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음양조화원리(陰陽調和原理)를 통한 동서의학(東西醫學) 회통(會通)

        박기수,이시형,Park, Ki-Soo,Lee, Si-Hyeong 대한한의정보학회 2012 大韓韓醫情報學會誌 Vol.18 No.1

        The topic of this study is to ask and answer about 'What matters most in medicine'.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paradigm which guarantee 'the original principles of science in medicine' and 'the safety of human life in medicine'. The organized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harmony of nature (heaven, earth and human)' is the base of medicine. Because medicine control life directly and all life is 'the son of nature'. 2. 'The harmony of Eum and Yang' is the essential power of universe and the key of metabolism of all life including human, animals and plants. Because 'the nature of universe' and all 'Life field' is 'electro-magnetic field'. 3. The Convergence of Oriental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orients 'the harmony of Eum and Yang'.

      • 동영상 이해를 위한 Optical Flow 추출에 관한 연구

        박기수 고신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6 고신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논문집 Vol.13 No.-

        Optical Flow는 3차원 물체의 구조를 해석하거나 움직이는 물체를 인식하는 데 중요한 정보원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한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Optical Flow를 추정하는 것이다. Optical Flow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Gradient Method가 제안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Virtual Gradient Method(VGM)를 제안한다. 이 방법은 대상 물체의 경계선 부분에 대해 주목하는 화소와 그 이웃화소에 가상의 농도값을 주어 Optical Flow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실험 결과를 통해 이 논문의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The Optical Flow provides an important information on analyzing the three dimensional structure and the movement of the moving obje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Optical Flow by using local information. The Gradient Method has been developed to extract the optical flow. This paper use the Virtual Gradient Method to estimate the Optical Flow to the line pattem obtained from the edge of assumption that neighbors of pixels have virtual gray levels. The validity of this approach is shown by experimental results.

      • 컬러 정보와 부분 템플릿을 이용한 얼굴영역검출

        박기수 고신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7 고신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논문집 Vol.14 No.-

        얼굴영상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선 먼저 입력영상에서 얼굴영역과 얼굴을 구성하는 각 요소를 검출하고 얼굴의 회전각을 추정하는 전처리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얼굴의 크기와 머리회전,조명의 변화가 허용되고 피부색과 비슷한 배경이 얼굴에 병합되는 경우에도 얼굴과 요소들(눈,입)을 강건하게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변환된 HSV 컬러 좌표계상의 대역적 피부 색상정보와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피부 색상정보로 얼굴후보영역을 지정한 뒤, 같은 방법으로 얼굴후보영역 안에서 입술영역을 검출한다. 입술영역의 횡축 기울기로 x축에 대한 회전각을 추정한 후, 얼굴의 모양정보와 요소의 위치정보를 이용해 얼굴임을 확정한다. 다음으로 양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부분 템플릿매칭을 통해 눈을 검출한 뒤, 얼굴의 넓이를 참조한 3차원 공간상에서의 눈의 위치를 계산하여 y축 회전각을 추정한다. 다양한 얼굴영상에 대해 실험을 실시한 결과, 본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 시간 구속조건을 고려한 Optical Flow추정

        박기수 고신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2 고신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논문집 Vol.11 No.-

        시간영역의 동영상에서 얻어지는 Optical Flow는 운동물체의 3차원구조나 운동 파라미터를 추정하는데 중요한 정보가 된다. 본 논문은 Optical Flow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한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종래, Gradient Method에 의한 Optical Flow 추정 방법에서는 연속적인 두 frame의 영상 휘도값에 대한 시공간적 변화에 주목하여 Optical Flow를 구했다. 본 논문은 시간영역 상에서 연속성을 가지는 Optical Flow의 특성에 주목하여, 칼만 필터를 Gradient Method에 도입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다수의 연속영상에 대하여 Optical Flow의 시간적 상태변화 값을 측정하고, 그 정보를 Optical Flow의 추정값에 적용하므로서 정밀도 높은 Optical Flow를 구할 수 있다. 실험을 통해 제안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 Zygotic Expression of c-myc Gene in Mouse Early Embryos: Functional Role of c-myc Promoter

        박기수,강해묵,심찬섭,선웅,김재만,이영기,김경진,Park, Ki-Soo,Kang, Hae-Mook,Shim, Chan-seob,Sun, Woong,Kim, Jae-man,Lee, Young-Ki,Kim, Kyung-jin The Korean Society for Integrative Biology 1995 동물학회지 Vol.38 No.4

        c-myc proto-oncogene은 여러 세포들의 분화와 형질전화에 뿐만 아니라 정상세포의 분열조절에도 관여한다고 알려져왔다. 특히 생쥐의 초기배아에서 c-myc mRNA가 발현되고 antisense c-myc oligomer의 미세주입에 의해 배발생이 억제된다는 연구결과는 c-myc이 초기배아의 발생 및 분열에 관여하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최근까지 초기배아에 존재하는 c-myc promoter의 기능적 활성화에 관한 연구는 미진하였다. 이를 위하여, c-myc promoter와 대장균의 lacZ 유전자를 결합시킨 두 종류의 vector(pcmyc-Gall, pcmyc-Ga12)를 만들어 수정란의 전핵에 미세주입한 후, 배 발생에 따른 c-myc promoter의 활성화를 lacZ 유전자의 산물인 $\beta$-galactosidase 에 의한 X-gal 염색으로 조사하였다. 미세주입된 초기 배아는 2세포기 배아를 포함하는 여러 발생단계에서 $\beta$-galactosidase 의 활성을 보였다. 이는 c-myc 유전자가 배아의 게놈유전자로부터 발현되며, 또한 궁극적으로 초기 배아의 발생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c-myc proto-oncogene is Involved In the control of normal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many cell lineages. Although it has heen suggested that c-myc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mammalian early development, it Is unclear whether the embryonic c-myc mRNA is originated from zygotic gene expression or stored maternal message. Thus, we have construded expression vectors, In which the 5, flanking sequences including c-myc promoter region and a large non-coding exon I are fused 'sith E. coli lacZ gene that encedes $\beta$-galactosldase as a reporter. As c-myc exon I contains a modulatory sequence, we designed t, vo types of vectors (pcmyc.Gall and pcmyc-Ga12) to examine the role of exon I in c-myc expression. The former contains the complete exon I and the later has a deletion in 40 bp of modulator sequence located In the exon I of c-myc These vectors were microInjected into fertilized one-cell embryos and $\beta$-galactosidase activity was examined by X-gal staining during early embryogenesis. $\beta$-galactosidase activity derived from c-myc promoter was decreased at two-cell stage. The expression level directed by pcmyc- Ga12 was similar to that of pcmyc-Gal1, indicating that the medulatory sequence in exon I may not be Involved at least In the regulation of embryonic c-myc expression. In summary,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the c-myc promoter is functional at the early stage embryo, and the regulation of c-myc expression is under the control of "zygotic" clock of preimplantation mouse embryos.e embryo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