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생태체계적 관점에 기반한여중생의 신체상 개선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최경일(Kyung Il Choi),조성심(Sung Sim Cho)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4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39
In these time, many people were dissatisfied with their body images. And these trends were showed with middle school girl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program to improvement the body image for middle school girls. For this study, 15 middle school girls were participated in program based on ecosystem perspectives and 10 middle school girls don``t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to compare the degree of change about body image. This study reveal that this program is effective to self-esteem, relationship with others, communication with family members, satisfaction to school and body image for middle school girls. The result suggests that some practical ideas to support and change the individual, family, peer group and school systems that affect to body image of middle school girls.
한복문화주간 지역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전주시를 중심으로-
최경은 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06 初等敎育硏究 Vol.31 No.2
이 연구는 2019 한복문화주간 개최도시로 선정된 전주시 지역프로그램과 자료를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한복문화주간 행사 프로그램은 크게 개막・폐막행사, 강강술래경연대회, 한복문화체험교육 부스운영, 세미나 등으로 구성하였다. 한복디자이너초청갈라쇼, 시민참여 프로그램로 패션쇼, 강강술래, 침선소품만들기, 한복퀴즈대회, 한복인형접기만들기, 한복입기체험, 한복포토존 등을 운영하여 한복을 테마로 유초중등학생, 가족단위, 동호인 등 전 생애주기가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참여형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고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전주한복문화주간은 한복을 매체로 전주시민과 관광객 대상으로 한복문화를 향유할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전주시 고유의 이미지에 걸맞는 행사를 창출하여 운영되어야할 것이다. 한복에 대한 올바른 이해과 긍정적 인식을 바탕으로 한복문화가 정착, 확산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구성과 운영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