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본어 분류사에 대한 서설적 접근

        우형식 부산 외국어 대학교 2002 外大論叢 Vol.25-2 No.-

        韓國語と同樣に, 日本語にも數分類辭が存在する. 傳統的な日本語文法では助動詞と言う. 日本語の數分類辭は數詞の後で名詞の數量單位を表す接尾語で, 名詞指示物を意味の範??によって部類化する機能もある. 形熊的に日本語數分類辭は語彙の形式だが, 韓國語と比較すると膠着性が强い特徵がある. また, 語源的には固有語と漢字語が混在して數詞と統合する時, 制約になることもある. 意味的に日本語數分類辭の部類化の樣相は他の言語と同じように世界に對する人間の普遍的な認知領域によって人間性, 動物性, 植物性, 形象性, 機能性などに分けられる. 人間性の數分類辭は種によって分化するのが特徵である. また, 大型の動物を數える '頭(とう)'と小型の動物を數える '匹(ひき)'のように大きさも一つの基準として使い分けることが多い. 鳥類は '羽(わ)', 魚類は '尾(び)'を使う. 植物性の數分類辭は大部分 '株(かぶ')'を使う. 刑象性の數分類辭は名詞指示物の外形的な形によって分けられる. 日本語の場合一次元的なものは'本(本), 條(じょう), 筋(すじ), 棹(さお)' などに, 二次元的なものは '枚(まい), 面(めん), 張(はり)' などが, 三次元的なものは '粒(つぶ), 玉(たま), 顆(か), 丁(じょう)' などに使い分けられる. 特に'本'は範疇一連鎖的な擴張によって對應する名詞の範??が相當廣いという特徵がある. そして, 三次元形象性數分類辭の中には殘余的分類辭という特徵があると解析される '個(こ)'が特異な用法である. 機械性のは '台(だい), ??(そう), 隻(せき), 機(き)'などで, '台'の場合乘物を含めた大部分の機械類に使われる. その他, 建築物や, 衣類, 書籍, 藝術品などの部類によって違い形態が存在する. 日本語數分の中で '-つ'と '個(こ)' は普遍性の殘余的にも分けられる. これらは殘余的な性格は共通するが數量辭の統合と對象との呼應關係の用法は差がある. 分類辭は樣樣な解析ができる領域で, 該當言語に對した直觀が要求される分野だといえる. 本稿では制限的な範圍と接近方法で日本語の數分類辭の體系と用法を調べた. 本稿は日本語の數分類辭に接近する基礎的な資料として意義がある. 深度ある發見の爲にはもっと多い論議が必要だと考えられる.

      • 한국어 인간성 분류사의 대조언어학적 검토

        우형식 釜山外國語大學校 比較文化硏究所 2002 比較文化硏究 Vol.13 No.-

        자연 언어가 인간의 세계에 대한 인식을 나타낸다고 할 때 이것을 역으로 하면 인간의 세 계에 대한 인식이 언어에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인간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세계를 총체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변별되는 특성에 따라 구분지어 이해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하여 언어 연구에서 제기되는 기본적인 의문 중 하나는 지각된 세계가 언어에 어떻게 표상되고 언어를 통하여 표현되는가 하는 점이다. 이것은 언어가 어떻게 지각 된 세계를 지시하는가 하는 점과 관련된다. 이러한 연구와 관련되는 언어 요소 중 대표적인 것으로 분류사(cㅣassifier)가 있다. 분류사는 인간의 세계 인식의 태도가 언어에 표상되는 것으 로, 명사로 표현되는 사물을 부류화하는 언어적 기제인 것이다. 분류사는 언어로 표현되는 명사의 문법적 · 의미적 범주를 구분하는 언어 기제의 하나로서, 명사를 부류화한다는 점에서 인구어에서 두드러지는 문법범주인 성 (gender)과 유사하다. 성 은 보통 남성 · 여성 또는 남성 · 여성 · 중성의 2-3개의 범주로 구분되며, 통사적으로는 체언 수식 구성이나 주술 관계에서 일치가 요구된다. 이에 비해서 분류사가 존재하는 언어는 성이 발달되어 있지 않은 대신 분류사가 성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분류사의 부류화 체계는 성에 비해 매우 복잡하다는 데 특징이 있다. 분류사는 세계 사물에 대한 인간의 부류화와 관련된다. 부류화는 사물과 사건을 비슷하다 고 판단되는 것끼리 한데 묶는 정신 활동이다. 즉, 부류화는 인간이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세 계를 의미있는 영역으로 분절하여 파악하는 책략이며, 각각의 부류는 언어적으로 표현되어 나타나는 분절 단위를 지칭한다. 이러한 부류화는 범주(category) 구분에서와 같이 주로 개인 의 개별적인 경험을 일반적인 개념으로 추상화하는 과정으로서, 동질화(identification)와 이질 화( differentiation) 등의 심리 작용으로 이루어진다. 분류사에 의한 부류화는 호응 관계를 이루는 명사를 중심으로 살피면, 크게 개체와 집합체 로 구분된다.2) 특히 개체의 분류사는 의미자질과 크게 관련되어, 우선 생물과 무생물로 구분 된다. 그리고 생물은 유정성에 따라 유정물과 무정물(식물)로 나뉘며, 유정물은 다시 인간성 에 따라 인간과 비인간(동물)으로 구분된다. 무생물은 사물의 시각적 형상성 여부에 따라 형 상물과 비형상물로 구분되는데, 전자는 사물의 모양(shape) , 후자는 기능(function) 이 주요한 분류 자질이 된다(우형식, 2001). 이 글은 이와 같이 변별되는 부류 중에서 인간성 부류와 관련되는 분류사를 대상으로 하여, 언어에서 표상되는 인간 부류의 특정과 하위 구분에 대해 살피기로 한다. 특히 여기서는 한국 어와 일본어, 중국어, 미얀마어에서 나타나는 이른바 수 분류사를 대상으로 하여 상호 대조적 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취하기로 한다.

      • 수 분류사의 형태 실현과 부류화 기능

        우형식 부산 외국어 대학교 2004 外大論叢 Vol.28 No.-

        本論文では, 韓國語をはじめ周邊言語から見られる數分類辭の形態的實現と部類化の樣相 について槪括的に考察してみた. 數分類辭が數量の單位を示すという傳統的な機能から外れ, 名詞が示す物を部類化する機能を考察しつつ, このような機能が數分類辭の本質的な性格に附合するものと理解した. 數分類辭は, 孤立語では自立的な語彙に實現し, 語彙項目の集合が非常に開放的という特徵がある. そこで, 相互選擇關係のある名詞と同じ形態が數分類辭になる. すなわち反複形にも現われる. 數分類辭は長期間にわたり文法化の持績した言語や一部の膠着語では, 接辭または接語と融合の形態で存在することもある. 一般的に接詞的機數分類辭は自立的形態に比べ名詞との選擇關係が比較的に緊密する, あるいは名詞が示している物を事物性や有情性のような抽象的資質に特徵化する點が際立っている. したがって接辭的數分類辭は文法形態と類似している機熊を持つ. 數分類辭は數量詞と共に數量詞句を構成, 名詞の接數量を限定する. これらの構成形式はQ-CL-N形-とN-Q-CL形が代表的である. 前者は中國語とべトナかム語, 後者はビルマ語とタイ語に見られ, 韓國語と日本語は2つの構成がすべて可能である. 數分類辭は意味的共集にしたがって名詞が示す物を部類化する特徵が際立っている形態である.そこで部類化は認知心理, 文化, 社會など言語外的な要因と形態, 統辭, 意味, 談話など言語內的な要因と關聯する. 數分類辭と名詞は意味的選擇關係が成立する. そこで數分類辭は名詞が示す實體に對して暗默的に知覺することができる. さらに, 名詞が示す實體の屬性も表ず. つまり數分類辭は, ク"ル-プ化して意味領域を構成すると見做すことができる. このように數分類辭によって構成される意味領域は分類辭言語の意味構造を表している. 個別數分類辭の部類化資質はそれと共起する名詞が示す物を合わせて, これらから辨別的な特徵を導出する方法に解釋される. しかし, ある名詞が特定の數分類辭に對應する爲にはその名詞がもっているある屬性がどれほど少なく, 又はどれほど多いかということについては常に意見が一致することではないという限界がある. さらに, 用法において數分類辭と對應する名詞との關係は同一文化圈, または同一言語では基本的に同質的だと言える. しかし配分的には名詞が示す物の狀態や社會的地位, 話者との關聯程度等によって流動的な場合もあり, 指示物の變化や新しい指示物の出現, 又は指示物に對する人間關係の變化等によって可變的な場合もある.

      • 국어 문법 교육의 방향 모색 : 현행 제6차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우형식 釜山 外國語 大學校 1999 外大論叢 Vol.19 No.4

        Grammar education is formed of investigation processes of the grammartical rules, not deliberation of knowledge. Through the investigation activities grammar education developes the student`s thinking power.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grammar education is composed of five levels as following. setting up the → elementary → investigation learning → development learning → evaluation We think that the most important level is investigation learning.

      • ‘ 고 있 ’과 ‘ 어 있 ’의 상적 특성

        우형식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5 牛岩斯黎 Vol.5 No.-

        국어의 시상형태에 대한 논의가 여러 방면에서 이루어지면서, 복합 형태의 상 표시 기능에 관한 논의도 상당히 진전되어 왔다. 이 글은 그 중에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 ‘-고 있-’과 ‘-어 있-’에 대해 살펴 본 것이다. 이 글은 합성성의 원리에 따라 복합 형태를 구성 요소로 형태 분석 을 한 후에 각각의 요소의 의미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따 라서 ‘-고 있-’과 ‘-어 있-’을 어미와 하나의 어휘로 통합된 복합 형태 로 본다. 그리고 어미 ‘-고’, ‘-어’의 의미와 어휘 ‘있-’의 의미 사이 의 공통점을 추출하여, 공통된 의미 사이의 공기에 의한 ‘-고 있-’과 ‘-어 있-’의 시상적 의미 범주를 규정하고, 그 공기 제약에 대해 살 펴 보았다. ‘-고’는 완료(상태)의 지속과 동작의 진행을, ‘-어’는 완료 지속을 뜻하고 ‘있-’은 존재라는 상위 개념에서 ‘지속→진행과 완료(상태)’의 세분화를 상정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어미의 의미와 ‘있 -’의 의미의 합성에 의해 ‘-고 있-’과 ‘-어 있-’이 상적 특성이 이 루어지는 것을 분석해 보았다. 더 자세한 논의는 어미 ‘-고’와 ‘-어’의 의미 분석이 더욱 진전될 때 가능할 것이다. 또한 ‘있-’의 의미도 단순히 어떠한 것이라고 단 일화시키는 것도 문제가 있음은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이 글은 거칠기는 하지만, 지금의 수준에서 다듬어 보고자 한 것이다.

      • 국어 받침 표기 규정의 변천

        우형식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3 牛岩斯黎 Vol.3 No.-

        이 글은 20세기 들어 국어 표기법 규정에 관한 변천 과정을 정리하는 작업의 일환으로서, 우선 받침 표기에 관한 제 규정과 견해들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 따라서 다음에 분석되는 여러 안(案)들은 20세기 들어 제시된 것들로 한정될 것이다. 또한 여기서는 어떤 새로운 제안을 삼가고 국어학사적인 입장에서 정리하는 데 그칠 것이다. 받침 표기는 국어 표기법에서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이다. 그것은 받침의 표기를 원형을 밝혀 쓸 것인가 아니면 소리나는 대로 쓸 것인가에 따라 국어표기법이 형태주의와 음소주의의 두 방안으로 갈리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국어에서의 이른바 이어적기(連綴)와 끊어적기(分綴)의 표기 방식도 받침의 표기를 어떻게 할 것인가와 관련되는 문제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다음에서 訓民正音 창제 이후로부터의 국어 받침 표기의 변천상을 간략히 살피고, 20세기 들어 나타난 여러 제안들을 제시된 받침의 종류와 수(數)를 중심으로 하여 정리해 보기로 한다. 그리고 간략하게나마 현행 받침표기 규청과 관련되는 문제를 다루게 될 것이다.

      • KCI등재

        Cytosine Arabinoside가 흰쥐 下顎頭軟骨의 成長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禹亨植 대한구강해부학회 1977 대한구강해부학회지 Vol.1 No.1

        A total of 40 male rats weighing 30gm each were used throughout these experiments. Experimental animals were given an intramuscular injection of cytisine arabinoside 25mg per kg of body weight. The animals were sacrificed 3,5,8,12, and 18 days after injection of the cytosine arabinoside. Mandibular condylar cartilages were removed under ether anesthesia prom rats. For routine light microscopy, the condyles were fixed in 10 per cent formalin for 3 days, decalcified in 10 percent versene for two weeks, embedded in parlodion and paraplast, and stained with H & E and toluidine blue O. The present study was initia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cytosine arabinoside on the mandibular condylar cartilage of rat by histometric measurem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ffects of cytosine arabinoside on the thickness of mandibular condylar cartilage were most pronounced on day 3 followed by a gradual recovery thereafter. 2. In the histological findings of the mandibular condylar cartilage of rat after injection of cytosine arabinoside for 3 days, proliferative zone showed lack the normal basophilia and decreased mitotic activity. There was a significantly decreased number of cells and many of cells were irregularly formed. 3. The result is interpreted to indicate that nucleic acid and mitotic activity in mandibular condylar cartilage are immediately suppressed by cytosine, arabinoside and that such suppression might lead to a later disturbance among these growing condylar cartil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