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泰安地域 巫俗文化의 特徵 硏究

        신상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1 선도문화 Vol.10 No.-

        태안지역은 충남의 북서쪽에 위치한 농어촌으로, 예로부터 무속이성행했고, 무속의 원형(原型, prototype)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2010년 10월 25일 현재 태안지역에는 약 98명의 무속인들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들 중 설문에 응한 67명의 성별 분포를 보면, 여자 무속인이 남자 무속인보다 7:3 비율로 훨씬 더 많은데, 그 이유는 여자 무속인의배우자 중에 백수건달(白手乾達)이 많고, 이미 사별(死別)한 사람이*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과 박사과정386 仙道文化 제 10 권많아 여자 무속인이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데, 여자 무속인이무업(巫業) 외에 마땅하게 취업할 만한 직장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때문이다. 그리고 그들은 대부분 앉은굿(sitting exorcism)을 하고 있는데, 내부의 자율적 변화기제를 통해 분회별로 집단적으로 거주하면서 2인 이상 짝패를 이루며 무업(巫業)을 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그들은 대부분 굿만 해가지고는 생계유지가 어려워 굿도 하고 점(占)도치며, 때로는 주술(呪術, magic)과 금기(禁忌, taboo)도 사용하고 있다. 태안지역의 대부분의 무속인들은 빈농(貧農) 출신으로 학력(學歷)이 매우 낮아, 무속인 67명 중 무학이 42명으로 무려 61.8%를 차지하고 있고, 초등학교 졸업자가 9명으로 13.2%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그들은 안목(眼目)이 좁고, 역사의식(歷史意識)이 결여되어 있으며,경을 제대로 잘 읽지 못한다. 그리고 그들은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시대, 군사독재시대를 거치면서 음사(淫事) 또는 미신(迷信, superstition)이라 하여 온갖 탄압을 많이 받아 아직도 천민의식이 강해 신분 노출을 꺼리는 경향이있다. 그런데, 최근 무속인들의 고령화 현상으로 2010년 10월 25일 현재태안지역의 무속인 67명 중 61세 이상의 고령자는 57명으로 무려85%를 차지하고 있다. 게다가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에서 농어촌이황폐화되고, 40대 이하의 무속인은 거의 찾아볼 수가 없어, 앞으로머지않아 태안지역 무속의 맥이 끊어질 가능성이 아주 높은 편이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먼저 태안군이 무속인들의 인적 사항과 무속인단체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경제적 지원을 더욱 더 강화하는 것은물론 태안 국민들을 대상으로 사회교육을 통해 무속의 중요성과 순기능을 인식시켜 무속인에 대한 편견(偏見, bias)을 버리도록 사회적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태안군청에서는 충청남도 중요무형문화재 제24호인 장세일泰安地域 巫俗文化의 特徵 硏究ㆍ辛相龜 387(張世壹, 72세) 법사를 중심으로 설위설경의 전수교육과 관련 사료의보존이 잘 될 수 있도록 어서 빨리 관련 예산을 확보하여 태안읍내에 연건평 200평 정도의 설위설경보존회관을 건립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Taean is a farming and fishing community which is located in the northwest of Chungnam province. Nowadays the prototype of shaman is relatively well preserved in Taean. I am estimating that about 98 shamans is residing within Taean area as of October 25, 2010. In terms of gender, 67 shamans of those are female shamans. Female shamans is more than male shaman with 7:03 ratio. Most of woman shamans is engaging in shamanic business for the livelihoods of families. Most of them takes place sitting exorcism not doing standing exorcism. And two or more shamans are living with collective group at Dongmunri and Nammunri of Taean Town. Most of the shamans in Taean have a low level of education. Really 42member of 67 shamans have educational attainment below elementary school. So the shamans who graduated school below elementary school accounted for 61.8%. Therefore, they have narrow perspective and deficient 泰安地域 巫俗文化의 特徵 硏究ㆍ辛相龜 435historical sense. So most of them can not understand and read well gyeongmun(經文). Those who govern in Joseon dynasty and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military dictatorships of the 1960s and 1970s regard shamanism as immoral thing(淫事) or superstitions. So they repressed shamans. And shamans tend to be reluctant to expose their identity.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s shaman in Taean is demographically aging rapidly. So shamans over 61 years old account for 85% with 57 of 67 shamans as of October 19, 2010. And shamans below 40 years old almost impossible to find in Taean. Moreover, the farming and fishing community which is the repositorium of traditional culture is being devastated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since 1960 years. So the veins of shamanism is gradually disapeared on a nation-wide scale as well as in Taean. In case of Taean, the society for preserving SulwiSulkyung(設位說經保存會) is composed of 24 members as of August 21, 2010. Only 12members of them take part positively in regular meeting. By the way, the Taean SulwiSulkyung is handed down mainly by the 5shamans such as Jeong hae nam(丁海南)ㆍKim jong il(金鍾一)ㆍCho Bu Won(趙富元) beopsa, Kim Yeon hee(金蓮姬)ㆍHwang ok sun(黃玉淳)bosal. Specially Jang Se il(張世壹) Beopsa has the most wonderful skill of making paper shaman gear by embossed carving techniqe(陽刻技法) in Korea. Really he can make 50 kinds of paper shaman gears, 100 kinds of amulets(符籍). And he can chant 30 kinds of shaman scriptures(巫經) such as chuksagyeongmun(逐邪經文), chugwonmun(祝願文), gasingyeongmun (家神經文), gasinpuri(家神푸리), haewonpuri(解寃푸리), seongjupuri(성주푸리) etc. So he was designated with the number 24th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by chungcheongnamdo on July 25, 1998. Jang Se il(張世壹) Beopsa is teaching his disciples systematically how to make paper shaman gear in assembly hall for preserving SulwiSulkyung. However, only Hwang ok sun(黃玉淳) bosal is taking part in Sulwi-Sulkyung lecture opened Jang Se il(張世壹) Beopsa almost every day. So nowadays Taean SulwiSulkyung is not passed down well to his disciples. For that reason, unfortunately paper shaman gear is disappearing gradually. Therefore, I think Taeangun has to construct the assembly hall for preserving SulwiSulkyung more broader than 200pyeong(坪) which 30shamans can teach and learn how to make paper shaman gear in the near future. Especially because paper shaman gear is to easy to decay, the spoil prevention facilities must be installed in the assembly hall for preserving SulwiSulkyung. And the authorities have to further strengthen economic support to creative and artistic shamans in Taean. Or the authorities must enforce social education to eliminate a bias against shamans. On the other hand the organizations for shamans must create cooperative atmosphere among shamans in Taean. Moreover I think Taeangun has to develope Sulw...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국군 민사심리전의 형성과 발전 - 1950∼60년대를 중심으로 -

        신상구 육군군사연구소 2021 군사연구 Vol.- No.151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warfare of the Korean military through the experience of war, and to look at the process of changing the concept of psychological warfare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he paper tried to expand the field of study of psychological warfare, which has been understood in terms of military operations, into the historical domain. To this end, this paper approached three aspects. First, in the 1950s, the Korean military experienced psychological warfare with the US military through the Korean War, and made a lot of effort to reinforce psychological warfare capabilities in accordance with the post-war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al changes. For this, the method was distributing leaflets, broadcasting a pacification broadcast, and using loudspeakers. In the late 1950s, in line with the changes in US foreign policy and North Korea's strategy toward South Korea, the ROK military re-recognized the importance of a psychological warfare, and reformed an organization and research on psychological warfare doctrine to strengthen a psychological warfare capabilities. Second, in the early 1960s, the Korean military accepted US military doctrine of civil affairs and psychological warfare through a studying abroad and a military dispatch. In the 1960s, the Kennedy government advocated the modernization theory to prevent the spread of communism in the third world, and the US military established the doctrine of civil affairs and psychological warfare based on the modernization theory. The military government, which emerged as a state of anti-communism, promoted the dispatch of troops to Vietnam to solve the problem of reducing Korean troops, as well as dispatching military missions and inspection teams to Vietnam, and studying abroad in the United States. Through this, the Korean military accepted the doctrine of civil affairs and psychological warfare. Third, the ROK military learned how to conduct civil affairs and psychological warfare through dispatch of non-combat troops, and established its own civil affairs and psychological warfare policy through dispatch of combat troops. The ROK military dispatched a construction support group to support Vietnam's reconstruction projects, and their activities were an extension of the reconstruction projects that the ROK forces undertook in Korea at the time. Founded after the dispatch of combat troops, the Korean Military Command in Juwol established a policy for conducting ccivil affairs and psychological warfare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military through anti-guerilla warfare focused on civil affairs and psychological warfare. 본 논문은 한국군이 전쟁의 경험을 통해 심리전을 이해하고, 심리전의 수행개념이변화하는 과정을 역사적인 관점에서 조망하고자 했다. 이는 그동안 군사작전의 측면에서 이해되었던 민사심리전을 역사적 영역으로 연구의 시야를 확장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세 가지 측면에서 접근했다. 첫째, 1950년대 한국군은 6·25 전쟁을 통해 미군 심리전을 경험했고, 전후 국내· 외 정세변화에 따라 심리전 능력 강화를 위해 많이 노력했다. 한국군이 전쟁을 통해경험한 심리전의 형태는 대적·대내·선무 심리전이었고, 방법은 전단 살포, 선무방송, 확성기 사용이었다. 1950년대 말 미국의 대외정책과 북한의 대남전략 변화에 따라, 한국군은 심리전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심리전 강화를 위해 조직의 개편, 심리전 교리 연구를 추진했다. 둘째, 1960년대 초기 한국군은 도미유학과 군사파견을 통해 미군 민사심리전 교리를 수용했다. 1960년대 케네디 정부는 제3세계 내 공산주의 확산방지를 위해 근대화론을 주창했고, 미군은 근대화론에 기인한 민사심리전 교리를 정립했다. 반공을 국시로 등장한 군사정부는 한국군 감축문제를 해결하고자 베트남 파병을 추진하는 동시에베트남 군사사절단과 시찰단 파견, 도미 유학 등을 추진했다. 이를 통해 한국군은 민사심리전 교리를 수용했다. 셋째, 한국군은 비전투부대 파병을 통해 민사심리전 수행방법을 학습했고, 전투부대파병을 통해 독자적인 민사심리전 방침을 정립했다. 한국군은 베트남 재건사업 지원을위해 건설지원단을 파병했는데, 이들의 활동은 당시 한국군이 국내에서 수행했던 재건사업의 연장이었다. 전투부대 파병 이후 창설된 주월한국군사령부는 민사심리전 중심의 대게릴라전을 통해, 한국군의 특성에 맞는 민사심리전 수행 방침을 정립했다.

      • KCI등재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과 미군 유격교리의 수용 과정

        신상구 육군군사연구소 2020 군사연구 Vol.- No.149

        This thesis is to confirm the background of how the ranger training became the specialty of ROK(Republic of Korea) Military by analysing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US ranger doctrine in the 1960s. To this end, it tried to navigate the concept that the ROK Military deployment to Vietnam is the main factor of making ranger training in South Korea general. It opens new horizon with regard to analysing ranger training in a historical perspective unlike the training has been only analyzed in a military spectrum. This research hereby has been dealt with mainly 3 perspectives. First, the ROK Military began introducing the US ranger doctrine by sending its solders to the US to study the US forces' doctrine after experiencing ranger battles during the Korean War in the 1950s. The time in 1950s, however, was the period when the US was still developing its own ranger warfare as well, so was there not much difference in their doctrines when the Korean soldiers arrived at the US compared to the Korean War period. At the end of the 1950s, the ROK forces faced a sequest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US strategy of the Cold War, and the ROK and US activated the 1st Air Assault Brigade, the first of the ROK ranger unit, as they hurdled to clear the challenges induced by the sequestration. Secondly, Creating Vietnam Contingencies of the government led by the miliary in the early 1960s was a major variation on how South Korea received the ranger doctrines. The government dispatched a military envoy team twice to the US in 1962 to discuss the deployment. As a result, the ROK government recognized the necessity to activate a ranger combat unit for the deployment and pushed multiple polices to garner and retain superb rangers. The military government, however, faced lots of challenges at home and abroad and withdrew the plan to deploy forces to Vietnam. Thirdly, in the middle of the 1960s the Korean deployment to the Vietnam War causes major changes to expand the scope of ranger training in Korea. Park Jeung Hee Administration introduced a number of policies with the initiation of actual deployment to the Vietnam War. As it experienced this process, the ranger training became very general in the military and with a broader perspective the training became a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society. 본 논문은 1960년대 한국군이 미 유격교리를 수용하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유격훈련이 한국군의 특수성이 된 배경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이 유격훈련의 보편화에 중요한 요인이었음을 밝히고자 했다. 이는 그동안 군사훈련적인 측면에서만 분석했던 유격훈련을 역사적 차원에서 재해석하려는 시도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접근했다. 첫째, 1950년 유격전을 경험했던 한국군은 1950년대 6.25전쟁을 통해 유격전을 경험했던 한국군은 전후, 도미유학을 통해, 미군의 유격교리를 간접적으로 수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1950년대 미군이 유격교리를 발전시키던 시기였기 때문에, 도미유학 시기의 유격교리는 6·25전쟁 시기와 큰 차이가 없었다. 1950년대 말, 미국의 냉전전략 변화에 따라 한국은 군 감축의 문제에 봉착했고, 한-미는 이를 해결하는 과정 속에서 한국군 최초의 유격부대인 제1공수단을 창설했다. 둘째, 1960년대 초 군사정부의 베트남 파병 추진은 미 유격교리 수용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했다. 1962년 군사정부는 베트남 파병을 위해, 두 차례의 군사사절단을 베트남에 파견했다. 이를 계기로, 군사정부는 베트남 파병을 위한 유격전투단 창설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이 때문에 군사정부는 우수한 유격대원 확보를 위해 여러 가지 정책을 추진했다. 하지만 군사정부는 국내·외 다양한 문제에 봉착하여 베트남 파병계획을 보류했다. 셋째, 1960년대 중순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은 유격훈련 확대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했다. 1964년부터 베트남 파병이 본격화됨에 따라, 박정희 정부는 유격훈련의 확대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이 과정 속에서, 유격훈련은 전군의 보편성이라는 특성을 넘어, 한국사회의 보편화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 화랑도 정신의 현대적 재조명

        신상구 대구한의대학교 청소년문제연구소 2010 청소년행동연구 Vol.- No.15

        조선후기를 살았던 悔果黃f玄(1855-1910)은 1910년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 하자 자식들에게 〈遺子弟書〉와 〈總命詩> 4首2)를 남기고 자살한다 . 매천 황현이 자살하기 전 남긴 유서인 〈遺子弟뿔〉 에는 “이 나라가 선비를 키워온 지 5백년얘 나 라가 망한 날 선비 한사람도 책임을 지고 죽는 사람이 없으니 어찌 애통하지 않겠는 가. 나는 위로는 한결같은 마음의 아름다움을 저버리지 않았고, 아래로는 평생 얽던 좋은 글의 의리를 저버리지 아니하려, 길이 잠들려 하니 통쾌하지 아니한가”라고 적 고 있다 . 매천의 글에는 국가의 주권을 남의 나라에 넘긴 것을 오롯이 지켜볼 수 없 다논 ‘선비[士]’의 기개를 엿볼 수 있다. 곧 그의 죽음은 ‘조선 선비’의 자존섬이기도 하다.

      • 역사ㆍ문화도시 ‘경주’ 브랜드 강화 전략

        신상구 경주지역발전협의회 부설 경주발전연구원 2006 경주연구 Vol.15 No.-

        "Gyeongju, City of History and Culture". What do we have to do for this slogan? First of all, we have to try to enhance the value of the brand of Gyeongju. Secondly, we have to develop local cultural tourist attractions. Thirdly, we need to found a special research institution that can concentrate the scattered organizations related to culture and can enhance the local residents' minds and cultures like Korea Studies Advancement Center(KSAC) in Andong. Last but not least, it is important that we have to make the circumstance that Gyeongju can be the place for training of juveniles' mind. And it must be based on the historicity and tradition of Gyeongju and the brand of Gyeongju as tourist attraction. Especially, Gyeongju is the oldest city of history and culture that has our national eternal cultural heritage. Gyeongju is the place that Wha-rang used to train their bodies and minds. Gyeongju should make Wha-rang-do Park so that juveniles can try to their hearts' content to realize their future dreams like that a few years ago, it tries to draw Taekwondo Park. It will be the foundation that we can prepare the cardinal point of juvenile educational culture and we can overcome the blind spot of modern education.

      • KCI등재

        수운의 ‘천명(天命)’에 대한 인식과 동학사상

        신상구 동학학회 2012 동학학보 Vol.0 No.24

        This paper looks into the relation of Confucian and Donghak from the perspective of Heaven’s order. ‘Heaven’s order’ is the important issue because it is the first and the last for practicing of morality in Confucian. The word of ‘Heaven’s order’ is referred to several times while reading scriptures of Donghak. Therefore, I could find that this word, Heaven's order, is a major cause of creating Donghak. So, I scrutinized Heaven’s order and tried to connect it to ‘Seonggyeongsin’, which is the important concept of self-discipline in Suwoon’s thought. And also, I searched to connect it to the monistic world-view of Su-woon. First of all, this paper found the basis of the concept of ‘Heaven’s will’ from Joongyong. Heaven’s order is ‘Human nature[性]’, ‘Human nature[性]’ is good, being good is human’s virtue and good virtue can find heart. Therefore, Heaven, ‘Heaven, Will, Good, Virtue, Mind, and Gyeong’ are all the same. From this basis, Su-woon drew a conclusion that the cause of chaos of Choseon Dynasty was that people didn’t follow Heaven’s will. And he said that if people take a good look at and follow the Heaven’s order, the country’s chaos will end. And then, what can we do to take a good look at and follow the Heaven’s order?This answer is ‘Seonggeyeongsin,’ ‘Mooweeleehwa,’ and ‘Soosim jeonggi.’And these all concepts which Su-woon referred can be understood in the monistic world-view of ‘Cheoninhabi’. 본고는 수운의 ‘천명’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동학사상의 사유의 일단을 살핀 것이다. ‘天命’은 유학에 있어 도덕실천을 위한 출발점이면서 종착점이 되는 아주 중요한 문제다. 이렇듯 중요한 문제인 ‘天命’은 동학의 경전에서 여러 번 등장한다. 그리고 이 말[천명]이 동학창도에 중요한 계기가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심정기’는 ‘천명’에 대한 논의의 가장 구체화된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천명’에 대한 인식을 수양의 중요한 개념이 되는 ‘성경신’과 관련짓고, 또 이를 수운의 일원론적인 세계관과도 연결지어 살펴보았다. 수운은 ‘천명’의 개념을 『중용』에서 찾았다. 하지만, 수운은 이를 유학과는 다른 방식으로 인식하였다. 수운에게 있어 ‘천명’은 군자가 될 수 있는 근거였다. ‘천명’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군자는 ‘도를 밝히고 덕을 닦아 기미를 잘 아는 사람’이라고 하였고, 사람들이 ‘천도[천명]라는 이치를 떠나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 공자나 옛 선비들의 가르침이었음’을 말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천명은 시간이 흘러가는 것과 같이, 순환하는 것과 같이 자연은 변화하고 또 순환한다고 하였다. 그러면서 모든 사람은 하늘 이치인 천리를 지니고 있으며, 이 천리를 담는 그릇인 기를 바르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임을 말하였다. 수운은 이를 근거로 조선 후기의 혼란은 ‘천명을 돌아보지 않는 것’에 그 원인이 있다고 진단하였고, ‘천명을 돌아보고 천리를 따라야’ 나라의 혼란이 종식될 것이라 말한다. 그러면, 천명을 돌아보고 천리를 따르기 위해서는 어떠하여야 할까? 이에 대한 대답이 곧 ‘誠敬信’이며, ‘無爲而化’이며, ‘守心正氣’였다. 그리고 수운이 말한 이 모든 개념은 天人合一이라는 일원론적인 세계관 속에서 해석될 수 있다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