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노랑 초파리 (Drosophila melanogaster) 자연 집단의 ADH & α-GPDH 동위효소 빈도의 분포 상태와 연속변이 (Cline)에 관한 연구

        成耆昌,姜德泳 성균관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0 論文集 Vol.41 No.1

        본 실험은 한국지역을 위도와 경도별로 각각 35˚∼39˚, 126∼130˚의 범위내에서 1˚씩 구획을 정하여 14개 지역으로부터 채집된 노랑 초파리 (D. melanogaster)의 ADH & α-GPDH allozyme의 전체적인 분포상태 및 그 유전자 빈도가 위도와 경도에 따라 연속변이 (Cline)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러한 관계에 기후요소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를 조사하여 Selectionist & Neutra1ist의 Allozyme polymorphism의 진화적 의미에 대한 해석에 좀 더 유의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라는 뜻에서 진행된 바, 그 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1. 한국지역의 ADH & α-GPDH 동위효소 빈도의 분포는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시할수 있다. ADH 동위효소의 빈도와 순위는 FF(48.76%)>FS(38.10%)>SS(13.13%)로 나타나며, α-GPDH 동위효소의 빈도와 순위는 FS(43.30%)>FF(34.66%)>SS(22.04%)로 나타나고 있다. 2. 한국지역의 Adh & α-Gpdh 대립유전자 빈도 분포는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시할수 있다: Adh 대립유전자 빈도는 Adh^F(67.81%), Adh^s(32.19%)로 나타나며, α-Gpdh 대립유전자 빈도는 α-Gpdh^F(56.31%), α-Gpdh^s(43.69%)로 나타나고 있다. 3. 한극지역의 Adh & α-Gpdh 대립유전자 빈도는 위도와 경도의 변화에 따라 유의적인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Adh^F 유전자 빈도와 위도 사이이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r=0.557, p<0.05)를 나타내는 바, 이는 위도가 증가할수록 Adh^F 빈도가 증가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α-Gpdh^F 유전자 빈도와 경도 사이의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 (r=0.516, p<0.1)를 나타내는 바, 이는 경도가 증가할수록 α-Gpdh^F 빈도가 증가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Adh^F 유전자 빈도와 경도 사이, α-Gdph^F 유전자 빈도와 위도 사이에는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형성되어 있다고 해석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 4. Adh & α-Gpdh 대립유전자 빈도의 위도와 경도의 변화에 따른 연속변이에 영향을 줄수 있는 기후 요소를 분석한 결과 최대 강우량(Rmax)이 Adh^F 유전자 빈도와 음의 상관 관계 (r=-0.501, p<0.1)를 나타내고 있는 변수로 분석되고, 평균 강우량(Rmean)이 α-Gdph^F유전자 빈도와 음의 상관 관계 (r=-0.461, p<0.1)를 나타내고 있는 변수로 분석된 바, 온도 변수보다는 강우량 변수가 위도에 따른 Adh 대립유전자 빈도의 연속변이와 경도에 따른α-Gpdh 대립유전자 빈도의 연속변이에 좀 더 밀접한 관계를 지니면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추정된다. The samples of D. melanogaster were captured from 14 localities in the range of 35°∼39°(latitude) and 126°∼130°(longitude). The Adh & α-Gpdh variants were analysed by agarose gel electrophoresis. Adh and α-Gpdh were considered to have two common electraphoretically distinguishable alleles: Adh^F & Adh^S, α-Gpdh^F & α-Gpdh^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eographic clines and climatic associations of the Adh and α-Gpdh gene frequencies in Korean natural populations of D. melanogaster. The results of experiment can be summerized like the following: 1. The distribution and rank of ADH and α-GPDH allozyme frequencies showed the ADH-FF(48.76%)> -FS(38.10%)> -SS(13.13%) and FS(43.30%)> -FF(34.66%)> -SS(22.04%), respectively. 2. The Adh allelic gene frequencies showed the Adh^F(67.81%) and Adh^s(32.19 %): The lowest frequency of Adh^F gene was 62.00% (Kimhae-Gun), the highest frequency of Adh^F gene was 73.10% (Sokcho-Shi). 3. The α-Gpdh allelic gene frequencies showed the α-Gpdh^F(56.31%) and α-Gpdh^s(43.69%): The lowest frequency of α-Gpdh^F gene was 45.61%(Sosan-Gun), the highest frequency of α-Gpdh^F gene was 64.46% (Tonghae-Shi). 4. There were a geographic clines in Adh frequency with latitude and α-Gpdh frequency with longitude: Adh^F gene frequency increased markedly and significantly with latitute while α-Gpdh^F gene frequency increased much less dramatically but also significantly with longitude. 5. The most highly correlated variable with the latitudinal cline of Adh gene frequency was the Rmax: It correlated negatively and significantly with the Adh^F frequency(r=-0.501, P<0.1). 6. The most highly correlated variable with the longitudinal cline α-Gpdh gene frequency was the Rmean: It correlated negatively and significantly with α-Gpdh^F frequency (r=-0.461, <0.1). Therefore, the dines in Adh and α-Gpdh gene frequencies in the Republic of Korea explained largely by more variation in rainfalls than variation in temperatures. The effect of rainfall on Adh & α-Gpdh phenotypes is likely to be indirect.

      • Drosophila busckii의 韓國集團에서 있어서 同位酵素 多形現象

        成耆昌,尙椿植,金彧,金大鎰 성균관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85 論文集 Vol.36 No.1

        Genetic structure and variability were investigated in four Korean populations of Drosophila busckii. Eight allozyme loci were analysed by means of starch gel electrophoresis. The proportions of polymorphic loci and loci heterozygous per individual were estimated to be 0.25 and 0.051, respectively. The average genetic similarity between four populations was found to be S―=0.977. This value is similar to the other Drosophila populations reported. However, the gene variation of D. busckii in this study appeared to be the least variable among 28 Drosophila species reported. It is suggested that the low gene variation in D. busckii might be due to adaptation of this species to a narrow niche, but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the random drift cannot be excluded.

      • 韓國人 指紋型의 遺傳學的 分析

        成耆昌,李起俊 성균관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85 論文集 Vol.36 No.2

        The finger print pattern of the Korean population has been examined. The predominant finger print type of non-criminal population consisted of 49% Loop type, 45.5% Whorl type, 2.6% Simple arch and 2.5% Tented arch. Among criminal populations, the frequency of occurance of finger print types was found to be 52.2% Loop type, 40.9% Whorl type, 2.5% Tented arch, and 2.8% Simple arch respectively. In addition, criminal population contained 0.3% Accidental type, which was absent in non-criminal population. The total Ridge Number for the non-criminals was 151 for females and 143 for males, while in criminal population it was 127 for females and 138 for males. The atd angle for non-criminal population was 82.29° for males and 83.38° for females. The a-b ridge number was found to be 76.05 for males and 73.24 for females.

      • Drosophila quinaria Species Group의 遺傳的 近緣關係

        成耆昌,金正洙,金大鎰,金彧,金溶聲 성균관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85 論文集 Vol.36 No.2

        The genetic relatedness among the Korean Drosophila quinaria species group, including D. nigromaculata, D. unispina, D. brachynephrose, and D. angularis, has been examined by using horizontal starch gel electrophoresis. The results showed that none of the ten isozyme patterns examined for these four species was identical. The average genetic similarity among the four species was found to be 0.440. The similarity among three species. D. unispina, D. brachynephrose, and D. angularis was 0.466. The relatedness was found to be closest between D. nigromaculata and D. unispina, showing 0.640. D. nigromaculata and D. angularis showed relatedness of 0.258.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se four species appear to be genetically related at the level of sibling species. The percent polymorphism in D. brachynephrose was found to be 76.9%, showing significant genetic variations.

      • 초등학교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환경구성에 관한 연구

        성기 한국보조공학회 2007 보조공학저널 Vol.1 No.1

        본 연구는 장애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통합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장애학생이 배치되어 공부하고 있는 초등학교의 일반 교실을 대상으로 전국 50개의 초등학교를 방문조사 하였다. 교사의 배치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학교 건물배치 및 내부동선의 유형, 그리고 통합학급의 공간구성 등 건축계획적인 측면을 주요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와 장애 학생의 행태조사를 통하여 통합교육 운영현황과 개선 요구도 등 통합교육 운영적인 측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통합학교의 건축계획적 개선방안으로서 배치 및 내부동선, 통합학급의 단위평면을 기존의 공간규모 안에서 계획하여 현실성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통합교육의 제도 및 운영에 관한 개선방향을 통합교육을 보다 실효성 있게 현실화 할 수 있는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이를 종합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통합학교의 배치 및 동선계획은 대지입구에서부터 통일성 있는 공간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동 동선을 최대한 짧게 계획하여야 한다. 둘째, 다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개별학습공간의 요구가 높으며, 이는 장애학생뿐만 아니라 비장애 학생의 독서나 자습의 장소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셋째, 학급당 학생수를 15~20명 내외로 줄여 통합학급에 입급된 장애학생에게 충분한 활동 공간 확보 등 보다 쾌적한 공간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넷째,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간의 사회적 상호관계를 위한 여러 가지 태도개선 프로그램이나 사회적 상호작용 촉진 프로그램 등과 같은,다양한 형태의 통합교육 및 장애 인식 개선활동이 필요하며,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이 요구된다.

      • KCI등재

        우리나라 서해에서 출현하는 갈치(Trichiurus japonicus)의 식성

        성기,김도균,강다연,진수연,김호승,서호영,백근욱 한국어류학회 2022 韓國魚類學會誌 Vol.34 No.3

        The feeding habits of Largehead hairtail Trichiurus japonicus was studied using 377 specimens collected in the Yellow Sea of Korea. The specimens ranged from 4.5 to 33.7 cm in Anal length (AL). T. japonicus consumed mainly a piscivore, such as Engraulis japonicus [percent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IRI) = 74.1%]. We calculated the trophic level as 3.84 for T. japonicus. Fishes were the main prey items for all seasons. The main fish prey during autumn and winter was E. japonicus, whereas those during spring and summer was Larimichthys polyactis. Fishes were the main prey items for all size groups (<15 cm, 15~20 cm, 20~25 cm, ≥25 cm). T. japonicus also showed size- related dietary shift from Spratelloides gracilis and E. japonicus to L. polyactis and T. japonicus. As the anal length of T. japonicus increased, the mean number of prey per stomach (mN/ST) and the mean weight of prey per stomach (mW/ST) tended to increased (One-way ANOVA, P<0.05). Seasonal and size-related shifts in dietary composition were investigated by PERMANOVA analysis, which showed significant variations among size classes and seasons. 우리나라 서해에서 출현하는 갈치의 식성을 파악하기 위해 4.5~33.7 cm의 항문장 범위를 나타내는 377개체의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갈치의 주 먹이생물은 74.1%의 상대중요도지수비를 나타낸 어류였고, 멸치가 가장 우점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갈치의 영양단계는 3.84를 나타내었다. 어류는 모든 계절 동안 갈치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이었으며, 가을철과 겨울철에는 멸치가 우점하였고, 봄철과 여름철에는 참조기가 우점하였다. 어류는 갈치의 모든 크기군(<15 cm, 15~20 cm, 20~25 cm, ≥25 cm)에서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이었으며, 크기가 작은 개체의 경우 샛줄멸과 멸치를 주로 섭식하다 항문장이 커짐에 따라 참조기와 갈치의 섭식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갈치의 항문장이 커짐에 따라 평균 먹이생물 개체수와 중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ERMANOVA 분석을 통해 계절과 크기군에 따라 갈치의 식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시각장애인 점자블록의 실용성 분석에 관한 연구

        성기,강병근,김인순 대한건축학회 2005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1 No.1

        A raised block for blind and visually imparted person is a very useful facility for a orientation For this reason, the raised block has been Installed obligatorily in the building and on the sidewalk In recent years the Installation has been increasing at a rapid rate in the whole country but It is required to Improve upon the method of installation Tim, study tries to provide useful and alternative models of the raised block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existing models m Korea (Japan), Germany and Austria have been analyzed and tested by the 110 visually Impaired persons As the result, this study shows how the models of reused block can apply practically to different conditions and environment.

      • SCOPUSKCI등재SCIE
      • SCOPUSKCI등재SCIE
      • SCOPUSKCI등재SCI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