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수출 관문의 변화와 한국 농식품 수출의 공간적 패턴 분석: 의사결정나무 분석의 적용

        현기순,Hyun, Kisoon 한국경제지리학회 2018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상품별 동향과 수출 관문별 특징을 밝히고, 농식품 수출 활성화를 위한 관문의 성장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지난 17년 동안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은 가공식품 중심으로 규모가 확대되었고, 수위 수출 관문으로서 부산항의 위상은 압도적이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의사결정나무(CART) 분석을 통해 부산항 곡물 가공식품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파악한 결과 지향지의 GDP, 우리나라와 상대국과의 거리, 1인당 GNI가 부산항 가공식품 수출 규모의 평균을 최대한 잘 예측해주는 변수의 집합으로 나타났다. 수출 대상국은 8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고, 이는 유형별 특성에 따른 농식품 수출 활성화 전략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This study suggests a gateway strategy for transporting agri-food exports to expand exports after examining the patterns of Korean agri-food exports by commodities and the role of export gateways. Korean agri-food exports have increased, but processed food export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fresh agricultural products during the last 17 years. More importantly, Busan port is the main agri-food export hub in Korea.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paper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processed cereal-based food (HS 19) exports through Busan port using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CART) analysis. As a result, the main factors that help to predict the real value of Korean exports are the GDP of the export destination countries, their distances from Korea and their GNI per capita. The destinations of Korean agri-food exports are finally classified into eight groups, which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clusters and provides useful insights for the strategies to expand agri-food exports.

      • KCI등재

        지속 가능한 항만도시 발전 방향 모색을 위한 한국 항만도시의 유형 분석

        현기순,이금숙 한국지역학회 2011 지역연구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s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port-cities in Korea. Korean port-cities have been devoted to expanding port facilities without concerning their geographical and market situation, which incurs excessive and unsustainable investment problem. This study suggests various development directions instead of uni-direction. For the purpose, we set up seven models to classify twenty-eight Korean ports-cities. By applying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 determine four types of port-cities by their geographical attributes of ports and their hinterland cities. Finally, we propose sustainable development directions for each port type which are the most suitable to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한국 항만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 한국의 항만도시들은 항만도시의 지리적인 특성에 대한 고려없이 항만시설의 확장을추진하여 과잉투자에 따른 지속불가능한 문제를 확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본 연구는 28개의 한국 항만도시의 다양한 발전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7가지 모델을 설정하여 항만도시의 유형을 파악하였다. 계층적 군집분석을 적용하여 항만도시의 지리적인 속성에 따라 항만도시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결과에 따라 유형별 지속가능한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소매 유통업체의 입지적 특성과 소비자 이동 행태에 대한 분석 : 제주도 서귀포시를 사례로

        현기순,이금숙 한국경제지리학회 2004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7 No.1

        이 연구는 다양한 소매 유통업체들의 입지적 특성과 소비자의 구매를 위한 공간 이동 행태를 파악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일상적 소비생활과 관련하여 다른 지역과의 연결이 비교적 단절된 제주도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상·하위 도시로의 이동 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제주도의 2위 도시인 서귀포시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서귀포시에는 대형 백화점은 존재하지 않으나, 재래적 농촌경제의 잔재라고 볼 수 있는 정기시장과 오래된 중심부에 위치한 재래시장이 있으며, 근래에 대거 등장한 대형마트 및 쇼핑센터가 입지하고 있으며, 각기 다른 소비자의 각기 다른 소비자의 각기 다른 구매 요구와 연결되어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들의 입지적 특성을 밝히고, 이 지역 소비자의 이동 행태와의 상호 연관성을 밝히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귀포시에 거주하고 있는 주부를 대상으로 가정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사례지역에 입지하고 있는 유통시설에 대한 이용행태 및 상위 도시인 제주시로의 공간이동 양상, 구매장소별 이미지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얻어진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atial pattern of retail services and the consumer behaviors. For the purpose we select Jeju Island as the study area, because it retains relatively little distorted retail service systems by it's locational isolation. The retail service systems comprise three types: large-scale modern marts, conventional markets, and periodic market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se three different types of retail services, and to figure ou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nsumer behaviors for each of them. We performed questionnaire surveys for getting the data of consumer behaviors. We applied several statistical methods to analyze the survey data. Most of retail services are located in two urban centers, Jeju City and Seoguipo City. We found that the locations of retail services are determined strongly by population size. The selection of market type and the location to go for shopping are related strongly with the types of goods. However, there is a wide difference in the consumer behaviors according to the consumer'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Young wives tend to go shopping to large-scale marts in Jeju City which is the higher level central place, while old wives go shopping to conventional markets and periodic markets. They also show different shopp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household income levels. Low income groups prefer to go conventional markets located near to their residence, middle income groups go to large-scale martsin Jeju, and high income group go out of the Jeju Island. However, the consumer behavior does not show big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ize of family. There are also no difference in the selection for shopping location according to the consumer's resident locations.

      • KCI우수등재

        지속가능성에 대한 지리학의 연구 동향 분석 - 토픽 모델링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현기순 대한지리학회 2022 대한지리학회지 Vol.57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geography on sustainabil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t uses topic modeling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to achieve this goal. Two thousand four hundred fifty-two abstracts of articles in geography studies, published from January 2000 to November 2021, were obtained for analysis from the Web of Science(WoS) and Springer databas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opic modeling identified ten major research issues such as “water resources”, “ecosystem services”, “energy”, “forest resources”, “urban environment”, “tourism”, “climate change”, “health and disease”, “agriculture”, and “strategy and policy“. Second, the sub-themes mainly related to natural resources and human activity are ‘water’, ‘soil’, ‘resource’, ‘forest’, ‘population’, etc. Moreover, the primary focus issues of this study are ‘change’, ‘process’, ‘distribution’, and ‘pattern’, which are fundamentals in geography. Third, geography studies approach the complex problem of sustainability using emerging quantitative methodologies. Finally, this study shows that geography plays a crucial role in dealing with many global issues involving multiple Sustainability Development Goals (SDGs) and supports sustainable development. 본 연구는 토픽 모델링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지리학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는 지속가능성 및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 연구 기간은 2000년 1월부터 2021년 11월까지로 설정하고, Web of Science와 Springer의 학술 정보 사이트로부터 수집한 2,452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학의 지속가능성 연구 주제는 수자원, 생태계 서비스, 에너지, 산림자원, 도시환경, 관광, 기후변화, 건강과 질병, 농업, 전략 및 정책 등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구체적으로 ‘물’, ‘토양’, ‘자원’ ‘산림’ ‘인구’ 등과 같이 자연자원과 인간 활동에 대한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변화’, ‘과정’, ‘분포’, ‘양상’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계량적 기법을 도입하여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복잡한 문제에 심층적으로 다가가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지리학이 지속가능한 목표(SDGs)가 다루고 있는 광범위한 지구적 문제에 대해 공간적으로 접근하면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뒷받침할 수 있는 학문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