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환경 변동에 따른 경ㆍ연질 소맥의 등숙 및 품질의 변화에 관한 연구

        영수,Young-Soo Han 한국작물학회 1974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 No.17

        These studies were made at Suwon in 1972 and at Suwon, Iri, and Kwangju in 1973 to investigate grain filling process and variation of grain quality of NB 68513 and Caprock as hard red winter wheat, Suke #169 as soft red winter wheat variety and Yungkwang as semi-hard winter variety, grown under-three different fertilizer levels and seeding dates. Other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d the effects of temperature, humidity and light intensity on the grain filling process and grain quality of Yungkwang and NB 68513 wheat varieties.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Suwon in 1973 and 1974. 1. Grain filling process of wheat cultivars: 1)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a grain weight shows that wider distribution of grain weight was associated with large grain groups rather than small grain group. In the large grain groups, the frequency was mostly concentrated near mean value, while the frequency was dispersed over the values in the small grain group. 2) The grain weight was more affected by the grain thickness and width than by grain length. 3) The grain weight during the ripening period was rapidly increased from 14 days after flowering to 35 days in Yungkwang and from 14 days after flowering to 28 days in NB 68513. The large grain group, Yungkwang was rather slowly increased and took a longer period in increase of endosperm ratio of grain than the small grain group, NB 68513. 4) In general, the 1, 000 grain weight was reduced under high temperature, low humidity, while it was increased under low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 an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 The effect of shading on grain weight was greater in high temperature than in low temperature condition and no definite tendency was found in high humidity condition. 5) The effects of temperature, humidity and shading on 1, 000 grain weight were greater in large-grain group, Yungkwang than in small grain group, NB 68513.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1, 000 grain weight and days to ripening. 6) The 1, 000 grain weight and test weight were increased more or less as the fertilizer levels applied were increased. However, the rate of increasing 1, 000 grain weight was low when fertilizer levels were increased from standard to double. The 1, 000 grain weight was high when planted early. Such tendency was greater in Suwon than in Kwangju or Iri area. 2. Milling quality: 7) The milling rate in a same group of varieties was higher under the condition of low temperature, high humidity and early maturing culture which were responsible for increasing 1, 000 grain weight. No definite relations were found along with locations. 8) In the varieties tested, the higher milling rate was found in large grain variety, Yungkwang, and the lowest milling rate was obtained from Suke # 169, the small grain variety. But the small grained hard wheat variety such as Caprock and NB 68513 showed higher milling rate compared with the soft wheat variety, Suke # 169. 9) There were no great differences of ash content due to location, fertilizer level and seeding date while remarkable differences due to variety were found. The ash content was high in the hard wheat varieties such as NB 68513, Caprock and low in soft wheat varieties such as Yungkwang and Suke # 169. 3. Protein content: 10) The protein content was increased under the condition of high temperature, low humidity and shading, which were responsible for reduction of 1, 000 grain weight. The varietal differences of protein content due to high temperature, low humidity and shading conditions were greater in Yungkwang than in NB 68513. 11) The high content of protein in grain within one to two weeks after flowering might be due to the high ratio of pericarp and embryo to endosperm. As grains ripen, the effects of embryo and pericarp on protein content were decreased, reducing protein content. However, the protein content was getting increased from thre 본연구는 1972년에 수원에서 그리고 1973년에는 다시 수원, 매리 및 이리 광주의 3개 지역에서 경질 소맥인 NB 68513, Caprock와 중간질 소맥인 영광, 연질 소맥인 수계 169호를 공시하여 시비량 및 재배시기를 각각 3수준의 처리를 두어 등숙 및 품질의 변화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한편 1973년 및 1974년에는 수원에서 중간질 소맥인 영광과 경질 소맥인 NB 68513을 공시하고 온실에서 온도, 습도 및 일사량을 달리하여 이들이 소맥의 등숙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추구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맥립의 등숙: 1) 1립중의 변이폭은 대립종이 소립종에 비하여 크고, 립중별 소맥립의 분포는 대립종이 평균치에 가까이 분포된 율이 높았고, 소립종은 넓은 분산을 보였다. 2) 립중의 증가에 미치는 립장, 립후 및 립폭의 영향의 정도는 립장보다 립후와 립폭이 컸다. 3) 등숙 시기별 립중의 변화에 있어서 영광은 개화후 14일부터 35일까지, NB 68513은 14일부터 28일까지에 급증하였고, 대립종인 영광은 소립종인 NB68513에 비하여 등숙기간이 길었으며 배란비율도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4) 1000립중은 대체로 저온에서보다 고온에서, 다습보다 건조한 공중습도 조건에서 가벼웠고, 저온이나 고온에서라도 다습 조건하에서는 무거운 경향을 보였다. 또한 서광의 영향은 저온에서보다 고온에서 컸으며, 다습한 경우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5) 등숙기간중 온도, 습도 및 서광의 영향은 소립종인 NB 68513보다 대립종인 영광에서 컸으며, 1000립중의 증감과 등숙일수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다. 6) 1000립중과 1$\ell$중은 시비량의 증가에 따라 무거워졌으나, 보비와 다비구간에는 그 증가율이 비교적 낮았고, 조숙재배는 만파재배보다 무거웠으며, 이와 같은 경향은 수원에서 현저하였고 광주 및 이리에서는 미미하였다. 2. 제분성: 7) 동일 품종에서 1000립중이 무겁게 나타난 저온다습 조건 및 조숙재배가 고온, 건조, 조건 및 만파재배에 비하여 제분율이 높았고, 지역간 차이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8) 제분율은 영광이 가장 높고 수계 169호가 가장 낮았으며, 경질 소립종인 Caprock, NB 68513은 연질 소립종인 수계 169호보다 높았다. 9) 회분 함량은 지역, 시비량 및 재배시기에 따른 차이는 작았고, 품종간 차이는 컸으며, NB 68513 및 Caprock는 영광 및 수계 169호보다 현저히 높았다. 3. 단백질 함량: 10) 단백질 함량은 1000립중이 가벼웠든 고온, 건조 및 서광 조건에서 저온, 다습 조건에서보다 높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영광에서 현저하고 NB 68513에서 적었다. 11) 종질의 단백질 함량은 개화후 1~2주일 사이에 높았는데, 이는 배란에 대한 배와 종피의 비율이 크기 때문이었고, 등숙이 진전됨에 따라 배, 종피의 영향은 감소되며, 달서 단백질 함량도 감소되었으나 개화후 3~4주부터는 다시 단백질함량이 증가되어 개화후 7주에 최대에 달하였다. 등숙 중기(개화후 3~4주) 이후의 단백질함량 증가는 대체로 1000립중의 증가와 비슷하였으나, 성숙된 종실의 단백질 함량의 증감은 등숙기간의 장단의 영향보다는 역일상에 따른 기상적 환경, 특히 기온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보였다. 12) 소맥분의 단백질 함량은 종실의 단백질 함량의 변화와 같아서 이 양자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다. 13) 단백질 함량은 각 품종 모두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또 재배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수원에서는 광주, 이리에서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