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韓國語) 쓰기 교재(敎材)의 장르 지식(知識) 교육(敎育) 내용(內容) 분석(分析) -설명문(說明文)을 중심으로-

        권태현(權兌炫) ( Kwon Tae-hyu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1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쓰기 교재를 대상으로 장르 지식의 진술 방식과 수준을 설명문을 예로 들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쓰기 교재에 소개된 장르 지식의 진술 수준이 교재마다 매우 상이하였다. 효과적인 장르 지식 교육을 위해서는 실제 한국어 학습자들의 요구 분석을 통해 장르를 귀납적으로 정리하고 각 장르에서 요구되는 지식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다양한 하위 장르 및 인접 장르에 대한 소개, 올바른 장르 인식 견지의 필요성 등이 소개되지 않아 장르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인접, 하위장르를 통해 장르에 대한 거시적 관점을 갖도록 유도하고 장르에 대한 메타적 이해라고 할 수 있는 장르 인식에 대한 교육이 구체화될 필요가 있다. 셋째, 장르에 맞는 쓰기의 절차가 충분히 안내되어 있지 않아 실제 글을 쓰는 과정에서 참조점의 기능을 수행하기에 무리가 있었다. 따라서 실제 글을 쓰는 절차와 장르 지식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장르 글쓰기에 보다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교재가 구성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for three Korean writing textbooks, the method and level of genre knowledge were analyzed using explanatory text as an exampl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tatement of genre knowledge introduced in Korean writing textbooks was very different for each textbook. For effective genre knowled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ductively organize genres through analysis of actual Korean learners’ needs and systematize the knowledge required in each genre. Secon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promot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genre because the introduction of various sub-genres and adjacent genres, and the need for proper genre recognition were not introduc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various adjacent and sub-genre systems, and to materialize education on genre awareness, which is a meta-understanding of genre. Third, since the procedure of writing appropriate to the genre was not sufficiently guided, it was difficult to perform the function of guiding genre writing in the actual writing process. Therefore, it seems that the textbook should be constructed in a direction that can provide more practical help to the genre writing of Korean learners by combining the actual writing process and genre knowledge.

      • KCI등재

        複合動詞の意味分析と韓国語との対応関係

        權泰花(권태화, Kwon, Tea-Hwa) 일본어문학회 2009 일본어문학 Vol.44 No.-

        「動詞+動詞」型の複合動詞の中で複合動詞「~こむ」は代表的な語彙的複合動詞であり、意味的にも多様である。後項「~こむ」の意味は大きく分けて四つの意味用法が見られる。一つ目は、前項動詞の動作․様態に一定の方向性を添加する「内部への移動」の用法で、前項動詞は内部への移動の様相や方法を表している。二つ目は、前項動詞の状態や、動作の程度を深める「程度深化」の用法であり、この用法は、後項動詞「~こむ」が前項動詞の意味を強調する修飾語の意味で表している場合と、「すっかりそうする」という意味を表している場合がある。三つ目、「継続」の用法は動作に関するアスペクトの一つで、動作․作用がある一定の時間継続して行われることを表している。四つ目は、前項、または後項の意味が不明確な「熟合」の用法は前項․後項動詞として意味が分かりにくいから前․後の文脈の中で適切に理解することが必要である。 なお、複合動詞の後項「~こむ」を韓国語に置き換える場合は、「内部への移動」は「一対一」または「単独動詞」の形に、「程度深化」と「継続」は「修飾語+単独動詞」の形に、「熟合」は「漢字語」の形に置き換える場合が多い。このような漢字語は日本語では使わない。しかし、韓国語では漢字語で使われていることと、プラス․マイナスの意味が弱くなることが分かる。この点が日本語と韓国語の差であるといえよう。それに、同じ複合動詞でも「振り込む」のように文によって意味が異なる場合と、後項「~こむ」の意味が韓国語では表れない場合もあるので複合動詞「~こむ」は取り扱いが難しい。したがって、韓国語に置き換える場合、後項「~こむ」の意味を文の中で適切に理解することが必要である。

      • KCI등재

        신재생에너지 시장 확대를 위한 정책수단의 비교

        권태형(權泰亨) 한국정책과학학회 2014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8 No.2

        신재생에너지 지원을 위한 경제적 인센티브방식의 정책 중에서 발전차액지원제도는 가격정책, 공급의무화제도는 수량정책의 대표적 예로 볼 수 있다. 가격정책과와 수량정책은 각각의 정책적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서로의 정책적 특징을 보완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가격정책인 발전차액지원제도의 문제점은 기준가격 결정과정에서 정보비대칭성에 의해서 적정 수준의 가격 결정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신규투자 규모의 변화를 신호로 가격 조정을 하는 신축적가격조정제도 (Flexible degression)를 활용할 수 있다. 수량정책인 공급의무화제도의 문제점은 발전단계별 에너지원의 차별화된 지원이 어렵고 또 일부 성숙 기술에 과도한 이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시장위험성에 의해 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차별화된 지원을 가능하게 하고 일부기술에 발생하는 초과이윤을 줄이기 위해서는 가중치방식과 별도할당방식 제도를 활용하고 있다. 이는 차별적인 가격을 허용해주는 가격정책의 특성을 보완한 것이다. 또 시장위험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최고가격제도와 최저가격제도를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지원정책수단중에서 가격정책과 수량정책의 특성을 결합한 정책사례들을 국내외 사례들에 대해서 분석한다. Two popular policies for fostering electricity from renewable energy sources (RES-E) are FIT (feed-in tariffs) and 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FIT is based on price regulation, whereas RPS is a type of quantity regulation. There are various strength and weakness of each policy, which are well publicized in the literature. It may be desirable to mix two policies to maximize the strength of each policy. This paper reviews some of new policy designs of FIT and RPS which are based on policy mix of price and quantity regulation. The policy designs reviewed in this paper include caps and flexible degression of FIT and the banding, carve-outs and price ceilings/floors of RPS. In particular, the case of Korea, who have had a policy experience of FIT as well as of RPS in the past 10 years, is scrutinized in the paper.

      • KCI등재

        일본어 복합동사 사용실태 분석 및 교육방안 제안

        권태화(Kwon Tea Hwa,權泰花) 일본어문학회 2015 일본어문학 Vol.71 No.-

        The compound verbs have meanings as reciprocal actions of the preceding verbs and following verbs, which have deep meanings, also make the conciseness of sentences short and clear, therefore there's some misuses and mistranslations because there are many other meanings and expressions from the context in comparison with the meanings according to the dictionary. It is considered that we have to learn the meanings of each compound verb systematically because the dictionaries have the only 30% of such compound verbs. I could find that Korean-Japanese books such as Japanese grammar and writing, and expressional sentences, using in the courses of study, published in Korea, weren't dealt with the parts of compound verbs compared to text books, published in Japan. According as the result was 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s, Japanese learners don't have many opportunities of learning in the sentence structures and functions of meanings of compound verbs, they have a tendency of compositions in the forms of Independent verb , Modifier+Independent verb and ~て, de rather than the compound verbs. Therefore,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Japanese learners to practice the concisenesses of expressions by using the compound verbs in development of textbooks and sentence compositions to solve the problems. For this reason, it is considered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excellent sentences for the inexpressible, deeper meanings and neatness of expressions through the education of compound verbs, also that will do much for solving and reducing mistranslation in translating Japanese into Korean.

      • KCI등재

        판례평석논문 : 채권의 압류와 상계 -대법원 2012. 2. 16. 선고 2011다45521 전원합의체 판결-

        권태상 ( Taesang Kwon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法學論集 Vol.20 No.1

        이 글에서는 민법 제498조를 어떻게 해석하는 것이 타당한지, 즉 지급금지채권을 수동채권으로 하는 상계를 어느 범위에서 허용해야 하는지 검토하였다. 이는 상계의 담보적 기능의 보호와 압류의 실효성 확보라는 대립되는 이익이 충돌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결론적으로는 무제한설이 타당하다고 생각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변제기기준설에 의하면, 민법 제498조의 “지급을 금지하는 명령 후에 취득한 채권”이라는 부분을 “지급을 금지하는 명령 전에 취득하여 아직 변제기가 도래하지 않았으나 수동채권보다 변제기가 늦게 도래하는 채권”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해야한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문언의 가능한 범위를 넘어서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든다. 또한 유추에 의한 법형성으로 정당화될 만큼 위의 두 경우가 법적인 가치평가의 관점에서 동일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지도 의문이다. 민법 제498조를 변제기기 준설에 따라 해석하는 것은 다소 무리한 해석으로 보이며, 이는 오히려 입법론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변제기기준설은, 자동채권의 변제기가 수동채권의 변제기보다 늦게 도래하는 경우 제3채무자는 상계에 대한 기대를 가질 수 없거나 설령 그러한 기대를 하였더라도 보호 가치가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상계 제도 자체가 자동채권의 변제기와 수동채권의 변제기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주장은 상계 제도의 기본 전제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실제 거래계에서 당사자들이 변제기의 선후에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도 의문이며, 대상판결의 사안에서도 이러한 점이 나타난다. 그리고 무제한설을 취하더라도 상계적상 요건이 충족된 경우만 상계할 수 있으므로, 무제한설도 제3채무자의 상계에 대한 기대를 절대적으로 보호하는 것은 아니다. 결국 자동채권의 변제기가 수동채권의 변제기보다 늦게 도래하는 경우라도, 지급금지명령 이후 자동채권의 변제기가 도래하여 상계적상 요건이 충족되었다면 제3채무자의 상계를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한의 이익 상실 특약의 대외효를 긍정하면, 자동채권의 당초 변제기가 언제였는지에 상관없이 상계로써 압류채권자에게 대항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은행이 제3채무자인 경우는 항상 상계로써 압류채권자에게 대항할 수 있게 된다. 대법원은 기한의 이익 상실 특약의 대외효를 긍정하는데, 그 결과 변제기기준설을 취하면서도은행이 제3채무자인 경우는 기한의 이익 상실 특약에 의해 이러한 기준을 회피하는것을 허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변제기기준설은 제3채무자가 법률 지식이 부족하여 기한의 이익 상실 특약을 하지 않은 경우만 적용될 것인데, 이러한 결론이 바람직한지 의문이다. 또한 「채무자 회생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417조는 파산채권자의 채권의 변제기가 도래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계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는데, 이는 변제기기준설과 모순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a case in which an obligor under garnishment order pleaded the right to set-off. The majority opinion of the Supreme Court decided the right to set-off is excluded because obligor’s claim will be due after the seizure and later than the seized counter-claim. But dissenting opinion of the Supreme Court decided the obligor can set off his claim because he acquired that before the seizure. The majority opinion of the Supreme Court seems to exceed the text of Civil Code article 498. This article rules that an obligor under garnishment order may not set off his claim if he acquired the claim after garnishment order. The majority opinion can not be justified as analogy and seems to be close to legislative theory. A set-off defense itself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time for performance of one claim is different from that of counter-claim. So it can not be said that obligor’s expectation of set-off is worthless if his claim will be due after the seizure and later than the seized counter-claim. In general, contracting parties do not pay much attention to which claim becomes due earlier. If obligor’s claim becomes due after garnishment order, the obligor should be allowed to set off his claim. Furthermore, the Supreme Court recognized the validity of the forfeiture of benefit of time clause. According to this clause, an obligor can set off his claim regardless of it’s original time for performance. In addition to that, D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Act allows bankruptcy creditor to set off his claim even if that is not d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