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현금흐름의 지속성 및 가치관련성

        홍영은(洪暎恩),한정희(韩,正姬),남화영(南花英) 한국회계정보학회 2013 한국회계정보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3 No.1

        This paper examines whether components of operating cash flows affect differentially persistence on future earnings and whether market participants and credit rating agencies evaluate their implications properly. Prior research has treated the cash component as homogenous. However, Roychowdhury(2006) shows that real earnings management activities affect operating cash flows. We decompose the cash component into two parts: abnormal operating cash flows related to real earnings management and normal operating cash flows, based on the abnormal cash flows measures developed by Roychowdhury(2006). We find that normal cash flows is more persistent than the abnormal cash flows. We investigate whether investors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the differential persistence of the two components of operating cash flows. We find that stock prices act as if investors fixate on earnings, failing to correctly distinguish between the different levels of persistence of the abnormal and normal cash flows, indicating that investors misunderstand potential real earnings management. Furthermore, we examine whether credit rating agencies fully incorporate the information in normal cash flows and abnormal cash flows about future performance into their ratings. We find that rating agencies underestimate the abnormal cash flows relative to their actual persistence. 本文以实证方法研究了盈余中现金流成分的持续性及其价值关联性。具体包括三个研究问题:问题一,采用真实活动盈余管理实证模型[Roychodhury(2006)模型]验证现金流成分(正常/异常经营现金流)之间的持续性是否存在差异;问题二,验证韩国证券市场的价格是否充分反应了正常与异常经营现金流之间的持续性差异;问题三,验证韩国公司债信用评价机关的信用等级是否充分反应了正常与异常经营现金流之间的持续性差异。研究结果发现,正常经营现金流的持续性要高于异常经营现金流的持续性,但,韩国证券市场的价格并没有对正常与异常经营现金流之间的持续性差异作出合理的反映。这说明投资者容易对会计利润进行“功能锁定”,即存在所谓的“应计异象”。而且,韩国公司债信用评价机关也低估了异常经营现金流的持续性,从而产生对异常经营现金流的定价过低的现象,但对正常经营现金流并不存在定价过高/过低的现象。

      • KCI등재

        신판 월극(越劇) 《양축(梁祝)》의 개작 양상 연구

        홍영 한국중국어문학회 2012 중국문학 Vol.72 No.-

        《梁山伯與祝英臺》(下面稱《梁祝》)是越劇代表作品。原版是1951年産生, 新版是2006年爲紀念越劇誕生100年, 由杭州的浙江小百花越劇團誕生了。 新版《梁祝》在藝術性、 市場化方面取得成功了。 浙江小百花越劇團成立于1984年, 目前爲止, 越劇改革及創新以女小生茅威?和導演郭小男爲中心正在進行中。 90年代後半期開始的越劇改革試圖―追求大`文化`越劇―是?有价値的, 可是太理念化了, 情節性太薄弱, 讓觀衆難以接受。 到了新版《梁祝》, 他們改革才受到觀衆的齊聲喝彩。 新版承襲了原版草橋結拜、 三年同窓、 十八相送、 樓臺會的基本?架, 但有的部分完全切掉, 有的部分進行了壓縮和省略。 還有, 由愛情情節的增添與强化取得梁祝兩個人愛情故事的說服力。 英臺通過一碗淸水感受到山伯的體貼周到、 眞心, ?的情感被連接到“執子之手”的詩句, 這個詩句就成爲?的愛情基礎。 折扇成爲愛情的信物, 蝴蝶成爲愛情的見證, 故事更加柔軟, 更具彈性。 祝英臺更變成獨立自主、 活?的人物, 梁山伯脫掉怠頭?的意象, 變成體貼周到的人物。 又, 繼承戱曲程式, 同時脫離傳統進行創新。 例如多用扇子的象徵和舞蹈動作, 體現蝴蝶和化蝶場面。 用?發的變形形象和曲子, 體現山伯悲哀的心情。 繼承原版的鏡?式舞臺, 還有添加兩個似乎徐徐向上飄去的風?, 讓舞臺改變成寓言性的世界。 越劇本身是吸收其他戱曲劇種的優點而形成的。 袁雪芬經常說昆曲和話劇是越劇的??。 新版《梁祝》注入了?多時尙的文化元素。 新版《梁祝》的外表?華麗、 ?時尙, 可是里面暗藏了?多有意的藝術追求。 現在是多元化時代, 觀衆也多元化時代的觀衆, 一部戱不能爲單純、 簡單。 不斷進行改革的越劇簡直是帶有同時代性的劇種。 以後的越劇路程完全依賴于下一代的越劇演員。

      • KCI등재

        노년기 세대 간 대면접촉빈도로 살펴본 자녀관계망 변화

        홍영의(Youngeui Hong),한경혜(Gyounghae Han),민주홍(Joohong Min) 한국가족학회 2021 가족과 문화 Vol.33 No.2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인 부모와 성인자녀 간의 관계수명이 증가하고 있는 한편, 세대 간동거는 꾸준히 감소하는 등 한국가족의 세대관계 지형은 크게 변화하고 있다. 이에 자녀와 동거하지 않는 노부모 세대가 성인자녀로부터 적절한 지원을 받고 있는지 여부가 중요한 학문적, 사회적 관심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대 간 지원교환의 토대가 되는 대면접촉(접촉자녀 수 및 빈도)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노인부모와 성인자녀의 주요 생애 전이에 따라 대면접촉 양상이 달라지는지를 탐색하였다. 나아가 전체로서의 자녀관계망을 분석단위로 하여자녀관계망의 구조적 특성이 대면접촉 변화양상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고령화연구패널 1~6차 자료를 활용하여 다층모형과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주 만나는 자녀로 구성된 관계망은 전반적으로 변화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0년간의 변화율을 살펴본 결과, 일주일에 한 번 이상 만나는 자녀의 수는 시간의 경과에따라 감소하였다. 셋째, 생애전이 경험에 따라 대면접촉빈도의 변화양상이 관찰되었다. 생애전이가 노부모와 성인자녀가 처한 상황, 세대 간 지원의 필요도에 영향을 미친 결과로 보인다. 넷째, 생애전이와 대면접촉빈도 변화와의 관련성에 있어 젠더차이가 관찰되었다. 성인자녀가 배우자 상실을 경험하는 경우 어머니와의 대면접촉빈도가 높아지고, 첫 자녀를 출산하는 경우 아버지와의 대면접촉 빈도가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어머니가 배우자를 상실하는경우 자주 만나는 자녀 수의 감소폭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작았다. 아버지에게서는 이러한 관련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넷째, 전체 자녀관계망의 구조적 특성은 대면접촉변화와 유의한 관련성이 관찰되었다. 그 관련성의 구체적 내용에 있어서는 어느 세대를 축으로 하여 분석하느냐 하는 세대관점에 따라 차이가 있다. 아버지의 관점에서 보면 자녀수가 많을수록 대면접촉 자녀수가 많았던 반면, 자녀 입장에서 형제자매가 많은 경우 대면접촉의 빈도는 오히려낮게 유지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세대 간 대면접촉은 지원의 필요성과 긴밀히 연관되는 생애 전이와 자녀관계망의 구조 등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세대 간대면접촉의 시간성을 고려하고, 자녀관계망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조망함으로써, 세대관계의생애과정에 따른 역동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intergenerational contact between older parents and their adult children over time. In addition, relying on life-course perspective,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impacts of life transitions of older parents and their children on the frequency of intergenerational contact.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1-6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collected from 2006 to 2016. The sample included 1,851 older parents with information on their 6,575 adult children. Multi-level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frequency of contact between older parents and their adult children. In addition,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associations between life transitions of older parents and their children and changes in the frequency of intergenerational conta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life transitions of older parents and their childre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hanges in intergenerational contact. When adult children experienced spouse loss due to widowhood or divorce, they were likely to maintain low-frequency contact with their fathers. In addition, when adult children experienced the transition to being a parent,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their fathers was likely to change from low-frequency to high-frequency. Second, when fathers had more children, they were likely to have more children who meet more than once a week. On the other hand, when adult children have more siblings, they were less likely to maintain low-frequency of contact with their older parents. The findings suggest that intergenerational contact fluctuates over the life course according to major life transitions responding to the needs and available resources of older parents and their children.

      • KCI우수등재

        카메라등이용촬영죄에 대한 인식: 성별과 양가적 성차별주의를 중심으로

        홍영,박지선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2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criminal voyeurism(illegal shooting crime),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gender and Ambivalent Sexism. A total of 291 males and female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Questionnaire involved criminal motives, crime exposure experience, self-protection behavior, victim and perpetrator blame, responsibility, and sentence judgment. and Ambivalent Sexism scale.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chi-square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Gender difference were found on perception of criminal voyeurism: Women and men differently perceived motives for criminal voyeurism. While Women reported more frequent experiences of witnessing criminal voyeurism than men did, men had more experience of watching criminal voyeurism shootings than women did. There was also a gender difference in the self-protection behaviors: Women reported more frequent and various self-protection behaviors. For Ambivalent Sexism attitude, males exhibited a higher Ambivalent Sexism attitude than females, both in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As to perception of criminal voyeurism, males tended to blame victims more for criminal voyeurism case than females, although sentencing judgement on criminal voyeurism did not differ by gender. According to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perpetrator responsibility and victim blame was differently related by gender and Ambivalent Sexism sub-factor. Finally,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성범죄인 카메라등이용촬영죄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한 성별 및 양가적 성차별주의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성인남녀 291명을 대상으로 카메라등이용촬영죄(소위 불법촬영, 몰래카메라 범죄)의 지각된 범행동기, 범죄노출경험 및 해당 범죄로부터 스스로를 지키기 위한 자기보호행동, 양가적 성차별주의 태도, 카메라등이용촬영죄 가해자 및 피해자의 책임 및 비난 정도, 양형 판단을 조사하여, 독립표본 t-test, 카이검정,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여성과 남성은 카메라등이용촬영죄 범행동기를 다르게 지각하였다. 여성은 카메라등이용촬영죄 목격경험이 많은 반면, 남성은 불법 촬영물에 대한 시청 경험이 더 많았다. 범죄 두려움에서 기인하는 자기보호행동에서도 성차가 나타났으며,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많은 자기보호행동을 보고했다. 양가적 성차별주의 태도를 분석한 결과, 남성이 여성에 비해 성차별적 태도, 즉 높은 적대적 성차별주의와 온정적 성차별주의 태도를 보고하였다. 카메라등이용촬영죄 인식(피․가해자 비난 및 책임, 양형판단)의 성차를 비교한 결과, 남성은 여성에 비해 카메라등이용촬영죄 사건 발생에 있어 피해자의 책임을 더 크게 지각하고, 피해자에 대한 비난을 더 많이 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가해자 책임과 가해자에 대한 처벌수위 판단에 있어서는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회귀분석 결과, 성별에 따라 가해자 책임 및 피해자에 대한 비난 판단을 달리 했다. 적대적 성차별주의 하위요인은 가해자 책임을 적게, 피해자에 대한 책임은 높게 평정하는 데 관련이 있으며, 온정적 성차별주의는 피해자 비난과 관련성이 높은 요인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카메라등이용촬영죄의 근절 대책에 대해 갖는 함의와 한계점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 비대면 수업의 상상 세계

        홍영일 ( Hong Young Il ) 한국독서아카고라학회 2021 독서아카고라연구 Vol.3 No.-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has accelerated the digitaliza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particular, video classes, which allow real-time communication in two directions, such as face-to-face classes in classrooms, are now forming a new gathering culture as they are not only capable of communicating in classrooms but also have advantages that are difficult to experience in classrooms by enhancing teaching presence. In non-face-to-face yoga class, participants don’t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person next to them, so they can be more immersed in their posture. In non-face-to-face hiking class, participants can enjoy the effect of hiking separately and together while keeping Social Distancing. In the non-face-to-face debate class, video and chat were used at the same time, and all participants poured out opinions simultaneously, showing that active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were possible. As the experiences of these non-face-to-face classes accumulate, meetings that share with each other are also being activated, and many educators are also recovering their confidence. In the future, even if face-to-face classes are held in the With Corona era, the elements of non-face-to-face instructions that have already experienced and tasted advantages are expected to be used as they are.

      • KCI등재후보

        고려시대 토목공사에서의 기와의 생산과 수급

        홍영 한국중세고고학회 2020 한국중세고고학 Vol.- No.7

        Many roof tiles have been excavated from various building sites across the country, as they have long been needed as materials for the construction of private homes for the ruling class, including palaces, government offices, and temples. Not only does the quantity of roof tiles vary depending on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building, but also the duration of the roof tiles varies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in terms of forest environment, the lack of firewood brings about the movement of the yoyojang. It is also necessary to distinguish whether it is state-controlled Waso or private demand. The mechanism of the specific distribution system, from the production process of tile to the consumption process, has yet to be sorted out. The tasks to be solved include the operation of government songs and sayo (civil songs), the operation of temple songs, the network of roof til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 the central and local areas, the supervision and management,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warden and the assistant, the progress of the kiln and tools, the number of workers belonging to the kiln, the amount of production in the kiln and the procurement of soil and firewood. 기와는 오랫동안 궁궐과 관청, 사찰을 비롯한 지배층의 개인 주택 건축 자재로 필요로 하였기 때문에 전국 각지의 여러 건물지 유적에서는 많은 기와가 출토되고 있다. 건축물의 규모와 구조에 따라 기와의 수량도 달라질 뿐 아니라, 건축기간에 따라서 와요(瓦窯)의 유지 기간도 달라진다. 그리고 산림 환경적 측면에서 땔감의 부족은 요장(窯場)의 이동을 가져온다. 또 그것이 국가가 관리하는 와소(瓦所)인지 민간요(私窯)인지도 구분해 볼 필요도 있다. 기와의 생산과정에서부터 소비과정에 이르는 구체적인 유통시스템의 메카니즘은 아직 정리되지 못하였다. 관요와 사요(민요), 사찰요의 운영방식, 중앙과 지방의 기와 생산과 유통관계망, 감독기관과 관리, 와장과 조역인의 행정체계, 가마와 도구의 진전과정, 요장에서의 소속 와공의 인원, 가마에서의 생산량과 흙과 땔감의 조달 문제 등은 계속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