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근대기 학제(學制)의 성립과정 -학제의 교육이념을 중심으로-

        김정희(Kim Jung-Hee, 金,熙) 한국일본교육학회 2019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4 No.2

        본 논문은 일본 근대기에 최초로 성립된 학제의 교육이념을 담은 서문「피앙출서(被仰出書)」를 중심으로, 그것의 성립과정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우선 학제 성립 이전의 고등교육기관의 설립을 둘러싼 국학, 한학, 양학의 상황에 대해서 분석하고, 양학이 교육의 중심으로 대두되어 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양학을 중심으로 한 보통교육의 실시를 중시하는 당시의 개명파 지식인들의 주장이 개인을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국가의 부국강병을 이루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에 반해서 학제의 교육이념을 명시한「피앙출서」에는 ‘국가’라는 용어가 배제되어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이러한 교육이념이 성립하게 된 이유를 초안 작성에 관여한 지식인 네트워크와 그들의 사상을 통해서 고찰하였다. 초대 문부성 장관이었던 오키 다카토(大木喬任)를 중심으로, 에토 신페이(江藤新平), 미쓰쿠리 린쇼(箕作麟祥), 후쿠자와 유키치(福沢諭吉)가 교유관계로 지식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고, 국가보다는 인민을 중심으로 생각하여 보통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을 논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교육이념이 만들어진 이유를 정부의 시점에서가 아니라 당시의 민중들이 신정부의 정책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와도 관련지어 논하였다. 그러나 일본 근대에 성립된 최초의 학제가 급진적인 서구사상의 확산을 주장하고, 루스 정부(留守政府)에 의해 성립되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그 한계를 노정할 수밖에 없었다는 점도 아울러 지적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the school system that was first established in the modern period of Japan by focusing on its formation process. Intellectuals who supported opening the country at that time insisted on the general education of the people, but more to achieve the country s rich country troops than to individuals. Interestingly, the word ‘state’ is excluded from the Osedasaresyo that defines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the school system. This study examines the network of intellectuals involved in drafting the document and their educational philosophy, to understand why this philosophy was established. Furthermore, this study seeks to clarify the reason why the word ‘state’ was excluded from the Osedasaresyo in relation to the popular uprising of the time.

      • KCI등재

        胜利下的阴影:“白草原冒功案”原因探究

        钱俊岭(Qian jun-ling);张;彦(Zhang jing-ya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8 역사문화연구 Vol.67 No.-

        北宋 哲宗 紹聖年間 鍾傳이 조정에 허의로 軍功을 보고하고 은상을 받으려 한 적이 있었다. 이 사건은 송대 관원들이 軍賞에 대해 갖고 있던 관념을 대변하는 사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상벌이 공평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한 사건이다. “绍圣拓边”이 시작된 이후 일부 관원들은 당시 재상이었던 章惇과 사사로이 왕래 하면서 恩賞을 받았다. 鍾傳은 문벌귀족 가문 출신이 아니었고 뒤를 봐줄 비호세력도 없어서, 매번 군상을 받을 때마다 평소 친분이 있던 관리를 찾아 군상을 부탁하였다. 종전은 이러한 현실을 비관하여 마침내 “白草原冒功案”을 일으켰던 것이다. “白草原冒功案”은 송대 상벌제도에 여러 가지 폐단이 존재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군상에 있어서 공정성 보다는 개인적인 유대관계와 비호세력에 의해 군공이 결정되고 있었음을 여실히 보여 주는 것이다. In the ShaoSheng period of ZheZong Emperor at the Northern Song, in order to get the reward, ZhongChuan deceived the center government of Northern Song.Superficially, the officials’ desire was the reason, but injustice reward was. After the war began during ShaoSheng period, some officials’ reward were very rich, because of the relation with Prime Minister ZhangDun. But the family conditions of Zhong Chuan was general, and he had no protection for important politicians. His reward more less than some officials’, so this unfairness led to imbalance, finally, led to the case of false report. So, the case of Baicaoyuan false report reflected so much disadvantages exiting the reward and punishment system, and this case also reflected patron-client corruption was the real reason.

      • KCI등재

        从中国哲学的立场省察“幸福”

        진정(陈,,) 한국동양철학회 2016 동양철학 Vol.0 No.45

        본 논문은 행복에 관해 중국 고전에서 문헌학적인 고찰을 하고 있으며, 뒷 부분에서는 중국철학이 현대 중국인의 행복관을 정립하는데 어떠한 의의가 있는지를 명료하게 전개하고 있다. 본 저자는 이 논문을 통해 행복은 서양철학에서는 중요한 주제이지만 중국고대어에서 행복 개념이 어떠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중국고대어에서 행복은 오늘날의 행복 즉 happiness의 의미와는 다르다고 하였다. 중국전통사회에서 행복은 바로 ‘요행을 바라는’ 또는 ‘재앙을 피하고 복을 구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행복’ 개념을 중국철학사 연구에서 굳이 찾는다면 풍우란의 『중국철학사』 (상권)에서 찾을 수 있으며, 본 저자는 풍우란이 장자의 소유를 행복으로 해석하고 있음에 주목하고자 한다. 더불어 현대 중국인의 행복을 위해 중국전통사상이 어떠한 의의를 지니는지에 관해 논의할 것이며, 공리주의를 넘어설 수 있는 다른 형태의 행복을 중국전통철학에서 찾을 수 있음을 제시할 것이다. 本文的內容, 是以“幸福”在中國古典文獻上的考察為首, 隨後對於中國哲學在定位現代中國人的“幸福”觀有明確的發展。筆者透過本文企圖在西方哲學重視的“幸福”概念, 探討在中國古代語上有著何種涵義, 以及如何運用。所謂中國古代語“幸福”的意思是與一般認為的happiness不一樣的。中國傳統社會上的“幸福”常用為‘心存僥幸’或是‘遠禍求福’的意思。如果在中國哲學史研究過程中要尋找現代我們常用的“幸福”概念, 便在馮友蘭著『中國哲學史(上)』能確認。筆者認為, 要主意馮友蘭以莊子的逍遙遊解釋為“幸福”, 同時闡明現代中國人的“幸福”概念的涵義, 才會能尋求在中國傳統哲學上超越功利主義的其他的“幸福”。

      • 习近平时期区域开发开放战略下中国内陆地区国际内陆港驱动发展模式探析

        万俊斌,, 대한중국학회 2015 대한중국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Vol.2015 No.-

        习近平主席上任以后,提出了“一带一路”的战略构想和京津冀、长江经济带协同发展的重大战略,建立了上海自由贸易区,和韩国、澳大利亚完成了自由贸易协定的谈判,形成了区域开发开放的新格局。在区域开发开放的新时期,中国内陆地区如何对接国家战略,抓住机遇,成为重要课题。本研究回顾了中国区域开发开放战略的发展历程,结合习近平时期区域发展战略的特点,认为国际内陆港驱动发展模式是新时期中国内陆经济发展的适用模式;以西安、重庆国际内陆港的发展为案例,分析了国际内陆港的含义、对内陆经济的驱动机制、适用条件;基于国际内陆港驱动发展模式,提出了中国内陆地区经济发展的可行性方案。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