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원도 인제군 원대리 자연습지의 식물상

        박완근,유석인,박광서 강원대학교 삼림과학연구소 2000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16 No.-

        강원도 인제군 남면 원대리 자연습지를 대상으로 1999년 4월부터 동년 10월까지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71과 175속 228종 1아종 33변종 3품종, 총 265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가운데 갈대, 달뿌리풀, 삿갓사초, 골풀, 구릿대, 버드나무 등의 수생 및 관속식물은 19과 24속 31종 5변종 1품종, 총 37종류가 분포하고 있었다. 본 조사지역내 식생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식물사회학적조사를 실시한 결과 갈대군락, 갯버들-횐물봉선아군락, 조팝나무-사철쑥아군락으로 분류되었다. This study was to estabilish the composition and vegetation of vascular plants on natural mashes in Wondae-ri(710m; 37˚ 58' 30" N, 128˚ 12' 15" E). This work was conducted from April to October, 1999. Vascular plants were composed of 71 families, 175 genera, 228 species, 1 subspecies, 33 varieties and 3 formae, totaling 265 taxa. Among the investigated vascular plants, 19 families, 24 genera, 31 species, 5 varieties 1 formae, totaling 37 taxa(13.9%) were hydrophytes and hygrophytes.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 community and 2 subcommunities ; A.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A-1.Salix gracilistyla-Impatiens noli-tangere subcommunity A-2.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Artemisia capillaries subcommunity Key words : natural mashes, hydrophytes and hygrophytes

      • 반도체 폐가스로부터 SF<sub>6</sub> 분리 농축시스템

        박완근,이민우,가명진,장원철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1

        SF6 기체는 etching 또는 cleaning 가스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가스는 물리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높은 지구온난화지수 (CO<sub>2</sub>의 23,900배)로 알려져 있으며, 6대 온실기체로 지정되어 있다. SF<sub>6</sub>의 분리에 다양한 기술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타 기술에 비해 분리막을 이용한 기체분리 공정이 경쟁력이 우수하다. 선행연구로 Polysulfone 재질의 중공사 고분자 분리막을 통한 SF6 분리 공정의 공정변수(Stage cut, 공급기체 조성) 변화에 따른 최적화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의 연장선으로 본 연구에서 대용량 중공사 분리막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이의 성능평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 폴리설폰 분리막을 이용한 NF3, N2, O2 분리 특성 연구

        박완근,이민우,가명진,장원철 한국막학회 2015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5 No.05

        NF3 기체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cleaning 또는 etching 가스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6대 온실가스에 속하지는 않으나 차기 온실가스로 지구온난화지 수도 이산화 탄소에 비해 17200배 높다. 최근 NF3를 분리 농축 회수에 있어서 고분자 분리막, 복합막등의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실제 공정설계, 공정 최적화를 이루기 위한 분리특성의 연구가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NF3와 N2, O2의 온도와 압력에 따른 투과특성을 확인하고, 혼합기체에서의 주입농도와 Stage-cut에 따른 농축농도와 회수율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KCI등재

        강원대학교 연습림내 연엽산(蓮葉山)과 구절산지역(九節山地域)의 식물상(植物相)에 관한 연구(硏究)

        박완근,염규진,박선정,Park, Wan-Geun,Yeom, Kyu-Jin,Park, Sun-Jung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1997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13 No.-

        강원대학교 연습림의 연엽산과 구절산 지역을 대상으로 식물상(植物相)을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자원(管束植物資源)은 98과(科) 345속(屬) 551종(種) 2아종(亞種) 88변종(變種) 10품종(品種) 2잡종(雜種)으로 총 653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소산식물(所産植物)중 한국특산식물(韓國特産植物)은 20종류, 그리고 희귀(稀貴) 및 멸종위기식물(滅種危機植物)은 18종류가 분포하였으며, 자연생태계(自然生態系)에 예측할 수 없는 영향을 초래하는 귀화식물(歸化植物)은 27종류가 출현하였다. 귀화식물 종류수에 의한 자연파괴도(自然破壞度)(UI)는 약 12.4%로 나타났다. 또한 소산식물(所産植物)들의 유용도(有用度)는 식용자원(食用資源)(42.1%), 약용자원(藥用資源)(33.8%), 목초용(牧草用)(28.8%), 관상자원(觀賞資源)(11.8%), 목재자원(木材資源)(5.2%), 섬유자원(纖維資源)(1.4%), 공업용(工業用)(1.1%)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아직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자원도 140종류(21.4%)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flora of resources vascular plants in the Experiment Forests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Resources vascular plants were composed of 98 families, 345 genera, 551 species, 2 subspecies, 88 varieties, 10 formae, and 2 hybrid, totaling 653 taxa. Among the investigated resources plants, Korean endemic plants and rare or endangered plants were distributed 20 taxa and 18 taxa, respectively. There were 27 taxa of Naturalized plants in this study area, which would have unpredictable influence on the natural ecosystem. The urbanized index(UI) of all over the investigated areas was about 12.4%. Useful resources plants were composed edible source(42.1%), medicinal source(33.8%), pasture source(28.8%), ornamental source(11.8%), timber source(5.2%), fiber source(1.4%), industrial source(1.1%). Vascular plants of unknown use were 140 taxa(21.4%).

      • KCI등재

        만덕봉 일대의 자원식물상과 식생

        박완근 한국자원식물학회 1997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0 No.1

        만덕봉(1,035.3m)은 동경 $128^{\circ}$54'24', 북위 $37^{\circ}$36'53'에 위치하며 행정적으로는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왕산면 및 옥계면의 경계에 자리하는 산으로 본 지역에 분포하는 유용자원식물상 및 식생에 관한 조사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유용자원식물상을 파악 하기 위해 1996년 4월과 9월 사이에 수집하여 분류 동정하였다. 또한 자원식물의 유용도는 각 식물의 용도에 따라 8개 항목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식생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Z-M방식에 의한 식물사회학적조사를 실시하여 군락표를 작성하였다. 본 지역에 자생하는 양치식물 이상의 관속식물자원은 97과 298속 406종 70변종 8품종으로, 총 484분류군이 분포하며,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자원의 11.9%에 해당하고 양치식물계수(Pte-Q)는 1.1이었다. 자원식물의 유용도는 식용자원이 46.7%, 목초용자원이 37.2%, 약용자원이 3.5.5%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용도를 알지 못하는 자원도 16.3%로 분포하였다. 한국특산식물은 키버들, 둥근왕팽나무, 누른종덩굴, 요강나물, 할미밀망, 털개살구, 둥근왕팽나무, 누른종덩굴, 요강나물, 할미밀망, 털개살구, 털조록싸리, 노랑갈퀴, 사울제비꽃, 지리강활, 참배암차즈기, 오동나무(재), 청괴불나무, 병꽃나무, 고려엉겅퀴 등 15분류군으로 우리나라 특산식물 570종류의 2.6%에 해당한다. 그 외 회귀식물로는 고비고사리, 애기쐐기풀, 솔나리, 연영초, 꽃창포, 암대극 등이 분포한다. 한석산의 식생은 1군목, 1군단, 1아군단, 4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신갈나무-철쭉군목(꽤앵둥개-Quercetalia mongolicae Kim 1990) 신갈나무-생강나무군단(Lindero-Quercion mongolicae Kim 1990) A. 신갈나무 전형하위군락(Typical community) B.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Quercus variabilis-Quercus mongolica Community) 졸참나무-작살나무아군단 (Callicarpo-Quercenion serratae Kim 1990) C. 소나무-산거울군락 (Carex humilis v. nana - Pinus densiflora Community) D. 가래나무-가는잎쐐기풀군락 (Juglans mandshurica - Urtica angustifolia Community)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vegetation of resources vascular plants of Mt. Mandukbong(1,035.3 m; $128^{\circ}$54'24'E, $37^{\circ}$36'53'N). This work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period of 1996. Resources vascular plants were composed of 97 families, 298 genera, 406 species, 70 varieties and 8 formae, Totaling 484 taxa. Among the investigated resources plants. 15 taxa(2.6%) were Korean endemic species. The forest were comparatively well conservated by Pteridophyta calculation(Pte-Q), 1.1 Useful of resources plants were Edible source(46.7%), Pasture source(37.2%), Medicinal source(35.5%), Ornamental source(12.1%)and Timber source(5.9%) respectively. The forest vegetion was classified into 1 order, 1 alliances, 1 suballiances and 4 communities; Rhododendro - Quercetalia mongolicae Kim 1990 Lindero - Quercion mongolicae Kim 1990 A. Typical community B. Quercus variablilis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Callicarpo - Quercenion serratae Kim 1990 C. Carex humilis v. nana - Pinus densiflora Community D. Juglans mandshurica - Urtica angustifloia community

      • KCI등재

        강원도 지역 소나무 천연집단의 변이에 관한 연구 : 침엽과 구과의 형태적 특성을 중심으로

        李在善,宋定鎬,韓相燮,朴完根 江原大學校 森林科學硏究所 1999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15 No.-

        要 約 소나무 천연집단의 변이를 연구하기 위해 1994년 9月 25∼27日과 10月 1∼3日 강원도 지역의 13개 소나무 천연집단 [춘천시 효자동(plot 1), 인제군 신맘면(plot 2), 인제군 북면(plot 3), 양양군 서면 A(plot 4), 양양군 서면B(plot 5), 양양군 손양면(plot 6), 고성군 토성면(plot 7), 원주시 신림면(plot 8), 횡성군 둔내면(plot 9), 평창군 진부면(plot 10), 강릉시 소금강 입구(plot 11), 울진군 서면(plot 12), 평창군 미탄면(plot 13)]를 선발하고 각 집단 별로 29개체를 대상으로 하여 침엽 및 구과의 형태적 특성에 대한 변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침엽의 특성에서 침엽의 길이는 69.3∼91.9㎜익, 0.5㎝당 거치수는 25.1㎝28.7개 이고, 기공열의 수는 배축면에서 4.1∼6.2줄이고 향축면에서 2.9∼4.6줄이었으며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에 모두 고도의 유의성이 나타났다. 2. 구과의 특성에서 구과의 길이는 31.1∼43.7㎜이고, 직경은 20.0∼24.1㎜이었으며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에 모두 고도의 유의성이 나타났다. 3. 배축면과 향축면의 기공열의 수는 정의 상관을 보였고, 구과의 길이와 직경간에도 높은 정의 상관에 있었으며, 거치수는 각 특성들과 부의 상관을 보였다. 4. 해안으로부터의 거리는 침엽의 길이와 거치수와 정의 상관을 보였고, 두 면의 기공열의 수 및 구과 길이와는 부의 상관을 나타낸다. 해발고는 거치수와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두 면의 기공열의 수 및 구과 길이와는 부의 상관을 나타냈고, 침엽의 길이 및 구과 직경과는 어떠한 경향도 인정되지 않았다. 5. 평균연결법에 의한 군집 분석 결과, 거리지수 1.0에서 2개의 무리로 나누는 것이 가능하였는데, Ⅰ 그룹에 plot 1, 8, 12와 13이 속하였고 Ⅱ 그룹에 plot 2, 3, 5, 6, 7, 9, 10과 11이 속하였다. 거리지수 0.8에서는 Ⅱ 그룹을 다시 plot 2, 3, 9와 11의 군집과 plot 4, 5, 6, 7과 10의 군집으로 나눌 수 있었다. ABSTRACT For the study on the vari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natural populations, 13 stands were selected in Kangwondo region in 1994. They were located in Hyoja-Dong, Chunchon-Si [plot 1]; Sinnam-Myun, Inje-Gun [plot 2]; Buk-Myun, Inje-Gun [plot 3]; Seo-Myun, yangyang-Gun [plot 4 and 5]; Sonyang-Myun, Yangyang-Gun [plot 6]; Toseong-Myun, Goesong-Gun [plot 7]; Synrim-Myun, Wonju-Si [plot 8]; Dunnae-Myun, Hoengsong-Gun [plot 9]; Jinbu-Myun, Pyungchang-Gun [plot 10]; Sogumgang. Kangneung-Si [plot 11]; Seo-Myun, Ulchin-Gun [plot 12]; and mitan-Myun, Pyungchang-Gun [plot 13];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needles and cones were investigated for twenty individual trees from each popula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mong needle characteristics, length, the number of serration, and the number of stoma row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populations and between individuals within a population. They were 69.3∼91.9㎜, 25.1∼28.7 per 0.5㎝, and 4.1∼6.2 rows for abaxial side and 2.9∼4.6 rows for adaxial side, respectively. 2. Among cone characters surveyed, length and diameter were significantly diffenent among populations and between individuals within a population. They were 31.1∼43.7㎜ and 20.0∼24.1㎜, respectively. 3. A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number of stoma row of abaxial side and that of adaxial side, and between length and diameter of cone, But the number of serr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ll traits. 4. The distance from seasho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eedle length and the number of serration,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stoma row and cone length. However, the altitud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serration,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stoma row and cone length. 5. Cluster analysis using average linkage method for needle and cone characteristics showed two groups to Eulcliean distance 1.0. They were group Ⅰ consisting of plots 1, 8, 12, and 13 and group 11 of plots 2, 3, 4, 5, 6, 7, 9, 10, and 11. However, group 11 was divided again to Euclidean distance 0.8, that is a group including plots 2, 3, 9, and 11 and the other g개up comprising plots 4, 5, 6, 7, and 1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