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 분쟁의 해결을 위한 유럽의 ODR 법제의 발전과 현황

        주강원(Kangwon Joo)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7 江原法學 Vol.50 No.-

        국경간 전자상거래에 있어 ODR은 소비자의 피해를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구제할 수 있는 효율적인 해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유럽연합은 2013년 입법을 통해 소비자 분쟁의 대체적 분쟁 해결에 관한 지침(이하 EU ADR 지침)과 소비자 온라인 분쟁해결에 관한 규정(이하 EU ODR 규정)을 채택하였고 이 입법의 구체적인 실행의 결과물로서 2016년 범유럽적인 ADR 포털인 EU ODR 플랫폼을 창설하여 소비자와 사업자에게 서비스를 개시하였다. EU ODR 플랫폼은 소비자들의 ADR 절차에의 접근가능성을 제고하여 소액분쟁에서의 피해 구제 가능성을 높혔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이와 관련하여 이 논문은 먼저 소비자 보호를 위한 유럽연합 차원의 입법의 연혁을 살피고, 소비자 보호를 위해 ADR과 ODR이 대안으로 제시되게 된 배경에 대하여 검토한다. 이후 EU ADR 지침과 EU ODR 규정의 주요한 내용에 대해 간략히 살피고, 특히 유럽내에서 영업을 영위하는 기업이 EU ODR 규정의 적용을 받는 유럽 연합 회원국 내에 설립된 사업자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하여 분석한다. 이와 관련하여 기업이 유럽 내에 물리적 시설을 갖추지 않고 웹사이트를 통해 소비자와 계약을 체결하고 물품 또는 서비스를 공급할 경우 유럽 연합 회원국 내에 설립된 경우로 해석할 수 있는지가 주된 논점이 된다. 이후 EU ODR 플랫폼의 현황과 전망에 대하여 개괄하고 이와 유사한 시스템의 운영이 우리나라에서의 소액 소비자 분쟁에 있어서 어떠한 시사점을 가질 것인지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Online Dispute Resolution(hereinafter ODR) has long been considered as an effective option to resolve consumer disputes in a B2C cross-border transcations in a faster and more economical way. Recently European Union adopted two important legislation, one is Directive on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for consumer disputes(hereinafter EU ADR Directive) and the other is Regulation on online dispute resolution for consumer disputes(hereinafter EU ODR Regulation) in 2013 and implemented the mandates of the legislations by launching the EU ODR Platform in February 2016, which is a pan european ADR portal available to all consumers and traders in Europe. The EU ODR Platform is a meaningful step forward in that it increases consumers’ access to justice and enhances the possibility of redressing consumers’ damages in low value high volume disputes. On the recent changes in European regulatory framework on ODR, this paper will first take a look at the legislative history in EU to protect consumers in European single market and the reason why the ADR and ODR were presented as the optimal alternatives in consumer disputes. Then the provisions of EU ADR Directive and EU ODR Regulation will be briefly analyzed with the focu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definition of “trader established in the Union” when an entity conducts business via website accessible in Europe without physical presence such as branch, agency or an office. Lastly, the prospect of EU ODR Platform and its implication in consumer dispute resolution system in Korea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리튬이온 배터리의 정확한 잔량 측정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 방향 제안

        주강,이윤철,하주환,김광선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2016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Vol.15 No.2

        More efficient use of the battery pack is dependent upon how to measure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accurately. Among various measurement methods, the basic correction measurement method has still been a hot research topic area to reduce the errors. In this paper,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methods have been investigated and the research direction for measuring more accurate remaining capacity has been suggested by applying the numerical simulations in the future.

      • KCI등재

        중국 고속철도 산업의 선발국 추월에 관한 연구

        주강강(Zhou Ganggang),박재찬(JaeChan Park)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2018 중국과 중국학 Vol.- No.35

        2008년에 고속철도를 개통한 중국은 고속철도 선발국인 일본, 프랑스, 독일과 동시에 합작을 추진하여 고속전철을 개통하였고, 2011년에는 독자모델 CRH380을 개발하여 운행을 시작하였다. 일본, 프랑스, 독일이 지배하고 있던 세계 고속철도 시장은 후발국 중국의 등장으로 인해 기존 구도가 완전히 바뀌었다. 즉, 중국은 선발국 모두를 뛰어 넘어 터키, 사우디아라비아, 모로코, 헝가리-세르비아, 라오스, 이란, 인도네시아, 태국에 고속철도를 수출하였고, 고속철도 세계 시장점유율은 철도차량 기준으로 69%로 세계 1위를 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이 고속철도 선발국들을 제치고 세계 1위가 될 수 있었던 원인을 제품경쟁력, 수출금융, 중국정부의 대외정책의 3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해보았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효과적으로 결합된 성과가 수출로 나타났다고 판단하였다. 아울러, 중국의 글로벌 추월 성공요인을 한국의 고속철도 수출경쟁력분석에 활용하여, 한국의 문제점과 미래 대응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고속철도 후발국 중 유일하게 선발국 추격과 추월에 성공한 중국의 글로벌 전략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고, 한국과 같은 다른 후발국의 고속철도가 해외에 진출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들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2008, the first high-speed railway of China was opened between Beijing and Tianjin. As a late mover in the world high-speed railway industry, China made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first movers of Japan’s Kawasaki heavy industries, France’s Alstom, and Germany’s Siemens Group at the same time. In 2011, China introduced the first independent model of CRH380 series and went global. China joined the top rank of the world high-speed railway market in 2017, and exported its own model to 8 countries - Turkey, Saudi Arabia, Morocco, Hungary-Serbia, Laos, Iran, Indonesia, and Thailand.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China could stand in the first rank in the world high-speed railway market. This study founded three factors of China’s success. The first is competitive advantages of China’s HSR products, Second is export financing that were very helpful to export to undeveloped countries. Third is Chinese government’s foreign policies such as “One Belt and One Road” policy took a promotive role in entering foreign HSR market. In addition, we used the success factors of China’s global overtaking to analyze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the high - speed railway in Korea, and found out the problems and future countermeasures in Korea.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understand the global strategy of China which succeeded in pursuing and overtaking the first country of the high-speed railway, and suggests the conditions necessary for the high-speed railway of other late countries such as Korea to go abroad.

      • KCI등재

        상법상 준법통제제도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주강원 ( Kang Won Joo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홍익법학 Vol.15 No.1

        This paper purports to address the desirable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the standard of compliance system and the implementation of compliance officer. For this purpose operation of Compliance and Ethics Program, which is mandated by Federal Sentencing Guidelines on condition of probation or mitigation of punishment, will be analyzed. In addition compliance standards provided in Corporate Integrity Agreement, which is offered to health care providers by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will be compared to those prescribed in Federal Sentencing Guidelines, and current trend that requires corporations to distinguish compliance function from general counsel will be discussed. On this ground the status and authority of compliance officer according to Korean Commercial Code will be examined and the plausibility and necessity of separation of compliance function and legal counseling function will be discussed. In this light compliance officer`s obligation of periodical report and frequent access to board should be ensured. Finally decisions made in Delaware courts on responsibilities and liabilities of directors regarding compliance control and maintenance of compliance system will be analyzed. In re Caremark case, the leading case in acknowledging director`s oversight duty, will be compared to Stone v. Ritter case, which provided stricter standards in accepting director`s liability arising from failing to discharging duty to monitor, and recent cases decided in line with Stone case will b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