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영적 안녕과 사회불안

        서경,김신섭,박성연 한국건강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2 No.3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relation of spiritual well-being to social anxiety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psychologists or health practitioners who are involved with the intervention of the social anxiety. The participants were 496 Korean high school students (239 males and 257 females) whose ages ranged from 14 to 18 (M=15.97, SD=.83).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Spiritual Well-Being Scale, Social Anxiety Scale for Adolescents (SAS-A). Korean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Jerusalem & Schwarzer's General Self-Efficacy Scale, and Spielberger'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Results indicated that female students or students who belong to the religious groups showed higher spiritual well-being than male students or students who do not belong to the religious groups. Students who showed lower level of spiritual well-being are likely to have higher social anxiety, in both interpersonal anxiety and performance anxiety, than those who showed moderate or higher level of spiritual well-being. Although religious well-being has negative relation to performance anxiety, especially existential well-being have ver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 to both interpersonal anxiety and performance anxiety.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existential well-being, self-efficacy, and trait anxiety are significant independent predictors of both interpersonal anxiety and performance anxiety, and existential well-being accounted for the most variance, approximately 10%, of performance anxiety. These findings suggest biopsychsocialspiritual model to understand mental health or social adjustment appropriately, and to be concerned about clients' religiosity and spiritual well-being as a health practitioner.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사회불안과 영적 안녕 간의 관계를 탐색함으로 사회불안을 다루는 심리학자들이나 건강 전문가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남녀 고등학생 496명(남: 239, 여: 257) 이었으며, 이들의 연령 분포는 만 14세에서 18세(M=15.97, SD=.83) 사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한국판 영적 안녕 척도, 청소년용 사회불안 척도, 한국판 아동청소년용 사회불안 척도,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 상태-특성 불안 척도이다. 분석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종교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종교적 안녕 수준이 높았다. 영적 안녕 수준이 높거나 중간 수준인 집단에 비해 낮은 집단에서 대인관계불안과 수행불안 수준이 높았다. 종교적 안녕도 수행불안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으나, 영적 안녕 중에 특히 실존적 안녕이 사회불안과 매우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실존적 안녕, 특성불안 및 자기효능감은 대인불안과 수행불안 모두의 유의한 예언변인이었고, 실존적 안녕은 특성불안이나 자기효능감보다도 수행 불안에 대한 더 강력한 예언변인이었으며 수행불안의 변량을 10%정도 설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신건강이나 사회 적응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생물․심리․사회적 모델에 영적인 측면을 추가해야 할지를 고려하게 하고, 심리학자들이 환자나 내담자의 종교성과 영적 안녕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이성관계에서 행해지는 데이트 폭력에 관한 연구의 개관

        서경 한국건강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4 No.4

        본 개관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수행된 데이트 폭력 관련 연구들의 주제와 결과들을 개괄하여 추후 연구와 중재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여러 연구들을 종합한 결과, 서양과 마찬가지로 한국의 경우에 도 데이트 폭력은 국민의 정신건강은 물론 신체건강까지 위협할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었다. 여성이 남성보다 데이트 폭력의 가해 경험을 더 많이 보고한 연구들이 한국에서 상대적으로 많았지만,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남성이 여성보다 더 심하게 데이트 폭력의 피해를 입고 있다고 결론 내릴 수는 없다. 데이트 폭력을 제어이론이나 가부장적/비대칭 패러다임으로 설명하기도 하지만, 사회학습이론에 근거한 Riggs와 O'Leary의 모델이 연구자들에게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아왔다. 이 모델에 기초하여 폭력의 대물림과 폭력에 관한 태도가 많이 탐색되었고, 분노조절, 음주, 정신병 적 경향성의 역할도 많이 조명되어 왔다. 데이트 폭력과 관련하여 자해, 집착이나 정서적 의존, 충동성, 급격한 감정변화, 질투심 등을 포괄하는 가해자의 특성이 탐구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제부터는 한국에서도 Riggs와 O'Leary의 모델의 기본적인 부분에서 탈피하여 다각적인 실증연구가 수행되었으면 한다. 또한 한국문화에 맞는 데이트 폭력 중재나 예방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연구가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This review article illuminates the theme and the finding of researches related to dating violence, and suggests the information for intervention and future studies. After reviewing a bunch of studies, the author concludes dating violence in Korea was as severe as in western societies. Although females were more frequently reported inflicting dating violence than males in many Korean studies, the author emphasized this is not meant the male was typical victim of dating violence. Control Theory and Patriarchal/Asymmetry Paradigm were useful to explain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Riggs and O'Leary's model which is based in social learning theory, was more supported by many researchers. Based on this model,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violence and the attitude toward it were frequently explored in many studies, and roles of anger regulation, alcohol consumption, and psychoticism were also illuminated. the author suggests that self-injury, false attachment or emotional dependency, impulsivity, unpredictable mood swing, jealousy including violence were needed to investigate as characteristics of perpetrator of dating violence. The Korean study of dating violence should grow out of Riggs and O'Leary's model and be performed in multilateral way. It is needed to develop specific intervention strategies of dating violence and prevention program suitable for Korean culture, and pursue studies for evaluation of their effect.

      • KCI등재후보

        데이트 폭력 경험자들의 분노, 정신병적 경향성 및 중독성

        서경,이경순 한국건강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7 No.3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dating violence and anger, psychoticism, and addiction. The participants were 440 Korean college students (173 males and 267 females) whose ages ranged from 17 to 33 (M=20.89, SD=2.27). The questionnaires and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Straus' Conflict Tactics Scale, Spielberger's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and Eysenck's Personality Inventory. Research design was a 2 (sex) × 4 (types of dating violence experience) 2-way MANOVA. Results indicated that people who had inflicted and received violence in their dating relationship had significantly higher trait anger, anger-in, and anger-out than people who had not experienced dating violence, while people who received dating violence showed higher anger control than people who had inflicted dating violence or who had inflicted and received dating violence. There was a 2-way interaction in psychoticism by sex and types of dating violence experience. Males who had inflicted and received dating violence had significantly higher psychoticism than males who had not experienced dating violence. And it was found that people who had inflicted and received dating violence were likely to show higher addiction than people who had not experienced dating violence.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트 폭력 경험과 분노, 정신병적 경향성 및 중독성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데이트 경험이 있는 440명(남=173, 여=267)의 대학생이었고 연령 분포는 17세에서 33세(M=20.89, SD=2.27) 사이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 갈등책략척도, Eysenck 성격검사이고, 결과분석을 위해 분노, 정신병적 경향성 및 중독성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2(성별)× 4(데이트 경험 유형) 이원변량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데이트 폭력 가해 경험 및 피해 경험이 있는 사람이 데이트 폭력 경험이 없는 사람보다 특성 분노, 분노 억제 및 분노 표출 수준이 높았다. 데이트 폭력 피해만 경험한 사람은 데이트 폭력 가해만 경험한 사람이나 데이트 폭력 가해 및 피해 모두를 경험한 사람보다 분노 통제 수준이 높았다. 정신병적 경향성에는 2(성별)× 4(데이트 경험 유형) 이원상호작용이 있었다. 데이트 폭력 가해 경험 및 피해 경험이 있는 사람 중에서는 남성이 데이트 폭력 경험이 없는 남성보다 정신병적 경향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데이트 폭력 가해 경험 및 피해 경험이 있는 사람이 데이트 폭력 경험이 없는 사람보다 중독성이 높았다.

      • KCI등재

        Music Preference and Its Relationship with Personality Traits

        서경,박정양 한국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0 No.1

        This study assumes that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n music preference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music preference. The participants were 347 college students (185 females) whose ages ranged from 17 to 37 (M=21.53, SD=2.26), the Big Five Locator test and the BAS/BIS Scale were used to measure personality traits. The results of the proposed 35-item Music Preference Questionnaire indicate a satisfactory level of reliability and validity. Women were more likely to be involved in musical activities and more likely to prefer classical music than men.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 that whereas extraversion, openness, and agreeableness were positively related to music preference, emotional stabil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pursuit of psychological effects of music, a subscale of the MPQ. All the sub-variables of the BAS and BIS scal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music preference. The BAS and the BI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15% of the variance in music preference, and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pproximately 7%. This study verifies the gender differences in music preference, illustrates some personality traits related to music preference, and suggests that dispositional and motivational personality factors are more closely related to music preference than to personality characters.

      • KCI등재

        B. Brecht 의 「Mutter Courage un ihre Kinder」 에 나타난 Mutter Courage 의 모순적 성격

        서경 한국독어독문학회 1988 獨逸文學 Vol.40 No.1

        Das Theaterstuck utter Courage and ihre Kinder$quot; von Bertolt Brecht wurde im Jahr 1939 ver8ffentlicht, da war der Krieg im Begriffe, auszubrechen, Im Stuck ist mit dem Untertitel `Fine Chronik aus dem DreiBigjiihrigen Krieg' bezeichnet, Aber diese Chronik spielt nicht mehr unter den welthistorischen Individuen, ihr newer Held ist der gemeine Mann, sind die kleine Leute, Anna Fierling, die Hauptfigur, die Mutter Courage genannt wird, ist eine schneidige Marketenderin. Sie geht im Kreigsgebiet mit ihren drei Kindern Eilif, Schweizerkas, Kattrin, herum, um Gewinn zu machen, Aber sie versucht, sich and ihre Kinder aus dem Krieg herauszuhalten. Trotzdem verliert sie alle ihre Kinder im Krieg spater, Hier erscheint die Spannung von ihrem Geschaftstrieb and Mutterliebe, Immer wenn ihre Kinder verhaftet werden oder sterben, beschaftigt sich Mutter Courage mit dem Handel. Und Mutter Courage erkennt zwar das merkantile Wesen des Krieges, aber sie berechtigt den Krieg in bezug auf Geschaft, Sie enthullt die Tauschung der herrschenden Ideologie aus der plebejischen Perspektive, aus der Sicht des Volkes, Aber ihr Handeln ist widerspruchsvoll, weil sie bis zuletzt ihren kleinburgerlichen Stand behaupten will, Die Absicht von Brecht ist, daB das Publikum etwas lernen kann, Mutter Courage betrachtend, wenn sie weiter nichts lernt, Der Weg der Courage ist nach den Prinzipien des Epischen Theaters in keiner Weise tragisch, sondern einfach falsch, Dadurch kann das Publikum die Leute wie Mutter Courage kritisieren, die den Krieg unterstutzt, um am Krieg ihren Schnitt zu machen. Die stumme Kattrin ist die alternative Figur des Stucks. Gegenfigur zur Courage ist Kattrin auch dadurch, daB ihre Entwicklung den umgekehrten Weg nimmt wie die ihrer Mutter, Diese beiden gegetilaufigen, aber gelegentlich sich treffenden Bewegungen sind ein wichtiges Moment der Handlungsfugung. Kattrin hat die wahre Mutterlebe, ihr Widerstandgeist 1fiBt sich ihren Protest gegen die Ungerechtigkeit zur Tat werden, Und sie opfert sich, um die Stadt Halle zu retten. Sie and Mutter Courage rind keine realistischen Figuren, sondern parabolische Figuren, Durch sie gibt Brecht dem Publikum die Lehre mit Benutzung von den epischen Methoden. Besonders erscheinen die Gestalt and Funktion der widerspruchsvollen Figur and Handlung and Gesellschaft durch die epische Struktur, Durch diesen Verfremdungseffekt sieht der Zuschauer die historische Wirklichkeit and Vorgang distanziert vom objektiven Standpunkt aus, Brecht hat einen neuen Horizont der Erkenntnis erdffnet,

      • KCI등재

        남자 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과 스트레스 반응, 주관적 웰빙 및 삶에 대한 동기 및 기대

        서경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 수준과 스트레스 반응, 주관적 웰빙, 삶의 동기 및 기대와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수도권에 위치한 두 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남학생 448명이었으며, 연령은 15세에서 19세(M=16.54, SD=.73)까지 분포되어 있다. 분석 결과, 인터넷 게임중독 잠재적 위험군은 일반 사용자보다 스트레스 반응을 더 많이 보였고, 인터넷 게임 고위험군은 잠재적 위험군보다 스트레스 반응을 더 많이 보였다. 또한 인터넷 게임 잠재적 위험군과 고위험군은 일반 사용자보다 부정정서를 더 많이 경험하고 있었다. 인터넷 게임 고위험군은 잠재적 위험군과 일반 사용자보다 삶의 동기 수준이 낮았고, 일반 사용자보다 삶에 대한 기대도 적었다. 스트레스 반응과 주관적 웰빙 그리고 삶의 동기 및 기대는 각각 남자 고등학생의 인터넷 중독을 21.8%, 4.7%, 6.0% 가량을 설명하고 있었다. 인터넷 게임중독과 스트레스 반응 및 삶의 동기간의 관계를 본 연구의 결과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rnet game addiction, stress responses, subjective well-being, and life motivation/expectancy. Participants were 448 male students who were studying at two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and its suburb, whose ages ranged from 15 to 19 (M=16.54, SD=.73). Results indicated that potentially addicted group to internet games showed more stress responses than normal users, and highly addicted group showed more stress responses than potentially addicted group. Potentially addicted group and highly addicted group to internet games had experienced negative emotions than normal internet users. Highly addicted group to internet games were less motivated to live than potentially addicted group and normal internet users, and showed lower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than normal internet users. Each of stress responses, subjective well-being, and life motivation/expectancy accounted for around 21.8%, 4.7%, and 6.0% variance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internet game addiction. It was discussed the relations of internet game addition to stress responses and life motivation with findings of this study and previous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