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담배나방 의各態別 發生消長과 卵寄生蜂의 寄生率에 關한 調査

        崔鐀文,趙應行,蘇在鮮,黃昌淵 한국응용곤충학회 197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14 No.3

        담배나방의 각태별 발생소장을 조사하여 정확한 방제적기를 알고자 Black light-trap 및 실수조사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충은 연3회 발생하며 5월하순부터 월동용에서 우화하여 제일회는 6월하순-7월상, 중순, 제2회는 8월중, 하순, 제3회는 9월 중, 하순이었다. (2) 란은 7월초순부터 계속 증가하다가 8월하순-9월초에 최감기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회수는 뚜렷치 않았다. (3) 유충은 3회발생으로 회수가 뚜렷치 않고 7월초부터 발견되며 7월하순-8월초순에 최감기를 보이고 10월중순까지도 계속 볼 수 있었다. (4) 란기생봉의 기생율은 시기적으로 차이가 있으나 란의 밀도와 기생율과는 관계가 있으며 9월하순까지 평균 의 기생율을 보였다. (5) 란 1위에 기생하는 기생봉수는 1-4마리이고 그 빈도는 1마리의 기생이 , 2마리의 기생이이었다. Field experiments on red-pepper were conducted in Suweon area during 1972-1974 to determine the seasonal fluctuation of Heliothis assulta H. using black light traps and direct counts. Adult moths emerged in late May, and showed three peaks of fluctuation from late June to middle July, from middle August to late August, and in mid-September. Eggs were first discovered in the field in early July, with peak incidence Iron late August to early September. Larval peaks occurred in late July to early August, in late August and mid-September to mid-October Initial hatching in the field occurred in early July. The numbers of the first larval generation were the highest. The parasitization ratio of Trichogramma spp. on eggs averaged 51 percent during mid-July to mid-September. The numbers of Trichogramma spp. emerging from one tobacco bud-worm egg ranged from one to four, but in most cases one or two egg parasitizing wasps emerged.

      • KCI등재

        晋州地方에 있어서 끝동매미충 個體群의 年中發生經過

        嚴基白,李文弘,崔鐀文,朴重秀 한국응용곤충학회 198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24 No.4

        끝동매미충의 월동후부터 본답말기 까지의 밀도를 조사(調査)하여 발육경과(發育經過), 우화시기(羽化時期), 암성충의 성숙율등(成熟率等)을 조사(調査)하였다. 1. 끝동매미충은 주로 4령충으로 휴반잡초(雜草)에서 월동(越冬)하며 발육(發育)이 시작되면서 휴한답(독새풀)으로 이동(移動)하였다. 2. 월동성충(越冬成蟲)의 50%우화일(羽化日)은 '77년(年)이 4월(月) 8일(日) '78년(年)이 3월(月) 30일(日)이었다. 3. 월동성충(越冬成蟲)의 산란(産卵)은 4월(月) 하순(下旬)부터 5(月) 상순(上旬) 사이에 가장 많이 되었다. 4. 제1세대(第1世代) 성충(成蟲) 50% 우화일(羽化日)은 '77년(年)이 6월(月) 11일(日) '78년(年)이 6월(月) 10일(日)로 차이(差異)가 없었다. 5. 본답(本畓)에서는 2세대(世代)를 경과(經過)하였으며 연도간(年度間) 큰차(差)없이 안정(安定)되어 있었다. 6. 머리파리류(類)에 의한 기생율(寄生率)은 7월중순(月中旬)부터 8월중순(月中旬)사이에 가장 높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easonal occurrence of Green Rice Leafhopper(GLH), Nephotettix cincticeps Uhler population in the field at Jinju in . GLH density was observed by suction catcher (D-Vac, 33cm in diameter) for overwintering population and by direct visual counting for paddy field population. GLH overwintered mainly as 4th-instar nymph in the levee and moved to the foxtail growing in the paddy with development after winter. The mean emergence date of adults, of the overwintered generation was on April 8 in 1977 and March 30 in 1978, and that of 1st generation was on June 11 in 1977 and June 10 in 1978. Adults of overwintered generation oviposited in foxtail from late April to early May. GLH occurred two generations in the paddy field and the population size in the paddy field was not greatly changed in two years.

      • KCI등재

        品種間 멸구·매미충의 發生相 調査

        嚴基白,李文弘,崔鐀文 한국응용곤충학회 198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25 No.2

        경남(慶南) 진주지방(晋州地方)에서 1977년(年), 78년(年)에 통일계(統一系) 품종(品種)인 밀양(密陽) 23호(號)와 일반계(一般系) 품종(品種)인 추청(秋晴)벼를 재배(栽培)하여 4종(種)의 멸구 매미충의 밀도(密度)를 조사하였다. 애멸구는 전체적(全體的)인 발생량(發生量)이 적었으나 추청(秋晴)벼에서 밀도(密度)가 높았으며 끝동매미충은 추청(秋晴)벼, 흰등멸구 벼멸구는 밀양(密陽) 23호(號)에서 각각 밀도가 높았다. 시기별(時期別) 분포(分布)에서 추청(秋晴)벼에서는 6, 7, 8월(月)에 끝동매미충의 분포비율(分布比率)이 높았으며 9월(月)에는 벼멸구가 많았다. 밀양(密陽) 23호(號)에서는 7, 8월(月)에는 흰등멸구가 8월(月)하순(下旬) 부터 9월(月)에는 벼멸구의 분포비율(分布比率)이 높았다. The densities of plant-and leaf hoppers were examined by direct counting the rice plant of two varieties, Milyang 23 and Chucheongbyeo, in Chinju. The densities of the small brown planthopper(SBPH), Laodelphax striatellus, and Green rice leafhopper(GLH), Nephotettix cincticeps were higher on Chuchungbyeo than on Milyang 23 throughout the season, whereas those of white backed planthopper(WBPH), Sogatella furcifera, and Brown planthopper(BPH), Nilaparvata lugens were high on Milyang 23. Seasonal densities of planthoppers were varied with rice plant growth, on Chucheong field, GLH was the predominant species from June to August and BPH was in September, but in Milyang 23 field, WBPH was more abundent from July to August and BPH was increased from late August and was the highest on September.

      • KCI등재

        水原地方에 있어서 벼줄기굴파리의 發生經過

        黃昌淵,李英馥,金錫煥,李文弘,崔鐀文 한국응용곤충학회 198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는 포장(圃場)과 실내에서 벼줄기굴파리의 발생시기(發生時期), 유충(幼蟲)과 용의 발육경과(發育經過), 성충수명(成蟲壽命)과 각충태별(各蟲態別) 발육시간(發育期間)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벼줄기굴파리는 년3회 발생하며 발생최성기(發生最盛期)는 각각 5월중하순, 7월상순, 9월중순이었다. 2 제1화기 발생최성기(發生最盛期)는 월의 평균기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3. 월동세대(越冬世代)의 3령충(齡蟲)은 3윌하순, 제l세대 유충은 본답초기, 제2세대 용과 성충은 8월하순에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4. 벼줄기굴파리는 실내조건 ()에서 성충수명이 18.9일, 산란전기간(産卵前期間)은 3.6일, 산란기간(産卵期間)은 6.2일, 산란수(産卵數)는 50.1립(粒)이고, 정온(定溫)에서 난기간은 7일, 용기간은 14일, 에서 유충기간은 25일로 제l세대기간은 약 46일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easonal occurrence and developmental periods of Rice stem maggot (RSM), Chlorops oryzae Matsumura, at laboratory and in the fields in . RSM occurred three generations a year. Peak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generation was middle to late May, early July and middle September. Longevity of the first generation adult averaged 18.9 days and the oviposition was 50 eggs per fly. The eggs, larval and pupal period was 7, 25, 14 days respectively.

      • KCI등재

        벼줄기굴파리에 대한 水稻의 品種抵抗性

        李英馥,黃昌淵,李文弘,崔鐀文,安長憲 한국응용곤충학회 198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25 No.1

        벼줄기굴파리에 대한 저항성(抵抗性) 검정방법(檢定方法)을 확립하고 주요 품종의 저항성정도들 알기 위하여 포장과 폿트에서 피해(被害)와 사충율(死蟲率)을 조사한 결과, 1. 포장에서 다수계품종(多收系品種)이 일반계품종(一般系品種)보다 피해가 심하였고, 1, 2화기 피해간에는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 ()가 있었다. 2. 산란선호성(産卵選好性)은 품종간에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3. 유충의 경내(莖內) 침입율(侵入率)은 수도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낮아졌다. 4. 품종 저항성(抵抗性) 기작(機作)은 주로 항충성(抗蟲性)(antibiosis)에 기인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5. 품종별 피해엽수(被害葉數)와 사충율(死蟲率)간에는 고도(高度)의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81년:, '82년:)가 있었다. 6. 품종저항성(品種抵抗性) 검정(檢定)은 파종 일 된 묘에 갓부화한 유충을 접종하고, 접종 20일후에 사충율(死蟲率)을 조사하는 것이 합리적이었다. 7.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은 낙동벼, 진주벼, 추청벼 등이고, 감수성품종(感受性品種)은 금강벼, 밀양 23호, 백양벼, 밀양 30호 등이다. To establish a method for measuring varietal resistance against rice stem maggot in field and pot, 20 varieties were used in . The degree of injured stems by the 1st generation larva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at of injured panicles by the 2nd (). There was no ovipositional preference in rice stem maggot. The larval mortality after artificial infestation varied widly from 5.6 to 100% in varieties and that of the resistant varieties was high after boring.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number of injured leaves and larval mortality after artificial infestation (). It is considered that larval mortality mainly caused by antibiosis and larval mortality 20 days after infestation on rice seedlings is ideal for evaluating the varietal resistance to rice stem maggot. Resistant varieties are Nagdongbyeo, Jinjubyeo and Chucheongbyeo susceptible varieties, Keumgangbyeo, Milyang 23, Baigyangbyeo and Milyang 3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