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장 데이터 부재 및 부족 상황에서의 딥러닝 기반 기계시스템의 고장진단 방법론

        전용,최영운,이상원 한국정밀공학회 2023 한국정밀공학회지 Vol.40 No.5

        Deep learning-based fault diagnosis systems for prognostics and health management of mechanical systems is an active research topic. Notably, the absence and class imbalance of fault data (insufficient fault data compared to normal data) have been shown to cause many challenges in developing fault diagnosis systems for the manufacturing fields.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case studies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s in the absence or class imbalance of fault data. Autoencoder-based anomaly detection method, which can be used when fault data is absent, was applied to diagnose faults in a robotic spot welding process. The anomaly detection threshold was set based on the reconstruction error of trained normal data and the confidence level of the distribution of normal data. The anomaly detection performance of the autoencoder was verified using non-trained normal data and three sets of fault data through the threshold. As a case study for insufficient fault data, synthetic data was generated based on cGAN and applied to diagnose fault of bearing. Using the imbalanced dataset to generate synthetic fault data and to reduce the imbalance ratio,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racy of the synthetic data generation-based 2DCNN fault diagnosis model was improved.

      • 자동차보험 치료관계비 지급제도의 공정성 제고 방안

        전용 보험연구원 2016 KIRI Weekly(주간포커스) Vol.404 No.-

        우리나라 자동차보험 대인배상Ⅰ·Ⅱ는 교통사고 부상 환자들의 치료관계비를 전액 지급하는 제도를 채택하고 있음. · 자동차사고 보험금은 사고책임(과실)을 반영하여 지급하는 것이 원칙이나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에서는 치료관계비를 사고책임과 무관하게 상해등급 한도금액까지 대인배상Ⅰ에서 지급하도록 규정함. · 또한 「자동차보험 표준약관」은 과실비율에 따라 상계한 후의 부상 보험금이 치료관계비보다 적을 경우에도 대인배상Ⅰ·Ⅱ에서 치료관계비를 전액 보상하도록 규정함. 치료관계비 전액지급제도는 교통사고 피해자를 보호한다는 취지에서 도입되었으나, 선량한 가입자의 보험료 인상 부담 및 사고책임(과실)이 적은 부상자의 보험료 부담 가중이라는 불공정성을 초래함. · 경상환자인 상해등급 13급, 14급 환자의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연평균 1인당 치료관계비 증가율은 각각 8.1%, 8.8%로 교통사고 환자 1인당 치료관계비 증가율 0.8%의 10배에 이름. · 사고책임이 큰 부상자의 과잉치료로 인한 불필요한 보험금 지급은 선량한 가입자의 보험료 인상 부담으로 작용하고, 과실이 적은 피해자가 병원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에도 차년도 보험료가 상승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음. 공정성 제고를 위해서는 사고책임이 큰 경상환자들에게 치료관계비를 지급할 때 사고책임을 일정부분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 중상해 환자들에 대해서는 현행 치료관계비 전액지급제도를 유지하고, 사고책임이 큰 경상환자들의 치료관계비가 대인배상Ⅰ에서 규정한 상해등급별 지급한도를 초과할 경우 초과 금액(대인배상Ⅱ)에 대해 사고책임을 일정 부분 반영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음. · 다른 방안으로 중과실 경상 부상자에게 지급하는 보험금 한도를 감액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음. 치료관계비 지급에 사고책임을 반영하는 것은 형평성을 제고시키고 사고 예방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경상환자들의 장기입원 및 과잉치료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보험금 지급과 보험료 인상을 억제하여 가 입자 간 형평성을 제고시킬 것으로 기대됨. · 관련 선행연구에 따르면 적절한 사고책임 부담은 사고발생 가능성과 자동차 보험료 인상 압력을 억제함.

      • KCI등재

        유방 종괴의 3차원 초음파 진단의 유용성과 제한점

        전용,정수영,양익,이경원,김홍대,신상준,정봉화,Cheon, Yong Seok,Chung, Soo Young,Yang, Ik,Lee, Kyung Won,Kim, Hong Dae,Shin, Sang Joon,Chung, Bong Wha 대한영상의학회 2001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5 No.3

        Purpose: To compare 3D ultrasound (3D-US) with 2D ultrasound (2D-US) in terms of their usefulness and limitations in the diagnosis of breast masses. Materials and Methods: We obtained 2D and 3D US images of 37 breast lesions present in 20 cases of fibroadenoma, nine of cancer, and eight of fibrocystic disease proven in a total of 26 cases [fibroadenoma (n= 13), breast cancer (n= 9), fibrocystic disease (n=4)] by histologic examination, and by clinical evaluation and clinical evaluation with sonographic imaging in eleven. When comparing 3D and 2D-US images we had no prior information regarding detection rate according to the size of lesions, whether or not internal and boundary echo patterns could be interpreted, accurate differentiation between tumorous and non-tumorous lesions, or the accuracy with which benign and malignant tumors could be differentiated. Results: For lesions of 1 cm or less in diameter the detection rate of 3D-US was lower than that of 2D-US, but for lesions over 1 cm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modalities. In fibroadenoma and breast cancer, 3D-US was more useful than 2D-US for the evaluation of both internal and boundary echo, but with fibrocystic disease and in the diagnosis of tumor/non-tumo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reast cancer, however, 3D-US more accurately determined malignancy, and in fibroadenoma, because of the pseudospicule revealed by 3D-US, this modality was less exact in determining benignancy. Conclusion: In the evaluation of internal and boundary echo in breast mass diagnosis, 3D-US was more useful than its 2D counterpart. For lesions of 1 cm or less in diameter, however, the detection rate of 3D-US was low, and since in some benign cases a pseudospicule was apparent, the possibiliy of confusion with malignancy arose. For these reasons, the usefulness of 3D-US was limited. 목적: 유방 종괴의 진단에 있어서 2차원 초음파 진단과 비교하여 3타원 초음파진단의 유용성과 제한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37예의 유방종괴에 대하여 각각 2타원 초음파(HDI-3000, ATL, U.S.A.)와 3차원 초음파(Voluson 530D, Medison, Korea)를 이용하여 영상을 얻었다. 유방종괴는 섬유선종 20예, 유방암 9예. 및 섬유낭성질환 8예 등이었으며 섬유선종 13예, 유방암 9예, 및 섬유낭 성질환 4예는 병리조직학적으로 화친되었으며 나머지 11 예는 영상소견과 임상적 소견 및 초음파 결과를 토대로 진단하였다 전향적으로 사전 정보 교환 없이 각각 2타원 및 3타원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병변의 크기에 따른 발견을, 내부에코 판별능, 경계에코 판별능. 종양과 비종양의 감별 진단에 있어서의 정확도, 및 종양에 있어서 양성과 악성진단의 감별의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크기가 1 cm 미만인 병변의 발견율은 2차원 초음파검사가 3차원 초음파검사보다 높았으나 1 cm이상의 병변은 2차원과 3차원 초음파검사간에 차이가 없었다 내부에코 판별능과 경계에코 판별능에서는 3차원 초음파검사가 2차원 초음파검사보다 섬유선종과 유방암에서는 더 유용하였으나 섬유낭성질환에서는 2차원 초음파검사와 큰 타이가 없었다 종양과 비종양의 감별진단의 정확도에서도 3차원 초음파검사와 2차원 초음파검사가 큰 타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3차원 초음파는 유방암인 경우 악성도 예측에 있어서는 우수하였고 섬유선종의 경우에는. 3차원 초음파검사가 영상재건도중 발생하는 가성돌기로 인해서 2차원 초음파검사에 비해 양성도 예측률이 낮았다. 결론: 유방 종괴의 진단에 있어서 3타원 초음파진단은 2차원 초음파진단에 비하여 내부에코 판별능 및 경계에코 판별능에 있어서 유용한 소견을 보였다. 그러나 1 cm 미만의 작은 병변의 발견율이 낮고. 양성 종양의 일부에서 가성돌기 소견이 보여서 악성 종양과 혼돈을 일으킬 수는 있는 제한점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공공기관 채용에 있어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필기시험 실행 방향성 탐색 -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직업기초능력시험을 중심으로

        전용일 ( Yong-il Jeon ),박명은 ( Myeong-eun Park ),오현성 ( Hyun-sung Oh ) KNU기업경영연구소 2021 기업경영리뷰 Vol.12 No.2

        인사관리측면에서 기업 내 우수한 인재를 길러내는 것은 우수한 인재를 선발해서 채용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채용전략은 입사 후 탁월한 직무성과를 내 회사에 높은 기여도를 낼 수 있는 사람, 즉 우수한 인적자원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는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는 것뿐만 아니라 경쟁사보다 한 발 먼저 채용결정을 확정하는 것까지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과거 대규모 공채 형식에서 최근 직무능력 중심의 NCS 기반 채용의 형태가 확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채용시스템의 변화는 조직의 자원기반관점에서 설명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정부는 NCS 기반 능력중심 채용 및 블라인드 채용을 정책기조로 내세워 이른바 ‘스펙초월’ 또는 ‘직무능력’ 중심의 채용방식을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확대하는 한편, 민간 기업의 채용으로 까지 확산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NCS 기반 능력중심 채용의 필기시험 중에 직업인으로서 기초소양 검정을 목적으로 하는‘직업기초능력시험’이 있는데, 현행 NCS 직업기초능력시험은 10개의 하위능력으로 구성되며, 공공기관마다 선발 직무에 따라 몇 개의 영역을 재량적으로 선택하여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다만 직업기초능력을‘직업인으로서 공통적으로 갖춰야 하는 기본능력’으로 개념도출 되었고, 또한 직업기초능력이 어느 특정 분야 및 직렬에서만 선택적으로 요구되는 능력이 아니라 모든 업무분야에서 직업인에게 요구되는 공통 능력이란 점에서, 필기시험에서 영역별 선택적 실시는 직업기초능력시험의 개념 및 실시 취지에 부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능력을 제대로 검정하기 위해서는 직업기초능력 10개 전 영역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며, ‘해당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역량’인 직무 전문성은 ‘직무수행능력시험’을 통해 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ith respect to personnel management, fostering outstanding human resources in an enterprise shall begin by selecting and hiring outstanding human resources. The recruitment strategy aims to secure excellent human resources, that is, people who can contribute highly to the company after joining the company. Excellent human resources not only aim to secure excellent talent but also to make timely hiring decisions faster than competitors. To this end, the form of NCS-based recruitment oriented on job competency has been spreading from the past large-scale open recruitment format, and this change in the recruitment system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organization’s resource base. The government is expanding the so-called “spec transcendence” or “job competency”-oriented recruitment method to public institutions, with NCS-based competency-oriented recruitment and blind recruitment as its policy stance and is also trying to spread to private companies. Among these written tests of NCS-based competency-oriented recruitment is the “Core Competency Test”, which aims to test basic skills as a professional. The current NCS Core Competency Test consists of 10 sub-competencies, and each public institution conducts the test by selecting several areas at discretion according to the job selection. However, the concept of Core Competency was derived as ‘The basic skills that must be common as a professional.’ and since Core Competency is not a competency selectively required only in a specific field and series but is a common competency required for professionals in all fields of work, the selective implementation of each area in the written test discrepancy between the concept and purpose of the Core Competency test. Therefore, in order to properly test this ability, it is inevitable to conduct all 10 areas of Core Competency, and it is desirable to test job expertise, which is ‘the competency necessary to perform the job,’ through the ‘Job Performance Competency Test.’

      • KCI등재

        $Mg_{x}Zn_{1-x}$Te 단결정 성장과 광전류 특성

        전용 한국결정성장학회 2001 韓國結晶成長學會誌 Vol.11 No.1

        수직 Bridgman 방법으로 $Mg_xZn_{1-x}Te(0{\le}X{\le}0.48)$ 단결정을 성장하였다. 성장된 단결정의 결정구조는 X = 0~ 0.48 범위내에서는 zincblende 이었고, 성분이 증가함에 따라 격자 상수 값이 6.103$\AA$(X = 0.0)으로부터 6.239$\AA$(X = 0.48)까지 a(X)=6.103 + (0.33)X 를 만족하며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외사법에 의해 얻어진 zincblende MgTe의 격자상수는 6.433$\pm$0.002$\AA$로 주어졌다. 광전류 스펙트럼 측정 결과 $Mg_xZn_{1-x}Te$(X=0) 단결정의 에너지 띠 간격은 4.2K와 294K에서 각각 2.380 eV와 2.260eV 이었다. X 값에 따른 광전류 스펙트럼은 성분이 증가함에 따라 피크가 단파장 쪽으로 이동하였으며, X 값에 따른 에너지 띠 간격의 변화는 $E_g$(X)=b+(0.8)X를 만족하는 선형적인 변화를 보였다. 외사법으로부터 구한 zincblende MgTe의 에너지 띠 간격은 4.2K와 297K에서 각각 3.18ev와 3.06eV로 주어졌다. 또한 광전류 peak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장파장 쪽으로 이동하였으며, 100K 이상의 온도에서 온도계수 $dE_g$/dT=-(5.6~$6.1){\times}10^{-4}$eV/K 이었다. By using a vertical Bridgeman method, single crystalline structures of $Mg_xZn_{1-x}Te(0{\le}X{\le}0.48)$ were grown for various Mg mole compositions. With the increasing Mg fraction, the lattice constant is linearly increased from 6.103 to 6.239$\AA$ for the range of $0{\le}X{\le}0.48$ and the lattice constant of zincblende MgTe was linearly extrapolated to the value of 6.433$\pm$0.002$\AA$.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crystalline structure were characterized with photocurrent measurements. As a results of photocurrent spectra, the single crystalline $Mg_xZn_{1-x}Te$ show the energy bandgap of 2.380 and 2.260eV at 4.2 and 294 K, respectively. The photocurrent peak blueshifts with increasing Mg mole fraction and show the linear dependence of energy bandgap, $E_g$(X)=b+(0.8)X. The extrapolation shows the energy bandgaps of MgTe of 3.18 and 3.06eV at the temperatures of 4.2 and 294K,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photocurrent peaks redshifts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coefficient is given to the value of $dE_g$/dT=-(5.6~$6.1){\times}10^{-4}$eV/K. for the temperature range above 100K.

      • KCI등재후보

        에너지를 함유한 선 폴리머인 Prepolymer(GDNPF) 제조 공정 연구

        전용,김진석,Cheun, Young-Gu,Kim, Jin-Seuk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05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8 No.2

        We synthesized an energetic prepolymer(glycidyl dinitro propyl formal, GDNPF) for plastic-bonded explosive and measured its thermodynamic parameters. Glycidyl dinitro propyl formal(GDNPF) as an energetic monomer was epoxidized from allyl-2,2-dinitro propyl formal which is reacted with dinitro propyl alcohol and excess allyl alcohol, and then energetic polymer of GDNPF was polymerized by cationic ring opening polymerization. Thermodynamic parameters were obtained from the ceiling temperature($T_c$) values of 1 mole monomer at reaction temperature. We varied feed rate of monomer, concentration of initiator and monomer to control molecular weight and polydispersity of prepolymer (GDNPF). The activated monomer polymerization has been executed with precisely controlled feed of GDNPF monomer to reactor in the complex state catalyst generated by $BF_3{\cdot}(C_3H_5)_2$ and 1,4-butanediol in $C_2H_4Cl_2$.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Mn), polydispersity(Pd), hydroxy number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T_g$) of prepolymer(GDNPF) were $2,500{\sim}3,000,\;1.2{\sim}1,3,\;0.6{\sim}0.8eq/kg\;and\;-20{\sim}-25^{\circ}C$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에너지를 함유한 선 폴리머인 poly(NEO) 제조 공정 연구

        전용,김진석,Cheun Young Gu,Kim Jin Seuk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04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7 No.2

        We synthesized energetic prepolymer(2-nitrato ethyl oxirane, NEO) for plastic-bonded explosive and measured its thermodynamic parameters. 2-Nitrato ethyl oxirane(NEO) as a monomer was synthesized from 4-butene-ol, the first-step was preparation of 1-nitrate-3-butene and second-step was synthesized 2-nitrate-ethyl oxirane from 1nitrate-3-butene and then polymerized by cationic ring opening polymerization. The unreacted monomer concentration was measured by GC. The thermodynamic parameters were obtained from the ceiling temperature(Tc) values of 1 mole monomer at each reaction temperature. We varied feed rate of monomer, concentration of initiator and monomer to control molecular weight and polydispersity of perpolymer(NEO).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Mn), polydispersity(PD),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Tg), viscosity of prepolymer(NEO) were 2000, 1.07, $-55^{\circ}C$ and 300 poise respectively.

      • 분자화약 TNAZ 합성에 대한 개선 기법

        전용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03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6 No.1

        TNAZ is a high explosive material because it is a highly strained ring compound containing one nitramine and gem dinditro groups. 1-t-butyl-3-nitroazetidine which was used as an intermediate previously, which declined the overall yield in synthesizing TNAZ. We obtained 1-t-butyl-3-hydroxymethyl-3-nitroazetidine in 64% yield from advances process which was used in synthesis of 1-t-butyl-3-nitroazetidine. The reaction pathway, shortening of reaction time, together with improvement of yield were studied too. We have obtained TNAZ in 85% yield.

      • KCI등재후보

        판상 화약 DXD-19 조성 및 성형 공정개발

        전용,이진성,Cheun Young Gu,Lee Jin Sung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04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7 No.3

        DXD-19 is a flexible sheet explosive, which is a new polymer-bonded explosives(PBX's). DXD-19 is relatively insensitive and can be extruded into various configurations to be applied to munitions. A typical application includes multi-point initiation for the warhead, cutting/severance devices and transfer lines. The DXD-19 composition employs a binder system derived from the thermoplastic elastomer(HyTemp 4454) containing $5\%$ OH terminated with isocyanate curable for increasing mechanical properties. The use of an elastomer CAB increases its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 use of an energetic plasticizer BDNPF/BDNPA(F/A) improves the process ability as well as energy contents. The composition of the extruded DXD-19 formulation is formed $\%$ weight of $PETN/HyTemp/ATEC/(F/A)/CAB=72\~73/12\~13/6\~7/6\~7/1\~2$. Our safety tests of DXD-19 shows Insensitivity to an impact test and friction test, good thermal stability and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