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온 및 고온기 물관리방법이 수도생육에 미치는 영향

        李承弼,金相慶,李光錫,崔大雄,李相哲 韓國作物學會 1990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35 No.3

        수도주요생육시기별 고온처리(주간 : 37± 2℃ , 야간 : 27± 2℃ ) 및 고온시 물관리방법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고온장해대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본 시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주요생육시기별 고온처리의 영향은 생육시기에 관계없이 공시품종 모두 무처리에 비해 지상부 건물중이 감소하고 부근량이 증가하며 식물체내 전 질소함량이 감소하고 규산함량이 증가하였다. 2.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고온의 영향은 수당발화수는 감수분열기에, 임실비율 및 등숙율은 출수기에 그리고 천립중은 등숙기에 가장 저하되었으며 고온에 의한 수량감소정도는 출수기에 가장 컸으며 그 다음은 등숙기 >감수분열기 >유수형성기 >최고분염기 >분염기 순이었다. 3. 물관리방법에 따른 답면수온의 변화는 상시담수는 최적수온 보다 주간 1.1℃ , 야간 3.7℃ 높았으며 흘러대기 물관리방법에 의하여 최적수온(주간 : 31℃ , 야간 : 21℃ )으로의 조절이 가능하였으며 이에따라 초장이 단축되고 건물중 및 신근발생율이 증가하였다. 4. 주간흘러대기 야간담수 및 화야간흘러대기 물관리 방법은 상시담수구보다 수당발화수, 등숙율 및 천립중 등의 수량구성형질의 향상을 도모하여 4-8%의 증수효과가 있었다.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high temperature and water managements on growth and yield of rice. Shoot dry weight and percent of fresh roots were decreased when rice plant was exposed to high temperature, and also high temperature treatment decreased yield components of rice through spikelet number at meiotic, filled grain ratio and percent of fertility at heading, and 1,000 grain weight at ripening stage. Nitragen content of the rice varities was decreased by high temperature treatment regardless different growth stage, although Si content increased. Grain yield of rice varieties significantly decreased due to high temperature when rice plants were treated at heading stage followed by ripening stage. meiotic, young panicle initiation, maximum tillering and tillering stage in order. Effect of the continual submerging on temperature increased by 1.1~circC at daytime and by 3.7~circC at nighttime, but flowing water irrigation which can maintain optimum temperature reduced plant height and increased dry weight and percent of fresh roots. Flowing water irrigation showed higher yield by 4-8% compared to continual submerging method through increment of yield components such as spikelet number, filled grain ratio and 1,000-grain weight.

      • KCI등재

        한국 야생더덕 수집종의 노지 재배시 생육 특성과 향기성분 조성

        李承弼,金相國,閔基君,趙知衡,崔富述,李相哲,金吉雄 韓國作物學會 1996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41 No.2

        한국산 야생더덕 수집종 자생지의 생육환경과 동위산소 패턴 및 향기성분 조성을 조사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야생더덕 군락지역은 표고 450∼800m에 걸쳐 자생하였고 표고 450m 이하와 800 m이상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다. 2. 야생더덕 자생지의 조도량은 1,970∼8,400 Lux로 노지 재배지인 안동의 약 8.3%에 불과한 약광상태였다. 3. 자생지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은 pH은 4.8∼6.4정도로 산성을 띠는 토양이 많았으며 유효인산함량은 9∼23ppm으로 매우 낮았고 유기물 함량은 4.0∼32.1%로 일반 밭 토양 2.8%보다 훨씬 높았다. 4. 자생지의 식생군락은 천남성, 곰취, 잔대, 쥐오줌풀 등의 초본류와 단풍나무, 생강나무, 조팝나무, 참나무 등의 목본류가 주로 생육하는 개엽수림하에서 자생하고 있었다. 5. 야생더덕 수집종의 안동 재배지에서 지상부 생육은 개화기가 8월 5일에서 8월 16일로 소백산더덕이 가장 빠른 개화특성을 보였고, 특히 자방수는 일월산 더덕이 평균 3.2개로 다른 지역수집종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종자수는 주왕산 더덕이 평균 121개로 가장 많은 경향을 보였다. 6. 야생더덕 수집종간의 단백질 밴드 및 동위효소 패턴은 뚜렷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동위효소인 peroxidase의 경우 잎 조직은 덕유산 더덕, 뿌리 조직은 학가산 더덕, 덕유산 더덕, 일본산 더덕의 차이가 다소 인정되었고, esterase의 경우 잎 조직에서는 가야산 더덕, 오대산 더덕, 청량산 더덕이 차이를 보였고, 뿌리조직에서는 덕유산 더덕에서 차이가 있었다. 7. 수집종간의 식물정유에 대한 수율은 평균 0.007%인 것에 비하여 덕유산 더덕이 0.009%로 가장 많이 추출되었고, 소백산 더덕을 비롯한 10개 지역의 더덕은 0.004∼0.007% 정도를 보였다. 8. 향기성분 조성에 있어서는 수집종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지리산 더덕에서는 식품분야에서 식용유지나 가공식품의 산패를 방지하는 등 장기보존용의 물질로 사용되는 저산화 물질인 BHT 성분이 동정되었고 주된 성분은 지방족 알콜류가 11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trans-2-hexanol, cis-3-hexanol, 1-hexanol등의 향기성분은 모든 수집종에서 높은피이크 면적(%)을 나타내어 금후 고방향성 더덕 품종육성을 위한 육종의 기초자료로 유망시되었다. The native ecological environment and aromatic constituents of Korean wild Codonopsis lanceolata and one Japanese strain were investigated to find Codonopsis lanceolata strains showing high aromatics, and to know regional differences among these strai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re were no remarkable differences among the Korean wild C. lanceolata strains in ecological environments. Recovery yield of essential oils was highest in Togyusan strain with 0.009%. Difference in protein band patterns among these strains was not recognized, and peroxidase and esterase pattern changes were appeared in different collected regions at the leaf and root tissues. Major aromatic constituents were 11 kinds of aliphatic alcohols such as trans-2-hexenal, 1-hexanol, cis-3-hexanol, and trans-2-hexanol. And Togyusan strain, Sobaeksan strain, and Kayasan strain have the highest aliphatic alcohols of plant essential oils. In particular, BHT(butylated hydroxytoluene), one of the antioxidants, was detected in Chirisan strains.

      • KCI등재

        차광과 유기물 시용이 더덕의 생육 및 향기성분에 미치는 영향

        李承弼,金相國,南明淑,崔富述,李相哲 韓國作物學會 1996 한국작물학회지 Vol.41 No.4

        본 연구는 자생지 야생더덕이 가지는 고방향성의 특성을 노지재배시 재배더덕에서도 고방향성을 갖는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차광과 유기물 시용량을 달리하여 시험하였는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차광조건에 따른 기상차이는 무차광구에 비해 차광(55%)에서 최고기온 6.1℃ , 최저기온 0.6℃ , 평균기온 3.4℃ 낮았고 지온도 3.4℃ 낮았으며 조도량도 무차광에 비해 44% 정도 적었다. 2. 더덕의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은 유기물 시용양이 많을수록 양호하였으나 그 효과는 차광(55%)에 비하여 무차광에서 현저하였다. 3. 더덕뿌리의 일반성분 조성에서 조단백질은 차광구에서 높았고 유기물 시용량이 많을수록 현저하게 높았으나 무차광구에서는 이와 반대로 유기물 시용량이 많을수록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조지방은 무차광 구에서 높았고 유기물 시용량이 많을수록 조성분은 상반되는 경향을 보였다 4. 무기성분중에서 다량원소인 K, Ca, Mg등은 차광구에 비해 무차광구에서 높았고, 유기물 시용량이 많을수록 현저하게 높았으나 미량원소는 차광조건과 유기물 시용량에 따른 조성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조사포닌 함량은 차광구에 비해 무차광구에서 높았으나 유기물 시용량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5.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차광구에 비해 무차광구에서 높았으며 유기물 시용량이 많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고 arginine이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6. 식물정유 성분의 수율변화는 차광 55%에 비하여 무차광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유기물 시용량이 많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향기성분은 총 44종이 동정되었는데 1-hexanol, cis-3-hexenol, trans-2-hexanal 등이 높은 조성을 보였고 무차광구에 비하여 차광구(55%)에서 높았으며 유기물 시용량이 많을수록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8. 종합적으로 볼 때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은 차광에 비해 무차광에서 양호하였으나 향기성분은 무차광에 비하여 차광에서 높았고 유기물 시용량간에도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방향성이 높아 고품질의 더덕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차광과 유기물 다량시용을 병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n increasing aromatic degrees by shading and organic matter application on Condonopsis lanceolata. The result were as followings : Fresh root wt. in shading 55 % treatment was increased about twices, whereas fresh root weight in non-shading was decreased. But growth of ground parts such as vine length, leaf width, and leaf number was promoted under non-shading treatment. Macroelements such as K, Ca, and Mg, were increased in non-shading and higher organic matter application. The components such as crude protein, fiber, and ash were increased in the shading 55% treatment compared with non-shading. In the sixteen amino acids, arginine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non-shading and organic matter 30M/T. Recovery yield of essential oil was 0.005% in non-shading. The highest was organic matter 30M/T in the non-shading as 0.007%. Major aromatic constituents were 11 kinds of aliphatic alcohols such as I-hexanol, cis-3-hexenol, and trans-2-hexanal. As a result, major aromatic degree was higher in shading 55%, also increased in the much organic matter application. It was considered to be applied dense shading 55% and much organic matters to produce Condonopsis lanceolata plants which have high aroma and good quality.

      • KCI등재

        벼 건답직파재배에서 파종기 이동에 따른 생육 및 수량

        金相慶,李承弼,李外鉉,李光錫,崔富述 韓國作物學會 1992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37 No.5

        경북내륙평야지의 수답 건답직파재배법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생태형이 다른 3품종을 공시하여, 6월 15일 기계이앙재배벼를 직파 파종기에 따른 생육 및 수량반응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후 출아까지 소요일수는 품종간 차이없이 32일(4월 25일 파종)-7일(6월 10일 파종)이 소요되었으며, 파종기가 지연될수록 단축되었고 m2 당 입모수는 파종기 및 품종간차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평균 121-154본 / m2 이었다. 2. 파종기가 지연될수록 간장 및 수장이 단축되고 등숙율이 저하하였으나 m2 당 수수, 수당영화수 및 천립중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3. 파종일출수까지 및 출아일출수까지의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금조벼 736.655℃ , 동해벼 856, 771℃ , 밀양 9005 886,801℃ 이었으며, 출아일출수까지의 유효적산온도로 추정한 품종별 출아한계기는 금조벼 6월 27일, 동해벼 6월 15일, 밀양 9005 6월 12일이었고 출수기는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지연되었다. 4. 품종별 수량은 조생종인 금조벼의 수량이 중·중만생종의 동해벼 및 밀양 9005 보다 낮았으며 동해벼는 6월 10일 파종에서도 기계이앙재배벼 보다 4% 정도 증수되어 직파적응성이 높았으며 공시품종 모두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청미 비율이 증가하였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critical seeding date in dry paddy field at southern plain area of Gyeongbug province, dry seeds of three different rice cultivars was sown April 25 to June 20 at 15 or 10-day intervals. The number of days from seeding to emergence decreased in late seeding date : from 32 days at April 25 to 7 days at June 10 sowing. The number of seedlings showed 121-154 plants per square meter were not much differed among the varieties and seeding dates. Culm length, panicle length and ripened grain ratio decreased in late seeding date, but number of panicles per square meter, 1,000 grain weight and spikelets number per panicle were similar among the seeding dates. The cumulative effective temperature(mean air temperature-15~circC ) from emergence to heading was very constant having 655~pm 9~circC in Keomhobyeo, 771~pm 9~circC in Donghaebyeo and 801~pm 3~circC in Milyang 95, respectively. Grain yield of Dong Haebyeo seeded in June 20 and Milyang 95 seeded in June 10 were much lower compared with other seeding dates and increased green kernel in late seeding date of Donghaebyeo and Milyang 95.

      • KCI등재

        ABA와 Kinetin 처리가 벼 발아중 NaCl 독성 경감에 미치는 효과

        金相國,李相哲,元鐘建,閔基君,李承弼,崔富述 韓國作物學會 1997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42 No.2

        본 연구는 염해의 독성(NaCl 1.3%) 경감을 위하여 식물생장조절제인 ABA와 kinetin에 벼 종자를 침종처리하여 벼 발아중 NaCl 독성에 대한 생육특성, 발아율, 전분, 당 및 유이 proline 등의 실험을 수행하였던 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형인 일품벼의 초장은 NaCl 1.3%에서 1.3cm로 ABA 103M와 ABA 105M 처리를 제외하면 모든 처리에서 초장이 비슷하였으나 ABA 104 M 처리에서 1.80cm로 오히려 kinetin 처리보다 생육이 촉진되는 결과를 보였다. 2. 통일형인 향미벼001의 경우 초장은 NaCl 1.3%가 0.68cm인 것보다 식물생장조 정제와 농도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었으나 kinetin 103M에서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다. 3. 염 독성에 따른 엽록소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식물생장조절제인 kinetin 처리구가 ABA 처리구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고 특히 kinetin 처리 농도에 따른 함량은 4개 품종 모두 kinetin 103M에서 높았다. 4. 전분과 당함량 변화는 일품벼의 경우 전분함량이 무처리가 NaCl 1.3% 처리보다 증가하였고 당함량은 전분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5. 유이 proline 함량은 일품벼의 경우 무처리에서는 생체 g당 2,220u mole이었으나 NaCl 1.3% 처리에서는 3.648u mole로 염해처리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ABA 103M 처리에서는 5.941u mole로 가장 높은 함량의 증가를 보였고 품종간 염해에 대한 유이 proline 함량은 일품벼, 향미벼001, 다산벼 및 고시히까리 순으로 일품벼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6. 위의 결과로 볼 때 품종에 대한 식물생장조절제인 작용은 다르게 나타났는데 전분증가는 반대로 당함량의 감소를 초래하였으며 유이 proline 함량은 식물생장조절제 처리와는 무관하게 일품벼에서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여 금후 염해에 대한 벼 생체내 반응의 유이 proline 물질대사와 NaCl에 따른 종자내의 삼투조절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an optimum concentration of plant growth regulators(ABA and kinetin) on reducing NaCl toxicity during germination in rice. Plant height of a japonica cultivar Ilpumbyeo in ABA 10-5 M was increased, while all treatments of kinetin had no clear effects on increasing the plant height. However, other rice cultivars showed slightly different reaction by PGRs compared with Ilpumbyeo. Germination rate of four rice cultivars was ranged from 53.1 to 58.2% in NaCl 1.3%. All treatments of kinetin accelerated germination rate of tested rice cultivars except Dasanbyeo compared with NaCl 1.3% treatment. The higher concentration of ABA and kinetin treatment induced the higher starch content, and while the lower concentration of two plant growth regulators induced the higher sugar content in all four rice cultivars. The free proline content of rice seedlings was highest in Ilpumbyeo among the tested cultivars under NaCl 1.3% treatment.

      • KCI등재

        Kinetin 침종처리가 벼 발아중 구리 독성 경감에 미치는 영향

        金相國,李相哲,閔基君,李承弼,崔富述 韓國作物學會 1996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41 No.4

        중금속가운데 필수 미량 원소인 동을 볍씨에 처리한 후 식물생장조정제인 kinetin을 침종 처리하여 발아중 동 독성에 대한 벼의 생육 특성, 붕소의 활성, 발아율 향상과 중금속 장해의 경감을 위하여 몇 가지 실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동독성 경감을 위한 농도별 klnetin처리에 따른 생육은 일품벼, 향미벼 001 모두 초장은 kinetin l03M 처리가 무처리와 동 60ppm 처리에 비해 생육이 양호하였고 뿌리의 생장도 우세하였다. 2. 엽록소 함량은 두 품종 모두 동 60ppm 처리보다 무처리가 높았으며, kinetln 처리에서는 kinetin l03M, kinetin l04 M, kinetin l05M의 처리 순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3. Kinetin처리농도에 대한 식물체 부위별 동의축적량은 kinetin의 농도가 낮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동 60ppm처리에서 동 함량은 일품벼는 잎에서 1,797n 종자에서 1,340ng이었고 향미벼 001에서는 잎과종자에서 동 함량이 각각 1,590ng, 1,260ng으로 일품벼가 더 높았다. 4. 동 60ppm처리에 따른 품종간 단백질 밴드의 패턴은 발아 후 3일째 두 품종 모두 35, 40kDa.부위에서 다소 약한 밴드가 보였으며 일품벼의 경우 발아후 kinetin l03M 처리에서 54.4 kDa에 새로운 단백질 밴드가 나타났다. 5. 동 처리에 따른 발아일수별 SOD활성도는 일품벼의 경우 무처리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동 60ppm처리에서 발아 후 3일째 1,299EU로 가장 높은 활성도를 보이다가 발아 후 5일째부터 점차 감소하였으며, 향미벼 001에서는 발아 후 3일째 동 60ppm 처리에서 1,260 EU의 활성도를 나타내다가 발아 후 5일 째부터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kinetin l03M 처리에서는 가장 낮은 활성을 보여 어느 정도 동 stress 경감의 효과가 인정되었다. 6. 유리 proline함량은 품종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SOD 활성과 마찬가지로 발아 후 3일 째 동 60ppm 처리에서 큰 차이를 보였지만, 발아일수가 경과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proper concentration of plant growth regulator, kinetin on alleviating copper toxicity for two rice cultivars of seed germin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 Soaking treatment of kinetin 10-3 M increased the germination rate of both cultivars, Ilpumbyeo and Hyangmibyeo 1 by 92% and 88% as compared with copper treatment (60ppm). But the soaking treatment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 kinetin was not recognized at the kinetin 10-4 M and 10-5 M. Chlorophyll content of both rices was higher than that of Hyangmibyeo 1. Copper content of Ilpumbyeo was higher in leaf than in seed part. At the 3 days after treatment of copper 60ppm, both cultivars of treatment of kinetin 1O-3M showed the somewhat thin bands at the 35 and 40kDa compared with others. A new protein band pattern was only appeared to kinetin 1O-3M at approximately 54.4kDa(M. W) at the 7 days after treatment of copper 60ppm in llpumbyeo cultivar, SOD activity of copper 60ppm treatment increased in 3DAT,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5 and 7DAT of two cultivars. Free proline contents of copper 60ppm treatment in llpumbyeo were remarkably increased about 4.996~mu M. In particular, free proline content of kinetin l0-3 M in Ilpumbyeo was 5.008~mu M in 3DAT. In case of Hwangmibyeo 1, free proline content of copper 60ppm was 5.825~mu M compared with an untreated control showing 2.34l~mu M. The effects of kinetin treatment were recognized to promote the root growth and germination rate under copper toxicity(60ppm) condition in both cultivars.

      • KCI등재

        전조 뿌리의 유리 아미노산과 정유 성분 조성

        金相國,權泰龍,閔基君,李承弼,崔富述,李相哲 韓國作物學會 1996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41 No.5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전조의 근에 대한 조성분, 유리 아미노산, 향기성분 등의 분석을 통하여 향료작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는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조 뿌리의 조성분가운데 조단백질은 7.69%, 조지방 1.74%, 조섬유 2.44%, 그리고 조회분은 3.76% 였으며 엑스 함량은 27.68%로 나타났다. 2. 유리 아미노산 조성 및 함량에서 종류는 총 16종이었으며 아미노산의 함량에 따른 순위는 phenylalanine>tyrosine>arginine>alanine>glutamic acid>aspartic acid>lysine>isoleucine>proline>glycine>histidine>thereonine>leucine>methionine>valine, serine이었고 유리 아미노산 함량 중 가장 높은 아미노산은 phenylalanlne으로 6.38 mg이었다. 3. 전조의 뿌리에 대한 향기성분은 α -pinene, d-1imonene 등의 mono terpene류가 11종이었고 methyl eugenol 등의 phenyl propanoid류가 3종, 기타 8종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식물정유의 수율은 0.58%였다. 4. 종합적으로 볼 때, 한국산 전조에 대한 향료작물로서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금후 향기성분의 수율을 높이기 위한 재배법 연구의 일환으로 차광, 재배거리, 시비량 등의 시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compositions of proximate components, free amino acid, and essential oils from root of Anthriscus sylvestylis. Proximate component contents were 7.69% for protein, 1.74% for fat, 2.44% for fiber, and 3.76% for ash. Extract content was 27.68% in fresh root. The compositions of free amino acids consisted 16 kinds. Phenylalanine content was the highest in composition of free amino acids. The essential oils of the root of Anthriscus sylvestylis was examined. α -pinene, campreol, ,β -pinene, sabinene, myrcene, phellandrene, α -terpinolene, d-limone, ~gamma -terpinene, p-cymene, α -terpinolene, carboxaldehyde, 3-cyc1ohexen-l-carboxaldehyde, 2-nonenal, isobornyl acetate, 4-terpineol, β -bisabolene, cis-piperitol, p-cymen-8-ol, BHT, methyl eugenol and 2-methoxy-4-vinyl-phenol were identified from the diethylether layers. Recovery yield of essential oils of Anthriscus sylvestylis of root was 0.58%. As a result, it was considered that the plant is worthy of cultivating as spice and medicinal crops.

      • KCI등재

        마(Dioscorea batatas Decne)꽃의 방향성분 조성

        金相國,姜東均,李相哲,閔基君,李承弼,鄭相煥 韓國作物學會 1997 한국작물학회지 Vol.42 No.6

        본 연구는 한국산 마의 괴근 형태로 분류되는 장마와 단마를 개화기에 꽃의 방향 성분과 정유수율을 비교조사하여 향료로서의 기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마꽃의 방향 성분은 총 26종이 확인되었으며 지방족 알콜류가 다량분포하여 향료 첨가물이나 향수의 기본재료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단마는 장마보다 1,2-butyleneglycol은 11배, phenylalcohol은 12배, caproic acid는 28배, cis-3-methylsalicylate는 8배, cinnamic alcohol은 25배, α -hexyl cinnamic acid는 13배, laulic acid는 6배 높은 경향을 보였다. 3. 마꽃 방향 성분의 수율은 0.7%로서 그 이용 가능성이 크며 단마가 0.983%, 장마가 0.417%로 단마가 약 2.4배 수율이 높았다. 4. 마꽃의 방향 성분 조성과 정유성분 수율을 감안할 때 마의 부산물인 마꽃을 향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compositions and recovery yield of aromatic compounds of flower in Chinese yam (Dioscorea batatas Decne). Total 26 volatile aromatic compounds were identified and peak area percentage of aliphatic alcohol in Dan-ma was higher than in Jang-ma. Major volatile aromatic compounds analyzed by GC/MS were 1,2-butyleneglycol, phenylalcohol, caproic acid, cinnamic alcohol, and palmitic acid. Recovery yield of essential oils of Dan-ma was higher than in Jang-ma as 0.983%.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Chinese yam was worthy of cultivating as perfume and medicinal cro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