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강정모 한국제도∙경제학회 2023 제도와 경제 Vol.17 No.3
The paper attempts to institutionally examine the effect of policy-augmented human capital on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Korea.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England was competitively led by private companies based on the demand of farmers who became wealthy through industrialization. On the contrary, Korea carried out the 1st, 2nd and 3rd industrial revolutions almost simultaneously with government-led plans and based on export demand. All industrial revolutions were the result of openness and innovation, and the source of innovation was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became the driving force of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The basic factors impeding economic development are (i) a lack of ability to recognize and seize the opportunity, and (ii) a lack of incentive to exploit the opportunity. In an open economy, opportunity is endogenous depending largely on one’s desire, vision and capabilities. Human capital in economic sense is defined as the capacity to recognize opportunity (i.e. the capacity to acquire and digest information, and to achieve certain economic goals). In Korea, “policy-augmented human capital”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industrial revolu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Policy-augmented human capital refers to human capital that has competent leaders with economic development plans. The combination of human capital as such with effective policies and strategies will create an environment where dormant innovative forces can be awakened and unleashed. Korea’s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explained by five propositions that support economic development. Firstly, human capital augmented by policies determines the specialization of products, the nature and direction of trade, and the pace of economic growth. Secondly, the national wealth is determined by the size and the portfolio of diverse productive industries which is a function of human capital. Thirdly, changing size and composition of a country’s portfolio of productive industries is an intended outcome of industrial policy. Fourthly, a prosperous economy has better chance of achieving democracy than vice versa. Finally, if human capital augmented by policy is a necessary condition, political and social stability is a sufficient condition.
강정모 한국제도경제학회 2014 제도와 경제 Vol.8 No.2
홍익인간이념은 대한민국의 건국이념·정치이념·교육이념·윤리이념으로 세상에 지식·인정·의사 (意思)·정보(情報)·일자리·물자 등이 물처럼 넘쳐흐르게 하는 것이고, 막힘이 없는 원활한 소통을 의미한다. 인간(人閒)은 사람 개개인뿐만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이(閒)의 공동체를 지칭하여 인류만이 아닌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의 조화를 기조로 한다. 인간에게 지식과 정보 및 재물을 불려서 넘쳐나 도록 풍요롭게 한다는 것은 경제성장과 부(富)의 축적에 기여한 각자의 몫에 따라 고르게 배분되는 상 생하는 공동체를 의미한다. 그러나 모두가 똑같이 나누는 평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살아있는 동안 잘 다스려 인도하라는 것으로서 보편적인 자유, 정의, 평화의 방향으로 동화시키는 것을 뜻한다. 홍익인간정신을 경제발전의 필수조건인 발전정신으로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① 홍익인간은 인류의 발 전과 복지에 헌신하는 로드맵이 있는 전략가이며 전문가가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② 시장경제의 도덕 적 기초인 자연적 자유와 정의가 바로 서야 한다. ③ 국민 각자의 다양성을 살려 그들만의 분야에서 각 자의 방법으로 사회에 공헌하도록 한다. ④ 개개인의 창의성은 치열한 경쟁과 혁신 속에서 기회를 만들 어 내는 것이므로 정신과 지식 면에서 내실 있는 교육훈련을 지속적으로 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정 신자본의 형성에 더 많은 비중을 두는 교과과정의 변화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