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АКТУАЛЬНЫЕ ЛЕКСИКОНЫ РУССКИХ И КОРЕЙСКИХ СТУДЕНТОВ

        Мун Сон Вон(문성원),Агибалов А.К.(아기발로프) 한국노어노문학회 2000 노어노문학 Vol.12 No.2

        본 논문은 첫째, 러시아의 대학생들과 한국 대학생들의 심성 어휘목록, 또는 머릿속 사전을 작성하고, 둘째, 그 결과를 분석하여 러시아와 한국 대학생들의 심성 어휘목록에 나타난 인지적 특성을 밝혀, 교수법에 적용하고자 하는 일련의 연구의 첫 부분이다. 이 연구에서 심성 어휘목록 도출을 위해 공동 연구자인 A.K. 아기발로프에 의해 제안된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이 방법은 지금까지 심성 어휘목록 도출 방법에 비해 설문 대상자들의 일련의 어휘연상 열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Приложение1. 2 참조).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컴퓨터에 입력 처리하면 빈도수에 따른 어휘목록(사전)을 작성할 수 있으며, 품사별 단어의 빈도수나 주제별 어휘장의 모델을 추출해 낼 수도 있다. (Та?л.3. 논문 3장 3.2참조). 비교 연구결과 러시아와 한국 대학생들의 표본그룹의 심성어휘목록의 전반적 구성에서는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논문 3장 3.1 참조). 반면에 단어의 빈도수에 나타난 각 어휘장 간의 우선순위나 어휘장의 구성 단어들에서는 다양한 차이점이 드러난다. 우선 공간개념을 위주로 살펴보면 : 1. 한국인의 언어의식 속에서는 사회적 관계의 중요도가 높은 반면, 러시아인의 언어의식 속에서는 공간-사물 인식이 우위를 차지한다((Приложение 1. 2 참조). 2. 한국인에게는 산, 바다. 섬 등을 포함한 나라전체가 소속공간으로 나타나는 반면 러시아인은 길, 극장, 전철 등으로 구성된 도시가 주공간으로 나타난다. 3. 한국 대학생들이 그들의 삶의 주된 공간을 학교라고 인식하는 반면 러시아 대학생들은 《집》을 주공간으로 인식한다. 4. 러시아 대학생들의 어휘 목록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연극, 전시회, 박물관들의 공간이 한국 대학생들의 목록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들은 한국인을 위한 러시아어 교육이나 러시아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육과정편성에 빈도수가 높은 어휘를 우선 배치할 수 있으며, 한국학생을 위한 교재에서는 학교라는 주제를 집보다 먼저 다루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지는 자료들은 인지-심리 언어학 분야에서 언어현상 연구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