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글로벌 소싱과 자금소득격차:이론과 실증

        최용 한국경제학회 2000 經濟學硏究 Vol.48 No.1

        본 논문은 글로벌 소싱이 산업내 임금소득격차와 산업간 임금소득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究明한다. 일반균형모형으로부터 임금소득격차에 관한 이론방정식을 도출한 뒤 이를 실증한다. 실증결과는 이론모형이 예측하는 방향과 합치하였을 뿐만 아니라 불분명한 관계를 밝히는 데에도 기여하였다. 주요 발견 가운데 하나는 산업간 임금소득격차가 다양한 중간재의 이윤마진과 陰의 관계를 갖는 데 반해, 貿易財 산업내의 임금소득격차는 그것과 陽의 관계를 갖는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산업간 임금소득격차뿐만 아니고 貿易財 산업내의 임금소득격차도 글로벌 소싱의 상대적 强度와 陰의 관계를 가진다는 것이다.

      • 韓國企業部問의 金融借入과 負債效率

        崔鎔壹 서울大學校經濟硏究所 1997 經濟論集 Vol.36 No.3

        본고는 기업부문의 금융차입비용과 부채의 累增 사이의 관계를 유동성승수나 부채의 외부효과와 같은 새로운 개념을 이용하여 고찰한다. 한국과 같은 외부금융차입의존도가 높은 경제에서 기업부문의 부채효율이 유동성승수나 부채의 외부효과라는 지표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음을 보이고, 한국자료를 이용하여 이를 측정한다. 그 결과, 한국 민간기업부문의 부채효율은 단기 유동성효과보다도 장기에 걸친 金融負積累增經歷에 따른 외부효과에 상대적으로 강하게 영향을 받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것은 통화당국의 재량적 금융정책의 유효성이 매우 제약받는 구조임을 의미한다.

      • 通話衝擊의 經常收支影響과 마크-업 및 先業-인플레 交換率의 役割

        崔鎔一 서울大學校經濟硏究所 2004 經濟論集 Vol.43 No.1-2

        먼델-플레밍 模型9the Mundell-Fleming model) 이래로 개방거시경제이론의 통설은 국내 통화공급의 증가는 경상수지를 개선시킨다는 것이다. 그러나, 본고는 다양한 중간재가 글로벌 소싱되며 자본시장이 불완전한 개방거시모형에서 최종재 가격은 신축적이지만 중간재 가격은 글로벌 차원에서 LCP(local-currency pricing)방식의 경직성을 보이고, 비자발적 실업이 존재할 때 국내 통화공급의 증가가 반드시 경상수지의 개선을 초래하지 않으며, 자연율을 초과한 실질임금 인플레와 실업률간이 交換(trade-off) 계수, 한계비용을 초과한 가격인상률을 나타내는 마크-업(markup)계수의 값 여하에 따라 경상수지가 개선, 악화, 중립적일 수 있음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자본시장이 불완전할 때 LCP방식에 의한 중간재 가격의 글로벌 경직성과 이로 인한 비자발적 시럽이 발생한다면, 통화정책은 변동환율제도하에서도 경상수지변동을 조절하는 최적개입정책이 될 수 없음을 시사한다. 달리 말해, 중앙은행의 통화공급조절을 통한 외환시장개입정책이 최적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마크-업이나 인플레-실업 트레이드 오프의 왜곡을 적절히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독점적 경쟁 下의 글로벌 중간재 가격 경직성과 통화 및 재정충격의 실질효과

        崔鎔一 한국국제경제학회 2003 국제경제연구 Vol.9 No.2

        세계화와 공업화의 확산으로 인해 최종재부문에서는 가격경쟁이 치열해지고있으나, 중간재부문에서는 高기술을 바탕으로 불완전경쟁이 오히려 심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통화 및 재정충격의 실질효과는 단순히 불완전경쟁과 명목경직성을 도입한 모형의 경우와 달라질 수가 있다. 본 고는 다양한 중간재가 글로벌소싱되는 개방거시모형에서 최종재 가격은 신축적이지만 중간재 가격은 단기간 글로벌 차원에서 LCP(local-currency pricing) 방식의 경직성이 존재할 때 통화 및 정부지출 충격의 실질효과와 그 결정요인을 규명하다. 주요한 발견으로는 첫째, 글로벌 중간재 가격의 경직성과 더불어 노동시장에 구조적인 비효율이 존재한다면 국내 통화 및 재정충격이 국내 중간재 수요에 미치는 영향은 불확실해진다. 둘째, 최적취업률이 실업-임금인플레 트레이드-오프 계수의 절대값과 같다면 중간재 가격의 경직성이 존재할지라도 산출량변동이 국내외 통화 및 재정정책에 대해 단기 중립적이다. 셋째, 자연실업률과 실업-임금인플레 트레이드-오프계수의 값은 환율의 자유변동이 소망스러운 효과를 낳는 데 중요한 제약조건으로 작용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short-run real effects of money and government spending shocks in a new open-economy macro model with global sourcing when prices of intermediate goods are globally sticky in LCP(local-currency pricing), but consumer prices are flexibl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f there exists the structural inefficiency of labor market, then the effects of home money and government spending shock on domestic intermediate-good demand changes are uncertain with global intermediate-good price stickiness; Second, if the optimal employment rate equals the absolute value of the trade-off coefficient between unemployment gap and excess real wage inflation, then the effects of money and government spending shocks on final output changes are neutral in spite of global intermediate-good price stickiness; Third, the natural unemployment rate and the trade-off coefficient between unemployment gap and excess real wage inflation play a key role for exchange rate changes to bring beneficial real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