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임대차보증금반환채권의 소멸시효 - 대법원 2020. 7. 9. 선고 2016다244224, 244231 판결의 검토를 중심으로 -

        성위석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22 법학논고 Vol.- No.78

        In a lease under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if the lessee continues to occupy the object based on simultaneous performance defense after the end of lease, does the extinctive prescription of the lease deposit return claim proceed? On this issue, the recent Supreme Court decision differed from the original judgment and judged that the extinctive prescription did not proceed. The Supreme Court decision presented several theoretical grounds. First, if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lessee continues to exercise the lease deposit return claim, the extinctive prescription does not proceed.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lease, the lessee's continuous possession of the object on the basis of the right to simultaneous performance defense was based on the authority to return the deposit to the lessor, and it can be seen as a clear expression of the continuous exercise of the right to get the deposit back. Second, since the lessor's right to claim delivery of the object, which is in a simultaneous performance relationship with the lessee's deposit return claim, is based on real rights such as ownership, it rarely expires by prescription regardless of the lessor’s active exercise of rights. Therefore, even i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does not proceed with the lessee's deposit return claim for occupying the object to return the deposit after the lease is terminated, it is not contrary to the balance of the profits between the parties involved in this claim. Third, if a lessee who has not received a deposit return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lease occupies the object, the legal lease relationship is maintained in accordance with Article 4 (2) of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Nevertheless, if it is assumed that the lessee's deposit return claim can be extinguished by the prescription, this will result in undermining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is regulation, which is unfair. The conclusion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 is justified. However, objections have been raised to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judgment, and this article focused on this point.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른 임대차에 있어서 임대차 종료 후 임차인이 동시이행항변권을 근거로 목적물을 계속 점유하고 있는 경우, 임대차보증금반환채권에 대한 소멸시효가 진행하는가? 이 문제에 대하여 최근 대법원 판결은 원심 판결과 견해를 달리하여, 소멸시효가 진행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대법원 판결은 몇 가지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첫째, 채권을 계속 행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면, 소멸시효가 진행하지 않는다. 임대차 종료 후 임차인이 동시이행항변권을 근거로 목적물을 계속 점유하는 것은 임대인에 대한 보증금반환채권에 기초한 권능을 행사한 것으로서, 거기에 보증금을 반환받으려는 계속적인 권리 행사의 모습이 명확하게 표시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임차인의 보증금반환채권과 동시이행관계에 있는 임대인의 목적물인도청구권은 소유권 등 물권에 기초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임대인의 적극적인 권리 행사 여부와 관계없이 그것이 시효로 소멸하는 경우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임대차 종료 후 보증금을 반환받기 위해 목적물을 점유하는 임차인의 보증금반환채권에 대하여 소멸시효가 진행하지 않는다고 보더라도, 이 채권에 관계되는 당사자 사이의 이익 균형에 반하지 않는다. 셋째, 임대차 종료 후 보증금을 반환받지 못한 임차인이 목적물을 점유하고 있으면 주택임대차보호법 제4조 제2항에 따라 법정임대차관계가 유지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차인의 보증금반환채권은 그대로 시효가 진행하여 소멸할 수 있다고 본다면, 이는 이 규정의 입법 취지를 훼손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어 부당하다. 대법원 판결의 결론은 정당하다. 그러나 그 이론적 근거에 대하여 반론이 제기되고 있는데, 이 글은 이 점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 KCI등재

        상속포기의 효과와 대습상속 - 대법원 2017. 1. 12. 선고 2014다39824 판결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성위석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20 법학논고 Vol.0 No.71

        Does the renunciation of inheritance influence the succession by representation? This is a pressing matter of discussion when the renunciation of inheritance shares the same purpose as the inheritance by representation. The original decision and the supreme court decision took different stances in judicial judgment on this matter. Whether the respective purposes are identical or not, if a person renouncing the original, namely the first inheritance, has not expressed his will of qualified acceptance or renunciation of inheritance within a period for acceptance, the supreme court decision is considered lawfully valid as an absolute acceptance by law under the Civil Act (§1026, No. 2). Despite the principle of absolute acceptance for inheritance in the Civil Act, the Korean Civil Law endows heirs an opportunity of qualified acceptance or renunciation of inheritance, and that inheritance and succession by representation respectively have different institutional purposes. Therefore, the supreme court decision is considered justifiable in the viewpoint of judicial logic. However, in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law, the supreme court decision needs to be theoretically reviewed in depth both in terms of legal interpretation and legislative theory, if its application is not restricted to keep legal stability and the agenda is examined for its concrete validity. The realization of its concrete validity should be emphasized with this agenda, in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law in particular. However, even in this matter, the idea of concrete validity should not be emphasized unrestrictedly. Rather, it should be emphasized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incorporated within an extensive frame of harmony between legal stability and concrete validity. 상속포기의 효과는 대습상속에까지 미치는가? 이 문제는 상속포기의 목적과 대습상속의 목적이 같은 경우에 있어서 그 논의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대상 사안에 있어서 원심 판결과 대상 판결은 이 문제에 관한 법리적 판단에 있어서 태도를 달리하였다. 대상 판결은 상속의 목적의 동일 여부와 관계없이 본위상속 즉 제1상속을 포기한 자도 고려기간 안에 대습상속에 대한 한정승인 또는 상속포기를 하지 않았다면 민법상의 법정단순승인(제1026조 제2호)을 한 것으로 의제된다고 판단하였다. 우리 민법이 상속에 관하여 단순승인의 원칙을 취하고 있으면서도 상속인에게 상속포기・한정승인 등의 기회를 부여하고 있다는 점과 상속과 대습상속은 각기 그 제도적 취지를 달리하는 것이라는 점 등에서 볼 때, 대상 판결은 논리적 측면에 있어서 정당하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법의 해석・적용에 있어서 법적안정성의 확보에 대하여만 시야를 한정하지 않고, 구체적타당성 확보의 견지에서 대상 사안을 살펴본다면, 대상 판결은 법해석론과 입법론의 양 측면에서 이론적으로 깊이 검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대상 사안은 법의 해석・적용에 있어서 특히 구체적타당성의 실현이 강조되어야 할 사안이다. 그렇지만 이 사안에 있어서도 구체적타당성의 이념이 무제약적으로 강조되어서는 안 되며, ‘법적안정성과 구체적타당성의 조화’라는 큰 틀 속에 포섭될 수 있을 정도로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북한 주민의 상속회복청구권과 제척기간 - 대법원 2016. 10. 19. 선고 2014다46648 전원합의체 판결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성위석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017 民事法理論과 實務 Vol.21 No.1

        Article 999 of Civil Act stipulates claims for Recovery of inheritance including a short exclusion period. With respect to this, Article 11(1) of ‘Act on the Special Cases concerning Family Relationships, Inheritance, etc. between Residents in South and North Korea’, the special regulation of the Act does not stipulate any legislative meaning of exclusion period of claims for recovery of inheritance. Recently North Korean heir issued a lawsuit for inheritance recovery against South Korean heir in this situation of the existing law. The core issue of the case is whether Article 999(2) in Act can be applied to this problem. With respect to this issue, the three opinions have been emerged as a controversy: Firstly, the positive opinion that this case is applied to 999(2) in the Act according to the doctrines and the judicial precedents, secondly, the opinion that it is applied analogically to interpretation of similar regulation, lastly, the negative opinion that it is not applied to. The plaintiff’s assertion was rejected in the appellate judgment and a majority of Supreme Court judgement according to the first opinion, but the dissenting opinions of Supreme Court judged the case according to the second. The first trial accepted plaintiff’s assertion according to the last opinion. Consequently, the insistence of North Korean heir was not accepted. The writer thinks that the last among the above three opinions is reasonable and the judgement of the first trial is more reasonable than that of appellate court and of Supreme Court in the view point of legal principles. The writer suggests two ways to complement the relevant existing law by legislative change. One is the way to abolish a claim for the inheritance recovery and to amend the special regulation, and the other is the way to amend the special regulation with maintaining a claim for inheritance recovery. The first is ideal in the point of legal principles, but it is hard to proceed the way as it needs much time and discussions. The second is suitable that the exclusion period of the right will be prolonged. Subsequently, the writer expresses an opinion on the follow-up research task. The writer emphasizes that protection of North Korean heir’s profit is worthy of note in the light of specificity of the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and the spirit of constitution toward peaceful unification, and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protection of vested rights and transaction safety of the resident in South Korea. 민법 제999조는 상속회복청구권에 대하여 규정하면서, 단기의 제척기간을 규정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그에 대한 특례규정인 ‘남북 주민 사이의 가족관계와 상속 등에 관한 특례법’ 제11조 제1항은 상속회복청구권의 제척기간에 대하여 아무런 취지도 규정하고 있지 않다. 현행법의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북한 주민 상속인이 남한 주민 상속인을 상대로 하여 상속회복청구소송을 제기하였다. 대상 사안의 핵심적 쟁점은 대상 사안에 대하여 민법 제999조 제2항이 적용된다고 보아야 할 것인지 여부에 있다. 이 쟁점에 대하여, 학설⋅판례 상으로 민법 제999조 제2항의 적용을 긍정하는 견해⋅유사 취지의 규정이 유추적용되어야 한다는 견해⋅민법 제999조 제2항의 적용을 부정하는 견해가 중요 견해로 부각되어 왔다. 대상 판결의 다수의견과 항소심은 첫 번째 견해의 입장에서 판단하여 원고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대상 판결의 반대의견은 두 번째 견해의 입장에서 판단하였다. 제1심은 세 번째 견해의 입장에서 판단하여 원고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결과적으로 원고 즉 북한 주민 상속인의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필자는 위 세 견해 가운데 세 번째 견해가 타당하다고 보았으며, 대상 판결과 항소심의 판단 보다 오히려 제1심의 판단이 법리적으로 타당하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필자는 관련 현행법을 입법적으로 보완하는 방향에 대하여 두 가지 방안 즉 상속회복청구권제도를 폐지하면서 특례법을 개정⋅보완하는 방안과 상속회복청구권의 존치를 전제로 하면서 특례법을 개정⋅보완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법리적으로 볼 때 첫 번째 방안이 이상적이지만, 이를 추진하는 데에는 많은 논의와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두 번째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어서는 상속회복청구권의 제척기간을 연장하는 조항을 신설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고 있다. 이어서 필자는 후속 연구과제에 대하여 약간의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필자는 대상 사안에 있어서는 남북 분단의 특수성과 평화통일을 지향하는 헌법정신 등에 비추어, 북한 주민 상속인의 이익 보호에 특히 주목해야 하며 아울러 남한 주민의 기득권 보호 및 거래 안전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누차 강조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