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國家間 Technology 收斂에 대한 比較分析 : 우리나라 주요 교역국을 中心으로

        曺相燮,姜信元 한국국제경제학회 2004 국제경제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미국 그리고 우리나라와 일본 그리고 우리나라와 독일간에 Technology수렴가능성에 대하여 Caner and Hansen(2001)의 비선형 단위근검정기법(TAR)을 이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분석대상국가의 30년 동안 장기적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와 주요 교역국간에 Technology 수렴가능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기존 ADF 단위근 검증방법론에 의한 Technology수렴가능성은 기각되었다. 둘째, Technology 수렴관계의 비선형성을 검증한 결과, 우리나라와 주요 교역국인 미국, 일본 그리고 독일 사이에 비선형 Technology수렴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Technology수렴관계가 성립한 주요 교역국은 미국으로 확인되었으며, 우리나라와 미국간에 Technology수렴은 주료 1990년대 초반부터 후반인 1997년까지 이루어졌으나, 1998년 이후 두 국가간에 Technology이탈현상이 발견되었다. 우리나라와 일본 그리고 독일간에 비 선형관계에서 Technology 수렴현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or not technology convergence exists by applying the recent Caner and Hansen's Threshold AutoRegression methodology(TAR) to four main trading countries such as Korea, Japan, U.S. and German under a nonlinearity specifications. For the purpose of analysis, the stationarity of technology gap between Korea and the other country such as United States, Japan and German in the sectors of grand total over the 30-year period (1970~2000) has been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long-term relations. The empirical results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hree theses: ⑴ We could not accept the convergence hypothesis of technology gap in using ADF unit root test. ⑵ We, however, identify the nonlinearity relations in the technology gap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cluding the technology gap of our country to Japan and to German. ⑶ Lastly, under the nonlinearity specification for technology gap, we find the technology convergence between Korea and U.S. during early 90s to mid 90s in the grand total sectors but we are not able to find any evidence for the technology convergence between Korea and Japan as well as between Korea and German.

      • 신국제무역환경에서 신성장 기술정책방향

        조상섭,임명환,Cho, S.S.,Lim, M.H.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4 전자통신동향분석 Vol.19 No.2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한 기술정책방향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경제적 환경변화를 고려해야 한다. 첫째, 신기술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차세대성장산업을 창조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우리나라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신기술중심의 경제성장정책기조”이다. 둘째, 신무역질서에서 우리나라 경제를 안정화시켜야 하는 정책기조와, 더 나아가 세계경제발전에 기여하는 “세계경제질서에서 대한민국경제위상확보정책기조”이다. 본 논고에서는 신기술발전과 신무역질서라는 연관관계에서 어떤 신성장 기술정책방향이 바람직한 것인지 알아보자. 이 연관분석을 위하여 우리나라 주요 교역국가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신기술발전이 다른 무역대상국가에 어떤 경제적 영향을 미치며, 다른 주요 교역국가인 미국과 일본의 기술발전이 우리나라에 어떤 경제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단한 국제무역환경을 고려한 기술정책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KCI등재

        A Field Study on Global R&D Centers in Korea: Focusing on Global IT Industry Policy with Gap Approach

        조상섭,양영석,Cho, Sang-Sup,Yang, Young-Seok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0 No.12

        Innovative capacities and performance are essential for the growth of the IT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economy. Global R&D centers are important sources of innovation in the IT industry. In order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the innovation environment of global R&D centers in IT industry, we conducted a field survey of 50 global R&D centers and 50 global R&D policy experts in IT industry.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obtained using the Linear Structure Model, it is suggested that, first, with regard to a short-term IT global policy, the direction of the Korean government's policy should act as a trigger to connect the research domain and the market domain; second, the government policy should act as a facilitator to connect the development domain and the research domain in the mid-term period; and, finally, the government's R&D policy should serve as a disseminator to connect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the market space domain in the long-term perspective. For an effective way of internationalizing innovation, IT policy planners should regard global IT R&D centers as the important components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 and encourage the effective involvements by them in the process of IT industrial innovation. 우리나라 IT산업성장에서 혁신잠재력과 혁신수행능력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글로벌 R&D센터는 IT산업의 혁신의 중요한 요소이다. IT산업에서 혁신환경에 대한 글로벌 R&D센터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R&D센터구성원과 정책입안자 각 50명씩 현장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실증분석결과를 보면 단기적으로 R&D정책은 연구영역과 시장역역의 인식차이를 해소하는 촉진자로서 역할이 중요하며, 중기적으로 R&D정책은 개발과 시장의 영격의 인식차이를 좁히는 조정자로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기술능력과 시장의 확산 자로서 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IT 정책입안자는 R&D정책에서 글로벌 R&D센터를 혁신체계의 요소로 활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 KCI등재

        중소벤처기업규모와 무역후생

        조상섭,민경세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 벤처창업연구 Vol.12 No.6

        본 연구는 중소벤처기업무역이익에 관한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간 무역후생에 대한 연구들이 우리나라 전체 기업규모를 대상으로 수행되었거나, 대표적 기업(평균)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본 연구에서는 중소벤처기업과 대기업을 분리하여 파레토 및 대수 정규기업규모분포에 대한 결정모수를 추정하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무역이익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기업규모의 이질성이 클수록 무역후생이 크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중소벤처기업 및 대기업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무역이익은 파레토규모분포를 가정할 경우 대수정규분포를 가정한 경우보다 압도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둘째, 대기업의 경우가 중소벤처기업의 경우보다 무역후생이 크게 나타났다. 이 분석결과는 대기업규모분포가 중소벤처기업규모분포보다 이질성이 더 크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셋째, 기업규모분포가 동질적이라고 가정할 경우에 무역후생의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으로 무역후생증대의 관점에서 기업규모이질성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중장기적으로 중소벤처기업의 다양성을 증대시키는 중소벤처기업정책이 필요한 이유이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welfare of small and medium venture company trade. In the past, although the study analyzes the trade welfare for representative firm, this research is focusing on the distribution of an entire industry of companies analyzed. In this study, medium-to venture enterprise-scale for logarithmic normal distribution and Pareto distribution is estimated, a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ading welfare changes.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greater trade benefits enterprise-scale heterogeneity appeared to be significant. The result of this finding appeared to be the same to large firms as well as small and medium ventures. Trading welfare, assuming the distribution of Pareto rather than logarithmic normal distribution it's supposed to be overwhelmingly large. Secondly, the case of large corporations shows the more trade welfare than that of small and medium venture companies. Third, assuming homogeneous distribution of enterprise-scale trade welfare differences did not exist. Finally, from the point of view of increasing the welfare of trade, the diversity aiming of venture business i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long term, because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s trade role.

      • OECD 25개국 특허자료를 이용한 지식파급(Knowledge Spillover)효과 분석

        조상섭,정동진,정해식 한국무역학회 2003 한국무역학회 세미나 및 토론회 Vol.2003 No.2

        본 연구는 OECD 25개국 특허자료를 이용하여 생산성에 기여도를 추정함으로써, 자국의 지식과 다른 나라의 지식파급(Knowledge Spillover)효과를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Coo et al., 1995 및 Kao, et al. 1999)에서 사용되는 R&D자본량을 이용하는 대신 지식파급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특허량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타국으로부터 지식파급량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IPS 패널 단위근 검정결과로 부터 노동생산성, 내국인 특허출원량 및 외국인 특허출원량에서 단위근존재에 대한 명확한 증거를 찾지 못했다. 둘째, 패널 OLS추정량을 사용하여 노동생산성에 대한 기여도 분석결과로 볼 때, 내국인 특허량의 노동생산성기여도 (0.177)은 외국인 특허량의 노동생산성 기여도 (0.154)보다는 약간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외국인 특허량의 지식파급효과가 노동생산성증가에 상당한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노동생산성에 대한 전체적 지식파급효과 (0.331)는 직접 생산투자요소인 물적 자본량 평균 기여도인 0.3 (Smolny, 2000)에 비하여 작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지식파급효과는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하여 중요하다는 점이다. 그리고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타국 지식파급효과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직접적인 지식파급을 위한 외국인 특허유치를 위한 경제정책적 고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통신산업에서 적정비용산정 모형 및 새로운 비용산정 방법론 제시

        조상섭,고중걸,Cho, S.S.,Ko, J.G.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1 전자통신동향분석 Vol.16 No.5

        본 연구에서는 통신산업에서 사용되는 비용추정 방법론을 조명하고,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통신산업에서 적정 비용산정작업은 매우 중요한 작업 중 하나이지만, 전통적인 산업과 달리 통신산업 특유성질로 인하여 비용산정이 매우 힘든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비용추정방법과 다르게 Neural Network Model을 비용추정방법으로 사용함으로써 통신산업 비용추정기법으로 간단하고 이론적 측면에서 더 적합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 중소창업기업성장과 기술혁신역량의 실증분석

        조상섭,양영석 한국산업경제학회 2016 한국산업경제학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11

        글로벌경쟁의 심화와 빠른 기술변화환경에서 중소창업기업의 국민경제역할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소창업기업규모 즉 성장을 결정하는 핵심적 요인으로 기술혁신능력과 그 영향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창업기업의 기업규모분포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존 실증연구방법에 대한 대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먼저 일반적인 회귀분석방법적용에 치우친 기존 연구방법에 대한 이론적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중소창업기업규모에 대한 기술혁신영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분위회귀방법을 적용하였다. 둘째, 실증 분석할 자료에서 보듯이, 반응변수의 분위들 간에 교차하는 환경에서 전통적인 분위회귀방법에 문제점을 설명하고, 이를 개선하는 대안적 분위회귀방법을 적용하여 중소창업기업규모를 결정하는 기술혁신의 영향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본 실증분석결과를 간단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혁신역량이 중소창업기업규모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 상위분위에서 추정계수에 대한 95%유의성이 존재하였다. 둘째, 기술혁신역량의 경우에 최상위분위(80%이상)에서 그 영향력이 약간 감소한다는 것이다. 즉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시각적 분석을 볼 때, 중소창업기업규모에 대한 영향을 측정할 때, 보다 정확한 상위분위에 대한 분위회귀추정기법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대안적 분위회귀방법을 적용한 결과로 전통적 분위별 회귀분석과 달리 중소창업기업규모가 클수록 기술혁신역량의 영향정도가 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전통적 분위회귀방법이 해당 분위에서는 하향편기를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분석결과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OECD국가들의 수출성과에 관한 동태적 분석

        조상섭,서청석,강신원 한국무역학회 2009 貿易學會誌 Vol.34 No.5

        The change in dynamic structure and its long-term trend in terms of the export performance of 24 OECD countries from 1995-2004 is examined. To analyze the export structure, we first apply an entropy index to export performance to measure the total export concentration index of the 24 OECD countries, and then decompose the total export concentration index into the concentration degree between countries, and the product specialization degree within each. Then, using the decomposed related entropy index, the transition probability of degree of change and possibility of variation in the two entropy indices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al stochastic kernel function estimation on the basis of a stochastic difference equation and the Markov Chain analysis. The outcome of the analysis is outlined as follows. First, on average, regarding the export structure of the 24 OECD countries, the export concentration degree for 2004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at for 1995, and the export product specialization degree was found to have increased. Compared with the USA and Japan, among other advanced countries, Korea weakened its export concentration in the OECD territory and strove to increase the diversity of its export products, thus changing its export structure in this region. Second, as regards the trend in the export concentration index, groups with a high export concentration showed a more unstable export structure; in the case of the between index of countries with a high export concentration degree in the OECD territory, the probability of transition, which shows the continuity of the current state,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e within index. Thus, OECD countries with a high total export entropy index are forecast to develop an export structure where export concentration and product specialization in the OECD region are bolst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