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istribution of Parvalbumin-Immunoreactive Retinal Ganglion Cells in the Greater Horseshoe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전영기,김태진,이은실,주영락,전창진,Jeon, Young-Ki,Kim, Tae-Jin,Lee, Eun-Shil,Joo, Young-Rak,Jeon, Chang-Jin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8

        파브알부민(pa π albumin)은 망막의 다양한 세포타입에서 분포하고 있다. 본 연구팀은 이전연구에서 박쥐 망막의 내핵층에서의 파브알부민의 분포를 보고하였다. 현재 연구에서 본 연구팀은 한국관박쥐 (Rhinolophus ferrumequinum) 망막의 신경절세포층에 존재하는 파브알부민을 함유하는 신경세포를 규명하였고, 이들 세포의 분포양상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파브알부민의 면역반응성은 신경절세포층의 다수 세포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들 세포는 주로 중간형 이상 크기의 세포체를 가지고 있었다. 조사된 세포체의 직경은 12.35 - 19.12 ${\mu}m$ 의 범위를 가지며 (n=166), 신경섬유층의 섬유 역시 염색되는 것으로 보아, 파브알부민을 함유하는 신경절세포는 대부분이 중간형이상 크기의 신경절세포임을 뒷받침하고 있다. NND (nearest neighbor distance) 분석을 통해서 본, 평균 NND는 59.57 에서 62.45 ${\mu}m$ 로 나타났으며, 평균 RI (regularity index) 는 2.95 ${\pm}$ 0.3 (mean${\pm}$s.d., n=4) 으로 계산되었다. 이를 종합해보면, 파브알부민은 한국관박쥐 망막의 신경절세포층에서 중간형이상 크기의 신경절세포에서 주로 발현하고 있으며, 이들은 규칙적인 배열을 가진 채 잘 조직화된 분포양상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규명되어 있지 못한 박쥐의 시각에 대한 이해에 중요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Parvalbumin occurs in various types of cells in the retina. We previously reported parvalbumin distribution in the inner nuclear layer of bat retina. In the present study, we identified the parvalbumin-immunoreactive neurons in the ganglion cell layer of the retina of a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and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labeled neurons. Parvalbumin immunoreactivity was found in numerous cell bodies in the ganglion cell layer.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that these cells had medium to large-sized somas. The soma diameter of the parvalbumin-immunoreactive cells in the ganglion cell layer ranged from 12.35 to 19.12 ${\mu}m$ (n=166). As the fibers in the nerve fiber layer were also stained, the majority of parvalbumin-immunoreactive cells in the ganglion cell layer should be medium to large-sized retinal ganglion cells. The mean nearest neighbor distance of the parvalbumin-immunoreactive cells in the ganglion cell layer of the bat retina ranged from 59.57 to 62.45 ${\mu}m$ and the average regularity index was 2.95 ${\pm}$ 0.3 (n=4). The present results demonstrate that parvalbu-min is expressed in medium to large-sized retinal ganglion cells in bat retina, and they have a well-or-ganized distributional pattern with regular mosaics. These results should be important as they are applicabl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unsolved issue of a bat vision. This data will help to provide fundamental knowledge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unique behavioral aspects of bat flight maneuverabil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관박쥐망막에서 칼레티닌 면역반응성 무축삭세포의 관찰

        전영기,전창진 한국안광학회 2007 한국안광학회지 Vol.12 No.4

        Calretinin의 생리적 역할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지만, 칼슘 buffer로서의 작용과 칼슘 중재의 신호 변환에 적극적 으로 작용하고 있다. Calretinin은 인간의 망막에서 성체 광수용체 세포와 이극세포, 수평세포에서 칼슘의 수송과 칼 슘의 생리적 buffering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한국관 박쥐의 망막의 내핵층과 신경절세포층에서 calretinin의 면역세포화학반응 신경세포들과 그 분포 양상을 조사하여 우리는 박쥐 망막에서 calretinin에 면역세포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AII 무축삭세포를 내핵층에서 그리고 신경절세포층에서는 신경절세포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의 관찰연구는 우리의 이전 연구와 더불어 박쥐 시력의 풀리지 않는 문제와 박쥐비행의 기동성의 독특한 행동 적인 측면들을 더욱 많이 이해하는데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Although the physiological roles of calretinin have not been established, it may simply work as a calcium buffer or may actively work in calcium-mediated signal transduction. Calretinin plays a little role in the transport and physiological buffering of calcium in the adult photoreceptor cells, bipolar cells and horizontal cells of the human retina. We identified the calretinin-immunoreactive neurons in the inner nuclear cell layer and ganglion cell layer an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labeled neurons in the retina of a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in this study. We observed the existence of calretinin-immunoreactive AII amacrine cell in the inner nuclear layer and ganglion cells in the ganglion cell layer of bat retina through this study. This observation must be significant along with our previous studies as we need to study for more understanding about the unsolved issue of a bat vision and the unique behavioral aspects of bat flight maneuverability.

      • KCI등재

        Calretinin-Immunoreactive Amacrine Cells and Ganglion Cells in the Greater Horseshoe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전영기,전창진,Jeon, Young-Ki,Jeon, Chang-Jin The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2007 한국안광학회지 Vol.12 No.4

        Calretinin의 생리적 역할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지만, 칼슘 buffer로서의 작용과 칼슘 중재의 신호 변환에 적극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Calretinin은 인간의 망막에서 성체 광수용체 세포와 이극세포, 수평세포에서 칼슘의 수송과 칼슘의 생리적 buffering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한국관 박쥐의 망막의 내핵층과 신경절세포층에서 calretinin의 면역세포화학반응 신경세포들과 그 분포 양상을 조사하여 우리는 박쥐 망막에서 calretinin에 면역세포화학반응을 일으키는 AII 무축삭세포를 내핵층에서 그리고 신경절세포층에서는 신경절세포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의 관찰연구는 우리의 이전 연구와 더불어 박쥐 시력의 풀리지 않는 문제와 박쥐비행의 기동성의 독특한 행동적인 측면들을 더욱 많이 이해하는데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Although the physiological roles of calretinin have not been established, it may simply work as a calcium buffer or may actively work in calcium-mediated signal transduction. Calretinin plays a little role in the transport and physiological buffering of calcium in the adult photoreceptor cells, bipolar cells and horizontal cells of the human retina. We identified the calretinin-immunoreactive neurons in the inner nuclear cell layer and ganglion cell layer an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labeled neurons in the retina of a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in this study. We observed the existence of calretinin-immunoreactive AII amacrine cell in the inner nuclear layer and ganglion cells in the ganglion cell layer of bat retina through this study. This observation must be significant along with our previous studies as we need to study for more understanding about the unsolved issue of a bat vision and the unique behavioral aspects of bat flight maneuver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