희영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0 한국문화 Vol.0 No.91

        Kim Seok-mun was a scholar who established a new theory of astronomy during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creative fusion of traditional studies and the latest Western astronomy. Not only did he rewrite astronomy by writing this book, but he also pioneered I-ching-fortune-telling. This novelty about astronomy and I-ching-fortune-telling is the result of his ‘academic boldness’. This article analyzes the new fortune-telling method invented by Kim Seok-moon. His fortune-telling method starts with his rather unconventional claim of “a number of Dae-yeon(大衍數) 100,” denying the “a number of Dae-yeon 50,” which has been a popular theory for thousands of years. It is said that the use of 49 sicho(蓍草) from 100 sicho(蓍草) is the law of hucheonsicho(後天蓍草法:current), and the use of 48 sicho(蓍草) is called the law of seoncheonsicho(先天蓍草法). The method of using all 100 sicho(蓍草) was called the law of Dae-yeon(大衍法). The process of divination of law of Dae-yeon(大衍法)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redecessor. As for the current method, the three-sided(3變) 1-hyo(1爻) and 18-sided(18變) six-hyo(6爻) are performed, but the law of Dae-yeon(大衍法) goes through two- sided(2變) 1-hyo(爻) and 12-sided(12變) to make 6-hyo(6爻). It is said that the law of Dae-yeon(大衍法) is applied to small branches.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the divination(占筮法) of Sasang(四象) is the most uneven, and the congenital and conjunctive methods are equal. The probability of each the divination(占筮法) of Sasang(四象)'s occurrence of thought is the most uneven in the law of hucheonsicho(後天蓍草法:current), and the law of seoncheonsicho(先天蓍草法) and the law of Dae-yeon(大衍法) are equal. This is a game rule issue. Reasonable and balanced, he needed a new law of divination(占筮法). Overall, Kim Seok-moon’s method of divination is a new method of divination that adds “objective rationality” made by his “balance sense” and “sharpness” beyond the times. Kim Seok-moon wanted to develop a fortune-telling method with a sense of mission and renew the Yook Hyo-jeom(六爻占) of Napgap(納甲), which was popular at the time. You can find traces of Song Dynasty’s Xiàng shù yì xué(宋代 象數易) in the process of creating Kim Seok-mun’s fortune-telling method.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