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地域과 全體

        편무(Pyeon Moo-Yeong) 비교민속학회 2005 비교민속학 Vol.0 No.29

        Through Hegel's dialectical logic, Yul-Gok’s ideologicalphilosophy (a 16th Century Korean Confucianist), and the theory of ‘The Time and the Space’ I will examine the reciprocal relation between the region and the whole. In other words, I will present a logical establishment that the scholars’focus should be on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parts and whole because “region should not be understood in local,” that region can only exist through its relationship with the whole. Furthermore, this is a methodology that can be proven individually through individual research, as I am proving through Buddha’s Festival in Asia, that all scholars should confront logical problems via their own case study.

      • KCI등재

        淨土三部經과 蓮華化生의 相關性에 관한 硏究

        片茂永 동아시아고대학회 2015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8

        극락왕생에 관한 주요 경전인 정토삼부경과 연화화생의 관련성을 밝히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정토삼부경이란 무량수경, 관무량수경, 아미타경의 세 경전을 합쳐 부르는 말이다. 무량수경은 서방정토란 무엇인가의 물음에 대한 답에 해당한다면, 관무량수경은 서방정토에서 스스로가 왕생하는 방법을 논하고 있으며, 아미타경은 그리하여 도달된 극락정토의 존재를 재차 확인하며 맺는 구성이므로 마치 서론 본론 결론과도 흡사하다. 그런데 무량수경에서 세존은 중요한 법어를 말씀하시는데, 연화화생과 연화태생의 구별에 관한 문제가 하나이고, 정토왕생을 상배왕생 중배왕생 하배왕생의 삼배왕생으로 구분하는 문제가 둘이다. 전자에서 연화태생이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가는 연화화생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한 숨겨진 핵심으로 연꽃에 대비되는 연봉오리로 표상되고 있다. 후자의 삼배왕생은 그 사람이 어떠한 삶을 살았는가에 따라 임종 이후에 걷는 길이 다름을 보여주는데 그것이 상배 중배 하배의 차이인 것이다. 이때의 차이점은 연꽃이 피어나기까지 걸리는 시간의 길고 짧음으로 나타내고 있다. 관무량수경에서 세존은 다시 연꽃과 연꽃봉오리를 세분하여 제시한다. 삼배왕생이 구품왕생으로 발전된 형태와 함께 설명하는데 이 역시 임종하는 자가 어떠한 삶을 살았는가에 따라 다른 결과로 이어지는 인과법에 의하므로 아홉 무리에서 아래로 내려올수록 악인에 해당한다. 그리고 이들이 각각 연꽃봉오리에 왕생한 다음 연꽃이 피어 제대로 서방정토와 아미타여래를 볼 수 있는 말하자만 개안에 이르는 시간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연꽃봉오리에서 연꽃으로 피어나기까지의 시간이 제각각인 것이다. 세존은 정토왕생이라는 크고 무거운 이야기를 생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연못이나 연꽃과 같이 접근하기 쉬운 단어를 빌려 모두가 알 수 있도록 설명했다는 점은 매우 인간적이다. 그러나 세존의 대자대비에는 정토의 존재를 의심하거나 죄악을 저지른 자에 대해서는 무한에 가까운 시간을 연꽃봉오리에 가두어버리는 엄격함이 공존했다는 점이야말로 정토삼부경의 요체가 아닐 수 없다. 연꽃을 통해 다시금 밝혀진 중요한 문제들인데 정토삼부경과 연화화생이 서로 불가결한 관계로 이어지고 있다는 재발견인 셈이다. When we talk about the pure land of Amitabha, in the majority of cases, we have nothing to do but read and meditate upon the three pure land sutras. According to Buddhist studies, briefly speaking, the three sutras are the Larger Sukhavati-Vyuha, the Smaller Sukhavati-Vyuha, and the Amitayur-Dhyana-Sutra. In other words, the pure land of Amitabha has been given due consideration and meditated upon carefully within the three sutras in general. However, most folk people could not understand the meaning of Buddhist writings nor imagine how the pure land was formed, nor comprehend the distance from this world to the next. For this reason, some Buddhist monks felt it necessityary to find a way to explain the pure land of Amitabha to the people using paintings or murals. This is the reason why there have been so many murals handed down in the temples of Korea. Incidentally, it is a very interesting and important problem for us to find something in common among the three pure land sutras and the murals. That something is the sacred lotus flower, and it is not only the master key to understanding and believing in the existence of the pure land, but also the core pattern in the murals. Therefore, the problems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mitayur Dhyana Sutra and the sacred lotus flower comes to the fore as we comprehend the sutras or the murals associated with the pure land of Amitabha. As a result, I can conclude that, first, what Sakyamuni is trying to say in the three pure land sutras regarding the existence of the pure land of Amitabha is that it has a very pure lotus pond and lotus flowers, and so it is not too much of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next world of Buddhism is a lotus world. Second, after death, we all have a chance to drop into some lotus womb to be reborn in the next world; moreover, after passing away so many times, it is possible to have a final opportunity to attain Nirvana on the lotus flower. That is to say, the three pure land sutras are the large story Sakyamuni wove around the pure land story and reincarnation on the sacred lotus flower.

      • KCI등재

        淨土三部經과 極樂往生圖의 相關性에 관한 硏究 - 松廣寺 地藏殿의 사례를 중심으로 -

        片茂永 동아시아고대학회 2015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0

        본고는 송광사 지장전의 사례를 통해 정토삼부경과 극락왕생도의 상관성에 대하여 고찰한 연구이다. 분석한 바에 의하면 송광사 지장전의 극락왕생도 구석구석에 정토삼부경이 스며들어 있음을 먼저 알 수 있었으며, 동시에 정토삼부경에 대한 화공의 주관적인 이해와 해석, 또는 공덕주 부부에 대한 신앙적인 배려를 바탕으로 제작된 판벽화라는 사실에 대해서도 파악할 수 있었다. 말하자면 정토삼부경의 불교학적 전개로 단정하기보다는 신도의 신앙세계가 더해진 불교민속학적 정토신앙이라는 문화현상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송광사의 극락왕생도에 대해서는 해석을 요하는 부분이 그 외에도 다수 발견되고 있지만, 정토삼부경이 전하고자 하던 서방 정토의 극락도를 그리기 위해 화공이 무슨 생각을 얼마나 했으며 또 고민이 있었는지 대략 가늠할 수 있었다. 즉, 화공에게 있어 정토삼부경은 극락왕생도를 그리기 위한 모범적인 교과서 같은 존재였고, 그런 중에 공덕주 부부를 만나 그들의 소구소원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종교인으로서의 배려도 수반되었다. 요컨대, 불교의 논리와 민속 논리가 하나의 벽화를 통해 구현되는 상황이 전개되었다. 불교민속의 형성과 전개에서 차지하는 화공의 존재감이 예상보다 돋보이는 극락왕생도라 말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경전 일변도의 불교 벽화가 아니라 민속신앙이 습합된 판벽화라는 점에서 송광사 지장전의 극락왕생도는 불교민속학적으로도 주목받아 마땅하다고 판단된다화공의 기억 속에는 다 말하지 못한 내용도 있었을 것이며, 또 그 같은 판벽화에 대해 송광사 측은 과연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아울러서 이미 고인이 된 공덕주 부부의 유족들은 극락도의 존재에 대해 과연 알고 있을까 라는 의문점들이 남아있다. 정토삼부경, 연화화생, 극락왕생도라는 세 가지 분석을 위한 키워드와 화공의 구술을 바탕으로 송광사 극락도의 해석을 시도하였고 여기서 나오는 문제들에 대해 고찰을 거듭하다 보니 비교불교민속학이라는 또 다른 과제가 시야에 들어오는 것 같다. 정토삼부경 연화화생 극락왕생도는 한중일 세 나라에 공통적으로 전파되었기에 이를 축으로 한다면 비교불교민속학적 기준이 분명하여 비교민속학에 대해서도 새로운 지평을 열어 보여줄 것으로 믿어마지 않는다. In this case study, the meanings of the Reincarnation Mural at the Songgwangsa Temple will be explained from three angles. Firstly,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mural from the viewpoint of the three pure land sutras. This would give some hints in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Buddhist meanings and the local meanings. This study notes that the original Buddhist meanings shown in the three pure land sutras have a global significance in East Asian countries, which would help bring salience to a locality. Secondly, some ideas and the imaginations of the Buddhist painter who painted the mural in 1987, should not be overlooked. In 2009, I interviewed him and he provided me with some informations about the stories behind the mural at the Songgwangsa Temple. Considering the stories he told, I observed two points that play a key role in understanding the mural. One is his comprehension of the three pure land sutras and reincarnation, and the other is the case of a Buddhist couple who performed good deeds and requested the Songgwangsa Temple to paint a pure land mural for them after their death. The Songgwangsa Temple arranged a meeting between the Buddhist painter and the couple. Furthermore, I learned that it was the couple`s desire that influenced their wish to be incarnated in the Buddhist pure land and the painting mural. To summarize, the Buddhist painter painted the couple being reborn in the Buddhist pure land after their death, and it can be said that the mural has global features as well as local features. This study recognizes that the mural has significance as a piece of Buddhist art and is parallel with folk Buddhism.

      • KCI등재

        하나마쓰리의 창출ㆍ군국주의ㆍ쇠약 - 일본문화의 단절과 연속의 착종문제-

        편무 국립민속박물관 2006 민속학연구 Vol.0 No.1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Japanese cultural identity through an examination of Buddha's Birthday in Japan from the Meiji Era to the present. The Japanese scholars studying Japanese cultures have adhered themselves to very traditional perspectives. However, because a balanced and well-rounded cultural sense can only be formed through a combination of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factors, current Japanese cultural studies adhered only to traditional views are logically contradictory. Japanese scholars continue attempting to explain the Japanese modern cultures from a traditional standpoint. However, by examining the history of Buddha's Birthday, one is able to understand that this particular cultural festival combines both the traditional and the contemporary factors, forming a balanced view of culture. Those that were given no significance in the past-solely because they were considered to be contemporary factors-had in fact very significant historic effects. Through this observation, scholars must rethink the fundamental awareness about the Japanese culture. That is, until recently, most aspects of the so-called Japanese culture that were presented to the public's eyes were those that were considered to be traditional parts of Japanese culture, chosen by Japanese themselves. Therefore, current "Japanese culture" only demonstrates partial elements, failing to take into account contemporary factors. Therefore, a balanced view of Japanese cultures can only be accomplished when one revalues the formerly excluded contemporary factors and combines theme with the presently incomplete view of the Japanese culture. In conclusion, the essence of cultures lies in the coexistence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and this understanding is necessary to properly understand the Japanese culture in a more encompassing fashion.

      • KCI등재

        동아시아불교민속의 형성과 전개 - 蓮華化生의 문화사적 관점을 중심으로 -

        片茂永 동아시아고대학회 2013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0

        인도에서 네팔과 중국을 거쳐 한반도와 일본에 이르는 동북아시아를 무대로 연화화생 문양의 전파와 수용을 문화사적 관점과 불교민속학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불교 발생 이전부터의 다문화 융합상황을 조명하기 위해서는 문화사적 관점이 유효하였고, 불교발생 이후의 불교민속의 형성과 발전을 조명하기 위해서는 불교민속학적 관점이 유효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런데 중국이 연화화생을 한반도와 일본에 전했다는 측면도 있으나, 인도나 네팔로부터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 또한 부정하기 힘들다. 즉, 중국은 인도와 한반도 사이에서 문화의 전달과 재생산이라는 두 가지 역할을 수행한 셈이다. 재생산에는 인도의 신화적 사상이 속화의 길을 걸으며 연화화생을 민속 레벨에 확산시켰다는 뜻이 담겨 있고, 전달이라는 측면에서는 고대 인도의 사상을 잘 보전하여 한국과 일본에까지 전달했다는 점이 인정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도상의 구도에만 입각했을 때 그렇다는 뜻이고, 도상에 담긴 의미에서는 중국에서 한반도, 그리고 일본에 이르면서 희미해지거나 잊혀졌다는 사실 또한 배제하기 어렵다. 문화 원형의 망각은 새로운 문화의 재활성으로 이어진다는 메를로·퐁티의 문화 이론을 거론하지 않더라도, 원류에서 멀어질수록 변형 또한 심해질 수 있다는 문화변형의 기본 원리를 다시 확인한 셈이다. 문화사적 관점은 문화의 다양성을 거시적으로 고찰하면서 보편성과 원형에 소홀히 하지 않는 반면, 불교민속학에서는 문화사적 원형 탐구보다 지역마다의 토착화에 더욱 주목한다. 지금까지의 한국과 일본의 불교민속론이 후자의 연구 자세였다는 배경과도 무관하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이나 사례 중심형 탐구자세와 더불어 동아시아의 전체적 관점 또한 경시할 수 없으니 그러기 위해 동아시아의 문화사적 관점은 불가결하였다. 여기서 알게 된 동아시아적 보편성과 원형 문제란 연화화생이 결코 동북아시아나 불교라는 이제까지의 틀에 국한되는 문화 현상이 아니었다는 점이다. 동아시아에 국한해서 보려는 인문과학적 착시현상이 유독 연화화생에 한정되는 일은 아니나, 연화화생은 이제까지의 문화적 배경을 넘어 인도의 불교이전이나 베다 사상까지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시켜주었다. 그래서 불교민속학적 방법의 한계를 문화사적 관점이 보완해줄 수 있다는 가능성 또한 열어주었다. 그러나 불교민속학적 방법으로 터득한 것도 적지 않은데 그것은 연화화생이 고대 인도의 신화적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문화현상으로서의 연화화생은 지역마다 제각기 다른 토착화의 길을 걸으면서 원류의 망각과 더불어 민속문화로 자리매김하였다는 사실의 확인이었다. 민속학적 관점과 조사방법으로도 어렵지 않게 얻을 수 있을 정도의 지역민속으로 탈바꿈한 상태였다. 이러한 토착화 현상들은 역으로 말해서 문화사적 관점을 통하지 않았다면 언제까지나 지역 민속의 틀 속에 가두어버릴 우려도 배제하기 힘들었다. 지역의 민속이라도 관점을 달리한다면 아시아의 보편 문화로 승화 가능하다는 재발견이었다. 부분 현상들을 크게 하나로 엮어 보이는 이론 작업의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뜻이기도 하다. 요컨대 연화화생과 같은 불교 관련 다양한 문화현상이나 불교민속을 조사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불교민속학적 관점이나 방법과 더불어 동아시아나 아시아적 관점에서의 문화사적 방법이 동시에 강구되어야 한다. 불교민속학적 관점과 방법은 앞으로도 유효하되 구속되지 말아야 하며, 동아시아나 아시아적 관점에서의 문화사적 연구방법은 민속학의 외연을 증폭시켜 줄 것이기 때문이다. I have looked into diffusion and acceptance of self-born on the lotus flower from a Buddhist folkloristic and cultural historic point of view through India, Nepal, China, Korea and Japan. It is because that I think cultural history is effective way to shed light on cultural convergence before Buddhism was arisen, and the other hand, Buddhist folklore is effective way to shed light on formation of Buddhist folklore after Buddhism was arisen. It seems to be related to the logical development of comparative Buddhist folklore. There is a theory that China has diffused self-born on the lotus flower to Korea and Japan, however, there is also a theory that China was influenced by India and Nepal. That is, China has carried out the roles of both delivery and reproduction. Speaking of reproduction, it means that Indian myth diffuses self-born on the lotus flower folkloric scale. Also, delivery means that Chinese Buddhism preserved Indian philosophy well and spread to Korean and Japanese Buddhism. The latter theory, however, makes sense only when it is based on structure of icons. It is hard to exclude the fact that deeper meanings of icons have faded out by way of China, Korea and Japan. According to Merleau-Ponti, a philosopher of France, the oblivion of cultural original form will be connected to the reproduction of new culture. The further culture is away from origin, the worse culture is transformed. The cultural historic viewpoint considers not only diversity of culture, but also universality of culture and the origin form. Buddhist folklore, on the other hand, considers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area. The research methods of Korean and Japanese Buddhist folklore are based on the latter. Even though area study and case study are important, global viewpoint of East Asia has not to be minimized. To do that, cultural historic viewpoint and spatial trans-culture were indispensable. One thing that I learned from cultural historic point of view was that self-born on the lotus flower is never restricted to Northeast Asia or Buddhism. It is not the only humanistic illusion of restricting to East Asia, however, self-born on the lotus flower confirms that Indian philosophy before Buddhism was arisen and Vedic philosophy have to be considered. Besides, cultural historic perspective has the possibilities of compensating the defect of Buddhist folklore so far. Of course, there are some facts that I could know by Buddhist folklore, which is, self-born on the lotus flower treads the path of localization losing sight of origin and turning into the folk culture. It mean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ocalizations of folk culture are always restricted to regional folklore. From a different view,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even regional folklore can be universal culture. There is also a theoretical possibility of weaving together the all parts of phenomenon into one. In conclusion, to analyze Buddhist cultural phenomenon, like a self-born on the lotus flower, both Buddhist folkloristic and cultural historic perspectives have to be considered. Buddhist folkloristic perspectives and methods will subsist now and for ever, but it has not to be tied down. Cultural historic research from Asian viewpoint will intensify extension of Folklore.

      • KCI등재
      • KCI등재

        蓮葉化生의 普遍性과 象徵性

        片茂永 동아시아고대학회 2011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25

        滿開한 연꽃에서 神이나 貴人, 또는 亡者가 상반신을 드러내며 출현하는 연화화생 모티브의 그림이나 부조, 벽화 등은 아시아의 전 지역에서 발견되는 글로벌 문화이다. 그러나 불교의 발상지인 인도에서 본다면 연화화생과 연엽화생은 구별해야 마땅한 용어였다. 따라서 한국이나 일본의 연화화생 문화가 중국에서 전래되었다는 통속적인 언설이 아니라, 연엽화생과 연화화생이 본래 인도에서는 어떠한 신화적 사상을 바탕으로 형성되었을까 하는 중국불교 이전의 문제로 접근하려고 하였다. 먼저 일본의 불교장식이나 회화에서는 연엽화생과 연화화생에 대한 단계적 표현이 두드러졌는데, 가령 前者를 인간의 화생, 後者를 신의 화생으로 나누려는 의도가 읽혀졌다. 한국의 사찰 벽화에서도 연엽화생은 연화화생의 前段階라는 화가의 의도가 엿보인다. 즉, 전자에서 극락에 도달한 망자가 후자에선 왕생을 완성해가는 것이다. 그 밖에도 한국과 중국의 민속에서는 연엽화생이 祈子信仰과 부부의 금실을 대표하는 도안으로 토착화하였음을 보여주기도 한다. 한편 연엽화생의 발상지인 인도에서 본다면 연엽이나 연꽃은 신화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생명력의 원초적 형상화가 연잎이었으며 조물주가 최초로 스스로의 모습을 드러낸 곳도 연못(lotus pond)이었다. 神만이 아니라 이 세상의 모든 개별자 역시 연잎에서 비롯하였으니 연잎은 바야흐로 연꽃보다 한 발 앞선 생명력의 근원이었다. 연엽화생의 보편성과 상징성을 이상과 같이 일본에서 인도에 이르는 문화 전파의 루트를 따라 살펴보았다. 이 세상이 구체적으로 만들어지던 단계에서는 연화화생이 화려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 부정할 수 없으나, 그 전 단계, 즉 최초의 생명력이 응집하던 단계야말로 연엽화생의 역할이었다. 즉, 연엽화생과 연화화생은 신화적 전개의 전후관계나 상하관계를 표상하는 단계적 장치였다. 연엽화생은 구체적 신들이 본격적으로 태어나기 전 단계, 다시 말해서 태초의 생명력 형성의 이야기였으며 우주에서의 개별자 형성, 즉 범아일여(梵我一如) 사상을 보여주기 위한 시각적 장치였다. 연엽화생에 담긴 고대 인도의 신화적 사상이 중국을 경유하면서 형이상학에서 형이하학, 즉 속화(俗化)의 길을 걷기도 하지만 원의를 지금까지 남기기도 하였다. 그리고 사상이 누락된 상태의 민속은 문화변이를 일으키면서 한국과 일본에까지 전래되기도 하였다. 요컨대 하나로 존재하는 우주적 전체와 그곳을 출처로 무수한 개별자들이 탄생한다는 신화 이야기, 즉 고대 인도인들의 범아일여 사상은 연엽화생과 연화화생이라는 두 개념이 상호 불가분으로 존재하면서 성립할 수 있었다.

      • KCI등재

        釋尊의 生涯를 통해 본 蓮華의 象徵性

        片茂永 동아시아고대학회 2017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6

        본고는 연등불의 수기와 싯달타의 탄생, 그리고 출가에서 수행·득도·열반에이르는 전 생애를 통해 연화의 상징성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리하여 연화의 상징적 의미가 淸淨無垢같은 통설로 모두 설명되는 것은 아니며, 그보다는聖과 俗, 혹은 극락과 지옥같이 다양한 상징성을 겸비한다는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다. 과거세의 授記에서 연등불은 선혜동자가 미래의 사바세계에서 붓다가 될 것이라 예견하는데, 이때의 계시는 연꽃 공양이 결정적인 계기였다. 연꽃은 연등불과 선혜동자, 즉 天界와 앞으로의 인간계를 이어주는 종교적 연결고리였다. 연꽃을 통한 연등불의 계시 이야기는 도솔천과 지상으로 무대가 옮겨지며 흰코끼리가 白蓮을 물고 마야부인의 꿈속에 나타나 수태가 된다는 전개로 이어진 다. 과거 수기의 기억은 白蓮에 각인되어 있었고, 그것이 마야부인의 수태를 가능케 하였으니 白蓮은 구체적인 붓다의 출현을 예고하는 상징이었다. 그런데 연꽃의 이와 같은 상징성은 실은 유라시아에 널리 퍼진 전승문화이므로 문화사적으로는 불교이전부터의 보편성을 공유한다고 볼 수 있다. 싯달타의탄생에서도 연꽃은 神聖을 상징하는 보편성을 보여주는데, 옆구리 탄생담과 연화화생 모티브도 함께 전하기 때문이다. 신성함의 표상인 연꽃의 의미는 싯달타의 출가에 이르도록 면면히 이어진다. 그러나 출가를 결행하는 직접적인 계기가되었던 싯달타의 정신적 고뇌에서는 연꽃의 의미가 俗華로 변하고 마는데 그 배경은 고대 인도의 신화나 문학 같은 문화적 전통에서 비롯되었다. 사바세계의 집착이나 애착을 사실 그대로 보여주는 표상으로 연꽃이 등장하는사례를 인도 외의 유라시아에서 발견하기는 어렵다. 즉, 유라시아의 보편문화라기 보다는 불교 이전의 인도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판단이다. 이와 같이 聖 俗의 양면성을 상징하는 연꽃이 불교에 등장한 것인데, 이후의 전개에서 연꽃은다시 신성함을 줄곧 나타내지만 득도 후의 붓다에 이르면 완전히 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聖俗의 양면성이 이질적인 두 문화의 습합이라면, 이제부터는 유라시아의 보편성도 아니며 불교 이전도 아닌 붓다만의 세계에서 연꽃이 홀연히 존재하게 되는데, 극락과 지옥을 동전의 양면처럼 설명하는 붓다의 법문을 통해서였다. 극락은 연화화생, 지옥은 연화태생이 그것이다. 불교 이전의 브라만 사상을 넘어서려던 붓다의 사상적 끝자락에 위치한 궁극적 표상으로 연꽃이 있었다. 이곳은 성도 아니고 속도 아닌 차원이었으니 극락과 지옥은 하나의 정토라는 심오한 문제를 연꽃을 통해 범부들에 펼쳐보였던 것이다. 극락과 지옥이 궁극적으로 각각의 세계가 아니라면, 출가후의 수행자 시절싯달타가 아라라카라마 仙人에게 전수받았다는 無所有의 경지, 즉 想에서 해탈하라는 가르침이 연꽃에 투영되어 있던 것으로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석존의 생애에 나타난 연화의 상징성을 간추린다면, 일반적인 통념과는 달리, 聖과 俗, 대자대비, 극락, 지옥 등의 주요 개념들을 다양하게 상징한다는 사실이야말로 중요한 문제였다. 요컨대, 듣는 이에 따라 그에 맞는 話法 으로 自在로 달리 설명하는 석존의 소위 對機說法에서 연화는 요체였기에 다양한 상징이 가능하였다. 다시 말해서 연화는 그때그때 존재성을 달리해서 나타나는 化現이었기에 형태이자 형태가 아닐 수 있다는 철학적 난제를 다시 우리에게던져주고 있는 것이다. Lotus flower is the universal symbol in the realm of Indian literature and art since vedic times, but it is the most indispensable symbol for religions, for example Hinduism, Buddhism, and Jainism etc. Therefore, in this paper, I will make more clear some meanings of Lotus flower cited by Buddha during his sermon. At first, I gave attention to the seven Lotus flowers showed in the prediction of God to coming Buddha, Gotama Siddhartha. In this prediction(Vyakarana), the seven Lotus flowers were core symbol and intermediate between God and coming Buddha. Therefore, I’d like to say it very meaningful memory to comning Buddha. Secondly, I paid attention to the period from the birth of Siddhartha to becoming a Buddhist monk, and came to know that Lotus symbol is so diverse that we can’t define the meaning of Lotus symbol as a purity like that has been understood in general. In a large sence, because we can seek Lotus symbol as a not only sacred-flower, but also vulgar-flower, it is a rather important problem for us to understand Buddha’s genuine thought. Thirdly, Lotus symbol would be focused to the point of enlightenment of Buddha and his sermon during about 45 years. In his sermon, we can also discover so many lotus flowers cited in Buddha’s preach itself, and also recognize meaning of Lotus becomes to be different in accordance to some situations from time to time. Why did Buddha himself say Lotus flower as a different meaning ? Moreover, from the fact that Buddha has ever given his sermon to the followers that Lotus flower as a symbol of Paradise, and Lotus bud as a symbol of Hell, we can not help but accept a philosophical and buddhist proposition, that is to say a Sunyata, meaning emptiness or nothingness. And to conclude, Lotus symbol on Buddha’s life is so varied according to the situations that we have to pay attention to many buddhist paintings or literature, and also to the true intention of Buddha’s sermon.

      • KCI등재

        동아시아 연구를 위한 한국종교민속론의 시각

        편무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5

        동아시아의 범주에 관한 학제적 논의가 충분하지 않은 가운데 한국의 종교민속학에서는 이미 시급한 문제로 다가 왔다. 불교민속론의 발전적 모색을 위해서는 동북아시아의 불교민속에 국한된 연구를 지양하고 동남아시아나 서남 아시아의 불교민속을 포함한 총체적 국면을 봐야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종교민속론이 나아가야할 방향이라는 종 교민속연구회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여기서는 동아시아고대학회 제현의 고견에 귀 기울이기로 하였다. 종교민속연구가 결코 한국에 국한된 종교민속만을 다루는 것이 아닌 것처럼 동아시아고대학회 역시 동아시아를 논 의의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는 또 다른 언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래서 동아시아라는 광역의 문화 영역과 어떤 종교민속이 각각 날실과 씨실이 되어 만나는 접점을 연구의 시발점 으로 삼아야 함을 전제로 내세웠다. 지금까지의 비교 연구가 개별적인 영역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으나 이제부 터는 가령 문양이나 세시풍속에서 발견되는 종교민속을 통해 동아시아 전체를 조망하는 문화횡단에 도전해야 한다 . 그러기 위해 주목해야 하는 것이 종교민속학적 관점인데 이것은 종교민속 현상과 동아시아가 함께 만든 자수의 감상법과도 같은 것이다. 한편 사회과학이나 인문과학의 다른 영역들처럼, 문화관련 영역에서도 동아시아로 뻗어나가야 한다는 방향성에는 일단 아무도 의문부호를 달지 않는다. 그러나 인문과학이 생각하는 동아시아의 범주는 사회과학과 일치하지 않을 뿐더러 인문과학 내부에서조차 미묘한 차이가 있다. 편의적이고 통상적이라는 판단 기준은 학술적으로는 무책임하 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종교민속학의 특징에 비추어 볼 때, 한자와 중화를 축으로 생각하던 과거의 발상이 과연 지 금과 앞으로의 글로벌 시대에 부응하는지 의문을 갖게 되었다. 고려해야할 점은 또 있는데, 그것은 문화과학의 이론으로 중심과 주변의 주종관계가 아닌 전체와 부분의 유기적 관 계로 봐야한다는 점이다. 역사 과학에서는 토인비가 “유기적인 전체”라 표현하였다. 전체와 부분에 의한 문화구조 는 그 어느 것도 중심일 수 없고 늘 주변일 수도 없다. 인도의 범아일여(梵我一如, Brahman-Atman-Aikya) 사상 에 수렴되는 이론이라 할 수도 있겠고, 현상학에서도 관련된 논저는 연구사의 중요한 줄기를 이룰 정도이다. 그와 같은 사상적 맥락에 입각했을 때 중국은 불교의 경유지이면서 재활성 지역이고 고구려 역시 경유지이자 재활성 지 역이라는 관계성에는 차이가 없다. 마찬가지로 인도는 불교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지만 엄격히 말하면 리그베다 사 상이나 페르시아의 조로아스타교가 재활성된 지역이므로 같은 흐름의 관계성은 연속해서 꼬리를 무는 식이다. 한 마디로 전체가 유기체적 관계라는 인식이 중요한데 그렇게 본다면 불교는 무에서 유로 창출되었다기 보다 불교이 전부터 거듭된 재활성의 도달점이자 새로운 시작이었다. 무도 없고 유도 없다는 고대 인도의 원초적 사상 역시 그 렇게 사유되지 않았을까. 이와 같이 본다면 한자에 대한 확고부동한 가치 부여와 문화권 설정은 재고되어야 한다. 그래서 종교민속학에서는 동아시아를 아시아의 동부 지역이라는 본의로 되돌려놓고 종교민속 전반을 고찰하고자 한다. 거기서부터 종교와 어떤 민속과의 관계를 검증해야 하며, 불교는 물론이려니와 유교나 도교 가톨릭 개신교 공히 이러한 입장과 관점은 공유되어야 한다. 이상은 동아시아와 종교민속의 관계에 국한된 논술이지만 역사학이나 문학 또는 고고학이나 지리학 해양학 등 다 양한 연구 분야에서 고찰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동아시아고대학회는 각 분야가 생각하는 동아시아의 범주가 무엇 인지 살펴본 연후에 학회로서의 총체적 입장을 밝힐 필요가 있다. While the existing research of topics associated with East Asiais not adequate, clarifying Korean folklore of religion has become an urgent task. For more understanding Buddhist folklore, we must examine Northeast Asia along with Southeast and West Asia. Similar to how research on religious folklore is not limited to Korea, the Association of East Asia Ancient Studies has conducted research in the field of East Asia. Conventional East Asian studies still retain the model of seperate fields of study with respect to East Asia. Now, we must cross-culturally conduct research on one specific cultural phenomenon. For this reason, this paper discusses the necessity to investigate some folkloristic phenomena employing the perspective of East Asia.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doubt that cultural studies must consider East Asia Studies, similar to the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disciplines. The range of perspective used in East Asian Studies. however, is not integrated with the social sciences. Subtle variations can be found even within humanities. Criteria of judgment, that are convenient and ordinary, continue to be used without significant academic responsibility.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question arises whether previously effective Sino-centered thought continues to be relevant in the global era. Another aspect needs to be considered. Cultural structures must be perceived as an organic relation between the whole and the parts, and not as examples of master-servant relations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Arnold J. Toynbee also described it as an organic whole. Nothing can be a center or a periphery in the cultural studies, as they are composed of wholes and their parts. This theory converges with the Indian philosophy of Brahman-Atman-Aikya. Phenomenological arguments also account for an important part of the theory. In this intellectual context, China can be perceived as a stopover and a revitalizing region, and Koguryo as well. Likewise, though India is known as the birthplace of Buddhism, India also revitalized the Rigveda and Zoroastrianism of Persia. These relationships are impermanent.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o see the whole as an organic link. Buddhism emerges from a combination of the constant revitalizations that occured before its arrival and its own new beginings, instead of simply emerging out of nothingness. I think the ancient Indian philosophy stating that there is no nothingness or being was also conceived in a similar manner. Therefore, we must reconsider Sino-centric thinking. It is necessary to redefine East Asia as the eastern part of Asia and take religious folklore into consideration. From that point of view, we must verify a 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folklore. Additionally, this viewpoint has to be shared with not only Buddhism, but also Confucianism, Daoism, and Christianity. These are the featur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st Asia and religious folklore.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diverse fields such as history, literature, archaeology, geography, oceanography, and so on. For these reasons, the Association of East Asia Ancient Studies should declare a perspective as an academic conference, after reviewing a range of East Asian Studies in other areas of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