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育成期의 飼養形態가 닭의 體重 卵重및 체位에 미치는 影響

        印致雄 안성산업대학교 1971 論文集 Vol.3 No.-

        育成期이 飼養形態가 닭의 體重, 卵重 및 體位에 d如何히 影響을 미치는가를 驗知코저 Badcock種을 가지고 Cage 平飼 및 平飼点燈區를 設置하여 試驗飼育을 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1. 體重 : Cage 飼養區는 運動不足으로 因하여 體重이 잘 發達하지 못했고 平飼点燈區는 点燈으로 因하여 體重의 增加를 抑制한 結果가 되었다. 2. 卵重도 Cage 飼養 및 点燈에 依해 減少傾向으로 나타났으며 減少量은 1g 程度이었다. 3. 胸圍 : 平飼는 点燈에 關係없이 Cage 飼養에 비해 越等히 胸圍를 增加시키는데 有效했다. 그 效果는 1.5cm程度나 되었다. 4. 飼養形態의 差異는 龍骨長, 脛骨長과 같은 體位發達에는 아무런 影響을 주지 못했다.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aising types of hen on the body weight egg weight and body type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the treatments of cage raising ground raising, lighted ground raising,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treatment of cage and light decreased the body weight 2. Egg weight also have decreased by the treatments of cage and light. 3. Ground raising have remarkably increased the chest circumference in both case of light or nonlight. 4. The difference of raising type did not increased the both the lenght of keel and tibia.

      • 産卵鷄育成에 있어서 乾燥鷄糞의 經濟性에 關한 硏究

        印致雄 안성산업대학교 1980 論文集 Vol.12 No.-

        1) 本 硏究는 産卵鷄育成에 있어서 乾燥鷄糞의 經濟的 利用性을 檢討하기 爲하여 安全配合飼料中의 0, 5, 10및 15%를 乾燥鷄糞으로 代置한 4個의 實驗飼料를 中雛(7∼12週齡) 大雛(13∼20週齡)에 給與하였으며 그리고 또 産卵期間(21∼36週齡)을 合하여 總 30週齡동안 實驗飼育하였다. 2) 中雛및 大雛의 增體量및 飼料要求率은 有意差가 없었으나 飼料攝取量은 건조계분의 含量이 많아질수록 有意差는 높아졌으나 15週齡부터 20週齡까지는 有意差가 없이 서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3) 건조계분으로 代置한 飼料를 給與하면 初産日齡(50%産卵日齡)이 3∼5日 정도 빨라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이때에 10% 15% 代置한 區에서는 卵重이 對照區 및 5% 代置區에 比해서 增加되는 경향이 있었다. 4) 産卵率은 全體的으로 34週齡까지는 95% 까지 올라갔으나 各區사이에는 有意差는 發見되지 않았으며 24週齡에서 30週사이에는 15% 代置한 區가 産卵率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5) 卵重은 週齡이 經過함에 따라 增加하였으나 各 區間 有意差는 發見되지 않았다. 6) 건조계분의 價格을 配合飼料의 25%(1/4)로 보고 건조계분을 代置한 飼料를 給與하면 3∼4%의 飼料費가 節減되었고 大雛의 飼料費는 건조계분의 價格을 配合飼料의 50%(1/2) 33%(1/3)및 25%(1/4)로 假定했을때 飼料中에 乾燥鷄糞의 含量이 높을수록 飼料費 節減比率이 높았고 15% 代置한 飼料를 給與하면 各各 3%, 6%및 7%가 節減되었다. 7) 以上과 같이 完全配合飼料에 對한 건조계분의 代置 比率은 中雛飼料에서는 5%區가 大雛飼料에서는 15%區가 가장 經濟性이 좋았다. 1. In order to determine the utilizability of dried poultry waste, diets substituted with 0, 5, 10 and 15% of the dried poultry waste with completely balanced commercial diets were fed to grower and pullete and grouth rate, feed conversions and economics in the grower and pullete, and thereafter egg production, were investigated. 2. Body weight gains of grower and pullete and feed conversions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among birds fed experimental diets. When the contents of the dried poultry manure were increased, feed intake were increased but similar values were observed at 15 to 20 weeks of age. 3. The birds fed diets substituted with the dried poultry manure shorten three to five days for the egg production of 50%, but 10 and 15% substituted groups showed an increasing tendency of egg weight as compared to control and 5% in the period. 4. Generally egg production rate was elevated to 95% in the course of 34 weeks of age 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were seen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but an improving trend was seen in the birds fed 15% substituted diets at the age of 24 to 30 weeks. 5. Egg weight was shown a tendency of improving as the age of weeks proceeds but no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experimental diets. 6. In the view of economics, the possible substitution rate of the dried poultry manure with the completely balanced commercial diets was 5%in the grower diet and 15% in the pullete diet.

      • 계란으로 부터의 E. coli 특이 항체 대량 생산에 관한 연구

        인치웅,강창수,강병화 안성산업대학교 1995 論文集 Vol.27 No.-

        포르말린으로처리한 장독소 E. coli을 20주령닭(이사브라운)에 면역시켰을 때 약 2주 경과 후 계란에서 항 E. coli 특이 항체의 생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8주 후에 최고치에 도달하였다. 그리고 난황의 특이 항체 역가는 25주 후까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계란 항체 단백질은 PEG 분리·정제법으로 8.66㎎/㎖ 의 수율로 항체를 얻을 수 있으며, 이 항체의 역가는 파쇄된 E. coli을 이용한 ELISA로 측정하였다. 이 항체를 Trypticase Soy Brith에 1∼10㎎/㎖의 비율로 첨가하여 E. coli과 혼합 배양하였을 때 E. coli의 생장을 현저히 억제함을 알 수 있어 계란 항체를 이용한 설사 예방·치료제 및 건강 보조 식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Hens immunized with formalin-treated E. coli antigen, and anti-E. coli antibody(IgG) could be detected in egg yolks 2 weeks after the first antigen injection, reached peak at about 8 seeks. Levels of specific antibody activity in egg yolk continued 25 weeks after first immunizqation. Active immunoglobulin protein was isolated from egg yolk of immunized chickens with PEG purification method. Purification yield was 8.66㎎ per 1㎖ egg yolk. The antibody activity was measured by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with sonicated E. coli cell as antigen. The anti-E. coli antibody(IgG) inhibited E. coli growth in trypticase soy broth culture at low concentration(1∼10㎎ IgG/㎖ TSB). It appears possible to use IgG for the formulation of food and therapeutic products, especially diarrhea.

      • 계사형태가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인치웅 안성산업대학교 1994 論文集 Vol.26 No.-

        무창계사와 개방계사가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무창계사에는 Loman Brown종 산란계 70,000수를, 개방계사-I에는 Isa Brown종 산란계 13,530수를, 개방계사-Ⅱ에는 Manina Brown종 산란계 18,800수를 공시하여 1년간 생산성을 조사하였다. 산란율, 산란지수 및 성계의 생존율은 무참계사에서 개방계사보다 높았으며, 판란율은 무창계사에서 개방계사보다 낮았다. 사료요구율은 무창계사가 개방제사보다 낮았으며, 성성숙일령은 무창계사에서 개방계사에서 보다 늦었다. 난중은 무창계사에서의것이 개방계사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o investigate the productivity of layer hens at windowless housing systems and window housing system, 70,000 birds of Loman Brown strain were housed in windoweless housing system and 13,530 birds of Isa Brown and 18,800 birds of Manina Brown were housed in tow window housing systems, repectively. Feeding trial was for 1 year and egg production, hen viability, egg weight and creaked eggs were collected. Hen-day egg production, hen-housed egg production, and hen's viability were higher in windowless housing system while cracked eggs were higher in window housing systems. Feed requirement was reduced in windowless housing system and sexual maturity earier in window housing systems than in windowless housing system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ductivity of laying hen is higher in windowless housing system than in window housing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