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관숲 조성 기본계획 연구

        ()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 2011 한국경관학회지 Vol.3 No.2

        본 계획은 사회적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경관숲을 조성하기 위한 기본계획이다. 최근 경관숲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으나, 대부분이 제도와 관련된 연구에 그치고 있어 실제 경관숲을 조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계획은 경관숲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설계 절차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에 수행된 경관숲에 대한 기초 연구와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해 경관숲 조성을 위한 계획틀을 도출하였다. 계획틀을 도출함에 있어 생태적 측면과 경관미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고자 하였다. 본 계획에서는 경관숲 기본계획을 위해 경관권역을 구분하였고, 경관권역별로 생태적 특성과 시각적 특성을 고려한 경관등급을 구분하였다. 도출된 경관권역별 행위기준을 제안하여 경관계획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아름다운, 인상적인 산'에 대한 이미지를 조사 분석하여 이를 실제 계획안에 적용하기 위한 패턴을 도출함으로써 경관숲 조성을 위한 수목의 종류와 식재 장소 선정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였다. 또한,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해 경관숲 조성에 필요한 식재 기법을 도입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plan is to establish the method and process for planning and design a landscape forest. Recently the issues related on a landscape forest is under active discussion. But they are almost the researches on the law and the legislation. We need the research and discussion for actual and definite planning methods. We analyzed the established researches and abroad cases and drew a implications. So we made a framework of a landscape forest planning. It was considered ecological and visual esthetic aspects at once. This plan involved classifying the landscape districts oriented watersheds. We evaluated the conservation rating for each a landscape district. And we proposed the permitted actions at each rating. We searched what is the beautiful mountain. We found the planting patterns by analyzing the beautiful mountain pictures and the planting methods by analyzing the abroad cases. We applied them to planning a landscape forest.

      • KCI등재

        다차원척도분석을 이용한 거주민의 아파트 경관 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 2012 한국경관학회지 Vol.4 No.1

        본 연구는 '살기 좋은 아파트 상'을 수상한 수도권 내 아파트를 대상으로 실제 거주하고 있는 거주민들이 아파트 경관 이미지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2차에 걸친 설문분석 및 요인분석을 통해 경관평가 형용사 쌍을 도출하였고, 이를 이용해 거주민들의 아파트 단지 경관과 조경 경관에 대한 이미지를 설문조사하였으며, 거주민들의 인식을 분석하기에 앞서 건설사들이 해당 아파트에 대해 지향한 이미지를 조사하였다. 설문결과는 MDS 기법을 활용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그 이미지의 차별 정도를 해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첫째, 단지경관 및 조경경관을 평가할 수 있는 각 9개의 형용사 쌍을 도출할 수 있었다. 둘째, 연구 대상지 아파트에 대한 거주민들이 인식하는 아파트의 이미지는 서로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단지경관 이미지는 그 차이가 조경경관에 비해 더욱 크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부분의 건설사들이 스스로 차별화시키려는 노력을 많이 함에도 불구하고, 그 지향 이미지를 정확히 실현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현 아파트의 단조로운 이미지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그 한계를 파악하여 보다 다양화하는 전략을 수립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focused on analysis of the resident's landscape image of the awarded 'the Liveable Apartment Prize' apartment sites in Metropolitan area. For this study, we surveyed the supplier's intended image first, then extracted several pairs of adjectives to estimate the overall apartment landscape and the garden landscape. With these pairs of adjectives, we proceeded the questionnaire survey. Finally, w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urvey using MDS analysis to verify the differentiation of the image of those landscapes. As a result, fist, we could extract each 9 pairs of adjectives to estimate the overall apartment landscape and the garden landscape. Second, we found out that the resident's recognized images of apartment are not much different to each others, so we concluded that those apartment sites are similar to each other. Third, the overall apartment image is more dully different than the garden landscape, which means that residents recognize the character of garden landscape more distinctive than the overall landscape. These result simply that most suppliers tried to realize their distinctive identities which separate them from others but it is not happened. This study is revealing the fact that the apartment landscape is limited to realize its distinctive image, so is expected to be used for set up a strategy to realize it.

      • KCI등재

        해안인접 건축물 높이와 입면차폐도 허용 범위 연구 - 낙산도립공원을 대상으로

        ()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 2011 한국경관학회지 Vol.3 No.2

        본 연구는 해안 인접 건축물 난립 예방을 위해 건축물 높이와 입면차폐도를 지표로 활용한 허용 범위 설정 가능성을 밝히고자 한다. 물리적 지표로 건축물 앙각, 입면차폐도, 해안선에서 건축물까지 거리를 선정하였다. 시뮬레이션 방법을 활용하여 물리적 지표 변화에 따른 해안경관미와 해안인접 건축물 허용 동의 정도를 설문하고 이를 평가·분석하였다. 먼저, 연구대상지인 양양군 낙산도립공원을 사진 촬영하고, 이를 Abode Photoshop CS4를 이용하여 사진 수정하였다. 선정한 물리적 지표 기준 범위에 따라 총 24개 조건에 대한 사진을 마련하였다. 경관 관련 전공자 40명에게 각 사진별 해안경관미(10단계 리커트 척도)와 해안인접 건축물 허용 동의 정도(5단계 리커트 척도)를 설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선정한 물리적 지표인 건축물 앙각, 입면차폐도, 해안선에서 건축물까지 거리 모두 해안경관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건축물 앙각과 입면차폐도는 값이 커질수록 해안경관미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해안선에서 건축물까지 거리는 값이 커질수록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해안경관에 영향력이 큰 요인은 입면차폐도, 건축물 높이 그리고 해안선에서 건축물까지 거리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해안인접 건축물 허용 동의 정도 분석결과, 해안선에서 40m 지점은 건축물 앙각 10° 입면차폐도 3m 이하, 해안선에서 100m 지점은 건축물 앙각 14°, 입면차폐도 7m 이하로 해안인접 건축물 허용 범위를 도출하였다. 해안선에서 건축물까지 거리에 따라 허용 범위가 다른 것은 건축물 앙각과 입면차폐도가 같은 건축물이라도 관찰지점에서 멀어질수록 시각적 영향력이 감소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해안경관 관리를 위한 지표범위 설정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regulation of buildings for preventing buildings from being jumbled in coastal areas. Elevation angle, elevation blockage ratio, and distance from coastline to buildings were selected for physical indicators of regulation. The research measures visual impact according to change of physical indicators using simulation method. First of all, after taking photographs of Nak San provincial park which was study site, the photographs were modified by Abode Photoshop CS4. Then, the Photographs were arranged by range of physical indicators. The value of scenic quality and the degree of agreement to the acceptable buildings conditions were surveyed for each photograph by respondents who majored in landscape architec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all of physical indicators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influence on value of scenic quality. Elevation angle and elevation blockage ratio had negative influence on value of scenic quality but distance from coastline to buildings positive. Elevation blockage ratio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coastal landscape, the next is elevation angle and the least is distance from coastline to buildings.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degree of agreement to the acceptable buildings conditions, allowable range of buildings conditions was below elevation angle 10° elevation blockage ratio 3m for buildings within 40m from coastline and below elevation angle 14° elevation blockage ratio 7m for buildings within 100m. Although the buildings had same elevation angle and same elevation blockage ratio, the visual impact of buildings was different according to distance. This is because the further the distance is from the building, the lower the visual impact of buildings i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tilized for regulation of buildings in the coastal areas as basic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