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신뢰가 환경 및 에너지 문제 인식의 강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COVID-19 이후 변화된 대인・정부・NPO 신뢰를 중심으로

        김민정 경인행정학회 2022 한국정책연구 Vol.22 No.3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social trust on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al/ energy problems with the mediation of changed trust(government trust, interpersonal trust, NPO trust) since the COVID-19. In the results of analyzing it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since the COVID-19, the social trust had positive(+) effects on government trust and NPO trust while it had negative(-) effects on interpersonal trust. Also, in regard of perceiving that the environmental/energy problems would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current life, since the COVID-19, the government trust(-) and NPO trust(+) had effects on it. In regard of perceiving that the environmental/energy problems would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future life, since the COVID-19, all the interpersonal trust(+), government trust(-), and NPO trust(+) had effects on it. This study could verify the effects of trust level(social trust) each individual had on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al/energy problems with the mediation of changed trust since the COVID-19. This study also drew some implications like the trust would have effects on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al/energy problems, and the social capital could function to perceive social problems. 본 연구는 사회신뢰가 COVID-19 이후 변화된 신뢰(대인신뢰, 정부신뢰, NPO신뢰)를 매개로 하여 환경 및 에너지 문제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사회신뢰는 COVID-19 이후 정부신뢰와 NPO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대인신뢰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 및 에너지 문제가 현재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는 것에 있어서는 COVID-19 이후 정부신뢰(-)와 NPO신뢰(+)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환경 및 에너지 문제가 미래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는 것에 있어서는 COVID-19 이후 대인신뢰(+), 정부신뢰(-), NPO신뢰(+) 모두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개인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신뢰수준(사회신뢰)이 COVID-19 이후 변화된 신뢰를 매개로 환경 및 에너지 문제에 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할 수 있었고, 신뢰가 환경 및 에너지 문제를 인식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 사회문제를 인식하는데 사회자본이 기능할 수 있다는 점 등에 기초하여 COVID-19 이후 우리 사회 전반의 신뢰 회복 필요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Trust-based business model in trust economy : External interaction, data orchestration and ecosystem value

        Song, Minzheong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 Vol.6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ormulate a trust-based business model of Internet services in so called the “trust economy.” For it, firstly concepts of trust and trust economy are discussed. Then, we present previous literatures’ review of trust in social science prism and trust economy in economic prism. This study classified the literatures’ stances with two viewpoints of the ‘system’ and the ‘user’. With this backdrop, we discuss three contradictory stances: Internal optimization vs. external interaction, personal data control vs. orchestration, and end-user vs. ecosystem value. In the result, we formulate a trust-based business model framework with three trust issues in user perspective and suggests three strategic directions related three issues along with representative use cases.

      • KCI등재

        중앙/지방정부신뢰의 영향요인의 차이점 -대구광역시 사례연구-

        차재권,류태건 대한정치학회 2018 大韓政治學會報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정부외적 요인들의 차이점을 실증적으로 분석해보았다. 분석대상인 정부외적 요인들로는 대인신뢰, 자원결사체참여, 정치참여, 소속감, 시민자긍심, 경제성과 등 6가지를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각각 2개 혹은 3개 유형으로 분류하여 전체 13개 유형변수들이 중앙/지방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서 특기할 점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대인신뢰의 경우, 일반신뢰는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신뢰에 공히 강력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반면에 특수신뢰는 오직 지방정부신뢰에만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어 신뢰의 반경범위가 좁다. 그리고 소속감과 시민자긍심의 경우, 국가소속감과 국민자긍심은 오직 중앙정부신뢰에만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지역소속감과 주민자긍심은 오직 지방정부신뢰에만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끝으로 경제성과의 경우, 국가경제・지역경제・가정경제 중 오직 지역경제의 성과가 중앙/지방정부신뢰에 공히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결론적으로, 지방은 고유한 지방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지방성은 지역사회의 중앙/지방정부신뢰에 독특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정부신뢰의 (정부외적)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방성의 작용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conduct an empirical research on the differences in the exogenous determinants that affect trust in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in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Six variables are selected as exogenous determinants including trust in people, voluntary association, political participation, sense of belonging, civic pride and economic performance. And they are classified into two or three types, which form a total of thirteen. The effects of these thirteen types of the six variables on trust i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e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is the most remarkable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e case of trust in people, the type of generalized trust has a strong positive effect on trust in both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Whereas the type of particularized trust has a positive effect only on trust in local government, showing as such a limited radius of trust. And when it comes to sense of belonging and civic pride, the types of national sense of belonging and national pride have positive effects especially on trust in national government, while the types of local sense of belonging and local pride have positive effects especially on trust in local government. Finally, in the case of economic performance among national, local and domestic economy, only the performance of the local economy has a positive effect on trust in both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In conclusion, the local community has its own locality and this locality has a distinctive impact on trust in both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 KCI등재

        국민인식을 기반으로 한 정부신뢰의 특성 및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서정욱(徐正旭) 한국정부학회 2018 한국행정논집 Vol.30 No.3

        본 연구는 국민인식을 중심으로 정부에 대한 신뢰인식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들에 대해 실증적인 고찰을 시도한다. 특히 국민들의 정부신뢰 인식 수준에 영향을 주는 주요 설명변수로 네 가지 차원의 신뢰(대인신뢰, 언론신뢰, 시장신뢰, 시민사회신뢰)와 개인적 특성으로서의 정치적 성향(보수, 중도, 진보), 그리고 공직근무 여부 등을 제시한다. 분석결과, 국민들의 대인, 시장 및 언론에 대한 신뢰 인식수준이 높을수록 정부를 더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시민사회에 대해 높은 수준의 신뢰를 보이는 국민들은 정부를 덜 신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개인적 특성의 하나인 정치적 성향도 국민들의 정부신뢰 인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개인과 정권의 정치적 성향이 유사한 경우 개인은 높은 수준의 정부신뢰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에서 일을 하고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개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정부신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국민들의 정부신뢰 인식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향 및 정책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diverse factors that influence citizen trust in government. As the main explanatory variables, we pay attention to the four dimensions of trust (individual trust, citizen trust in market, citizen trust in media, citizen trust in civic society) and political tendency and public sector employment as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show that ‘market & media trust’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s citizen trust in government. Also, ‘individual trust’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itizen trust in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 trust in civil society’ and `citizen trust in government`. Individuals show a high level of government trust if individual political tendency is similar as that of government. Individuals are likely to show a high level of government trust when they now work in the public area including government agencies/depart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 KCI등재

        사용자 상호작용과 신뢰형성의 상호 영향에 관한 시계열 분석

        오현교,이태희,김상욱 한국정보과학회 2015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31 No.1

        We are living in the era of information overload. Escaping from the information overload, online users are hoping to get reliable information. As a key solution to information overload, trust among users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in recent years. Trust in social media is an expression of faith and confidence that a trustor is willing to accept the information provided by his/her trustee. In social media, various applications based on trust have been developed, including services of trust-aware recommendation and finding high-quality user reviews. In reality, however, the explicit trust relations available are extremely sparse because a quite small number of users express trust relations. In order to solve the sparsity problem by inferring unknown trust relations, trust prediction methods have been proposed. Although time-stamps on trust formation and user interactions are available, no existing methods do not perform time-series analysis on them in trust prediction.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trend of user interactions that appear before and after the trust formation on daily time-series data. We found that a certain level of user interactions is required for trust to be formed between two users. Once trust between two users has been developed, the level of user interactions between a pair of users having trust rather decreases. We expect that the result of our analysis provides a nice insight towards a more advanced approach to trust prediction. 오늘날 우리는 정보 과잉의 시대에 살고 있다. 온라인 사용자들은 정보 과잉에서 벗어나 믿을 수 있는 정보를 얻고 싶어 한다. 최근 들어 정보 과잉 문제 해결의 실마리로 사용자간의 신뢰 (trust)가 주목을 받고 있다. 소셜 미디어에서의 신뢰는 한 사용자가 그가 신뢰하는 다른 사용자들이 제공하는 정보를 믿음을 가지고 수용하겠다는 의사 표현이다. 소셜 미디어 사이트에서 신뢰 정보를 활용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신뢰-인지 추천 서비스, 양질의 사용자 리뷰를 찾는 서비스 등이 제안되어왔다. 그러나 실제 소셜 미디어 사이트에서는 소수의 사용자만이 신뢰를 표현하기 때문에 명시된 신뢰 정보의 양이 매우 희박하다. 이러한 신뢰 정보의 희박성 문제 (sparsity problem)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신뢰예측 (trust prediction)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기존의 신뢰예측 방법들은 사용자간 신뢰 형성 시점 및 상호작용 시점 정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뢰예측을 위한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일 단위 (daily) 시계열 분석을 통해 신뢰 형성과 상호작용간의 관련성을 파악한다. 신뢰관계를 갖는 사용자간 상호작용의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신뢰 형성에 선행하는 특별한 패턴을 파악할 수 있고 나아가 그 패턴을 활용하여 보다 향상된 신뢰예측 방법을 구축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사용자간에 신뢰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일정량 이상의 상호작용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대부분의 사용자 쌍이 신뢰를 형성한 이후에는 이전과 비교하여 오히려 상호작용이 감소하는 패턴을 보임을 발견했다.

      • KCI등재

        신탁 관련 소득과세의 문제점 및 개편방안

        이중교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20 세무와 회계 연구 Vol.9 No.3

        Recently, the use of the trust as a means of managing and proliferating property for each asset, such as finance, real estate and pension, has been increasing. In contrast to Japan's simultaneous push for an overhaul of the trust taxation while revising the trust law, Korea has yet to overhaul the trust taxation, which has been nearly a decade since the trust law was revised, causing taxes to hamper the use of the trust. To eliminate uncertainty and irrationality caused by taxation, the readjustment of the trust taxation has become a task that can no longer be delayed. In recognition of this problem, this article analyzed the problems of current trust-related income taxation and presented specific measures for the reform. The main content is as follows. First, under the current income tax law and the corporate tax law, uniformly defining the taxpayer of trust income as a beneficiary is an obstacle to utilize the flexibility and diversity of trus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harms tax neutrality with the corporation. The current tax law divides trust into investment trusts and other trusts only, but since trusts are of a wide variety of types,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taxpayer in line with the function and role of trust. In principle, the beneficiary shall be taxpayer of trust income, but it is necessary to accept the trustee shall be taxpayer if it has the entity of the corporation, and to accept the settlor shall be taxpayer if he or she has dominion and control over the trust property. Second, the classification, calculation, and collection of trust income are closely related to who would be liable to pay the trust income, so a reform plan is proposed based on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taxpayer of trust income. Since the beneficiary taxation trust and the grantor taxation trust have strong conduit elements, trust income shall be classified according to its source. However, in a trustee taxation trust, the beneficiary has a strong character as an investor, so the income distributed by the beneficiary shall be classified into dividend income regardless of its source. Also if the trustee of the trustees taxation trust distributes more than 90% of the trust income to the beneficiary, the trust has a strong character as a conduit, so it is necessary to deduct the distribution amount to adjust the double taxation at the trust level and the beneficiary level. 최근 금융․부동산․연금 등 각 자산에 대한 재산관리 및 증식수단으로 신탁제도의 활용이 늘어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신탁법을 개정하면서 신탁세제에 대한 개편을 동시에 추진한 것과 대조적으로 우리나라는 신탁법이 개정된 지 10년 가까이 지났으나, 신탁세제의 정비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조세가 신탁제도의 활용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조세로 인한 불확실성과 불합리를 제거하기 위하여 신탁세제의 정비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이다. 이러한 문제인식하에 이 글에서는 현행 신탁 관련 소득과세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개편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소득세법과 법인세법상 신탁소득의 납세의무자를 획일적으로 수익자로 규정하는 것은 신탁의 유연성과 다양성을 활용하는 데 장애가 되고, 법인과의 조세중립성을 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현행 세법은 신탁을 투자신탁과 그 이외의 신탁 정도로만 구분하고 있으나, 신탁은 매우 다양한 유형이 있으므로 신탁의 기능과 역할에 맞추어 납세의무자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수익자과세를 원칙으로 하되, 수탁자과세와 위탁자과세를 부분적으로 수용하여야 한다. 즉 신탁이 단순히 도관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수익자과세를 원칙으로 하되, 법인의 실체를 가지고 있는 신탁에 대하여는 수탁자과세를 적용하고, 위탁자가 신탁재산에 대한 지배권과 통제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위탁자과세를 적용하는 것이다. 둘째, 신탁소득의 구분, 계산 및 징수 등은 신탁소득의 납세의무자를 누구로 볼 것인지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으므로, 신탁소득의 납세의무자 결정기준을 바탕으로 개편방안을 제시하였다. 도관적 요소가 강한 수익자과세신탁과 위탁자과세신탁에서 발생한 소득은 그 원천에 따라 소득을 구분한다. 그러나 수탁자과세신탁에서 수익자는 투자자로서의 성격이 강하므로 수익자가 분배받는 소득은 그 원천과 상관없이 모두 배당소득으로 구분한다. 다만, 수탁자과세신탁의 수탁자가 신탁소득의 90% 이상을 수익자에게 분배하는 경우 신탁은 도관으로서의 성격이 강한 것으로 보아 그 분배금을 공제하여 신탁단계와 수익자단계의 이중과세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Models of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Trust : 조직 모형과 신뢰 : 다면적 구성개념으로서의 신뢰에 대한 고찰

        Dongseop Lee(이동섭),Sang-Hoon Lim(임상훈)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8 인사조직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된 신뢰에 관한 문헌을 바탕으로 조직적 맥락에서 신뢰의 본질과 기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조직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최근의 진전은 오늘날의 가변적인 조직환경 속에서 신뢰가 가지는 중요성을 반영한다. 개인이나 조직의 유효성에 있어서 신뢰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은 선행연구에 의해 밝혀지고 있다. 예컨대, 조직학 및 관련 분야에서의 연구는 신뢰를 하나의 주요한 조직 통제 메커니즘으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신뢰는 대리이론이나 거래비용 경제학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기회주의에 대항하는 기제로서 주목 받고 있으며, 문화주의적 접근방식을 채택한 연구에 있어서 신뢰는 경영철학과 리더십의 핵심적 요인으로 인용되어 왔다. 그러나 일찍부터 널리 인정되어온 신뢰의 중요성에 비해 조직적 맥락에서 신뢰의 기능과 발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진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또한 연구자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신뢰의 다양한 문제에 접근하며 여러 수준에서 개념화를 통해 신뢰를 파악하고 있는 까닭에, 조직이론에서조차 아직 신뢰의 역할에 대한 통일된 견해가 존재하고 있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축적된 결과물에 기초하여 널리 알려진 조직 모형들을 통해 조직적 맥락에서 신뢰의 성격과 역할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인사?조직 모형으로 합리적 모형, 유기적 모형, 및 문화적 모형 등 세 상징적 모형이 사용되었으며, 이들 각각의 모형 내에서 신뢰는 세가지 수준별(즉, 대인수준, 구조적 수준, 조직간 수준)로 조명되었다. 특정한 사회 현상을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하는 방법론의 유용성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접근은 제반 조직이론이나 경영이론들이 기본적으로 어떤 암묵적인 이미지나 메타포에 기반하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각각의 이론들이 기반하고 있는 각각의 이미지와 메타포는 궁극적으로는 조직을 이해하고 운영하는 방식에 있어 불가피하게도 어떠한 형태로든 차별적이고 부분적일 수밖에 없는 방식으로 이끌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시된 신뢰의 의미를 다양한 각도로부터의 접근을 통해 고찰함으로써 신뢰에 대한 보다 종합적인 진단을 시도하였고, 산재된 개별 연구에서 존재하는 공통적 특성들을 분류함으로써 신뢰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개념적 범주화를 추구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조직내 신뢰의 형성과 기능에 있어서 불가피하게 서로 얽혀 있는 다수준(multilevel)의 복합적인 프로세스를 고려하여, 다수준 분석이 신뢰의 연구에 필수적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예컨대, 평판이나 사회적 규범의 역할에서 보여지듯, 거시적 수준의 신뢰 과정이 미시적 수준의 신뢰관계를 촉진하거나 제한하는 것처럼, 보다 미시적 수준의 관계가 조직간 신뢰와 같이 보다 거시적 수준의 신뢰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방식들로 제시되어 온 신뢰의 개념들을 다면적으로 파악하고, 그 방식들이 어떻게 구별될 수 있는지, 그리고 그들간에 공통적인 의미가 존재한다면 어떠한 것인지를 밝히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다양하게 존재하는 신뢰에 대한 정의의 모든 측면을 아우를 수 있는 보편적 개념화를 추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기본 취지로 작동하지 않는다. 신뢰 개념에 대한 다양한 연구자들의 This review article examines the nature and function of trust in relation to the rational, organic, and cultural models of organization at the interpersonal, structural, and interorganizational levels of analysis. The current status of the area of research on trust seems to be fragmented in its target problems and approaches to them, which is partially due to different, confusing conceptualization of the trust construct. In an effort to provide a classification system for diverse aspects of trust, this article identifies various types of trust according to the models of organization and the levels of analysis : calculative trust, deterrence-based trust, relational trust, institutional trust, identify-based trust, procedure-based normative trust, and normative trust. The article then discusses implications of viewing trust from different perspectives with multilevel analysis.

      • KCI우수등재

        체육시설에 있어 담보신탁과 회원권의 승계 - 대법원 2018. 10. 18. 선고 2016다220143 전원합의체 판결 -

        李元三 ( Lee Weon Sam ) 법조협회 2019 法曹 Vol.68 No.5

        대상판결은 체육시설업자가 체육필수시설인 골프장을 신탁법에 따라 담보신탁한 이후 신탁계약에서 정한 방법(공매나 수의계약)으로 당해 체육필수시설이 일괄하여 이전되는 경우 체육시설법에 근거하여 체육필수시설 인수인은 체육필수시설의 회원에 대한 권리·의무를 승계하여야 한다고 판시하였다. 이러한 결론을 도출한 다수견해는 체육시설법 제27조의 입법취지, 입법자의 의사, 담보와의 경제적 기능의 유사성, 회원의 권리를 보호하려는 이익형량의 관점 등 다양한 논거를 제시하고 있다. 이 평석에서는 체육시설법 제27조의 입법과정과 관련 판례 및 헌법재판소 결정을 참조하여 동 조항의 해석범위를 파악하였다. 특히 대상판결이 관련법률에 근거하여 공법적 법률관계를 통하여 사법적 권리의 형성에 개입하는 것을 용인하고 있어 사법적 권리의 안정성을 해하는 판결을 하였음을 비판하였다. 이에 대하여 본 평석은 공법적 관계를 제외하고 사법적 체계인 담보신탁의 법적 성질을 파악하여 신탁법과 사법상 특정권리가 교차되는 부분에 대한 해석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This Supreme Court decision is the first to hold that the transfer to the buyer of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seller of the essential sport facilities arising under the membership contracts with the members of the facilities complies with the transfer requirement under Article 23(2)4 of the Sport Facilities Act as they are transferred as part of the transfer in whole of the essential sport facilities due to trustee sale or sale by negotiation under the trust deed entered into according to the Trust Act. There are various main argument points of the majority opinion such as legislative intent and purpose of Article 27 of the Sport Facilities Act, the similarities between trust dee and mortgage from the economic perspective, the balance-of-interests consideration for the protection of the members’ rights, etc. The dissenting opinions also raise equally strong points in objection to the majority opinion.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analyze the decision for more legal clarity and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law involving deed trust. First, the sympathy to the legislative purpose and intent of the Sport Facilities Act to protect the members’ rights does not justify the disturbance of the existing legal regime, unfortunately, contributed by this Supreme Court decision. The majority opinion has valid points, but it shall be limited within the parameters of the existing legal regime. Second, the similarities between deed trust and mortgage from the economic perspective shall not lead to compromise of the raison d’etre of the Trust Act by classifying the deed trust into mortgage only due to the economically collateral function of deed trust if it is clear under the Trust Act that deed trust comes under the category of trust. Third, in case deed trust is a trust under the Trust Act it may be necessary to acknowledge that the trusted property is bankruptcy-remote. The post-decision concern and opinions that notwithstanding the realization of justice in form, this Supreme Court case may cause significant hindrance to future restructuring of, and financing for, golf courses and we need to move more quickly for a supplementary legislation may prove that the Supreme Court decision was excessively obsessed with formal logic only.

      • KCI등재

        청소년기 신뢰의식의 형성과 집단별 차이 비교:인간관계 신뢰에서의 토착심리를 중심으로

        박영신,김의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2 No.3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ion and change of relational trust among Korean adolescents using indigenous psychological perspective. Among adolescents, we examine the basis of trust of their parents, friends and teacher and also their trust in people and institutions. A total of 968 adolescents (227 elementary, 284 middle school, 213 high school, and 244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that contains the Relational Trust Scale developed by Kim and Park (2004a), Generalized Trust Scale developed by Yamagishi (1998) and a scale measuring trust of people and institutions (Kim, Helgesen & Ahn, 2002).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trust their parents due to their sacrifice, followed by their counsel and advice, dependability, consanguinity and respects. They trust their teachers due to their counsel and advice, followed by respect, sacrifice, and mutual trust. They trust their friends due to their advice, followed by empathy, mutual trust, dependability, friendship and sacrifice. Second, trust of their parents are highest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lowest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lower for older age groups. The trust in teachers are highest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lowest among the middle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In contrast, trust in friends increase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older age groups. Third, among trust in people and institutions, they are highest for parents and family and lowest for politicians and political parties. Except for trust in friends, trust of significant others and institutions (family, teachers, neighbors, company executives and politicians) is highest among the youngest age group and it decreases with older age group. Fourth, Yamagishi's generalized trust was highest among the older age groups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The patterns of results for relational trust and generalized trust is different and it points to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rust from the indigenous psychological perspective.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인간관계 신뢰의식에서의 토착심리를 규명하고, 이러한 신뢰의식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 중 고 대학생의 부모 교사 친구에 대한 신뢰의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더불어 주위사람과 기관에 대한 신뢰, 일반적 신뢰의식의 차이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남녀 청소년 968명이었다(초 227, 중 284, 고 213, 대 244). 인간관계 신뢰 변인을 측정하는 질문지는 신뢰에 대한 토착심리분석 결과에 토대하여 연구자가 제작(박영신, 김의철, 2005c)했으며, 일반적 신뢰의식은 Yamagishi (1998)의 질문지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에 대한 신뢰의식을 형성하는 가장 대표적인 구인은 부모의 희생에 대한 지각이었으며, 그 다음은 지도 조언, 의지함, 혈연관계, 존경함이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중요하였다. 교사에 대한 신뢰는 지도 조언, 존경함, 희생, 믿어줌이 중요하였으며, 이외에도 의지함과 스승제자관계가 포함되었다. 친구에 대한 신뢰에서는 조언, 공감, 믿어줌, 의지함, 친구관계, 희생이 중요하였다. 둘째, 청소년기 동안 부모에 대한 신뢰는 초등학생 시기에 가장 높고 중학생 이후부터 낮아졌다. 교사에 대한 신뢰도 초등학생 시기에 가장 높고 중학생 시기에 낮아지나, 고등학생 시기에 다시 증가하였다가 대학생 시기에는 다시 감소하였다. 이와 달리 친구에 대한 신뢰는 초등학생 이후에 성장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다. 셋째, 주위사람과 기관에 대한 신뢰를 분석한 결과, 가족이나 가정에 대한 신뢰가 가장 높았으며, 정치가나 정당에 대한 신뢰는 매우 낮았다. 친구에 대한 신뢰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사람(가족, 교사, 이웃, 기업가, 정치가)에 대한 신뢰는 초등학생이 가장 높고, 대학생 시기까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Yamagishi에 의해 제안된 일반적 신뢰의식은 초등학생이나 중학생보다 고등학생과 대학생이 높았다. 따라서 일반적 신뢰의식의 변화 패턴은 한국 청소년의 인간관계 신뢰에서의 다양한 변화 패턴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한국인 인간관계 신뢰에 대한 토착심리학적 이해의 중요성이 시사되었다.

      • KCI등재

        신뢰와 정부경쟁력 -한,중,일 3국의 시민의식 분석-

        박희봉 ( Hee-Bong Park ),이희창 ( Hee-Chang Lee ) 한국정책학회 2011 韓國政策學會報 Vol.20 No.2

        본 연구는 타인을 신뢰하는 사람들이 정부기관에 대해 신뢰를 하는지, 그리고 정부기관에 대한 신뢰는 정부경쟁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각각의 사회는 독특한 문화와 전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신뢰의 형성과 발달, 영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신뢰를 사적신뢰와 일반신뢰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신뢰가 제도신뢰와 정부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분석 대상은 동양사회를 대표하는 한국, 중국, 일본 3국이다. 분석 결과, 정부경쟁력에 대한 국가 간 비교에 있어서도 특징을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중국인의 정부경쟁력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고, 한국인이 그 다음이며, 일본인의 인식이 가장 낮았다. 둘째, 제도신뢰에 있어서는 일반신뢰와 사적신뢰 모두 한국과 중국, 일본 공통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일반신뢰는 제도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사적신뢰는 제도신뢰에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서구 이론가들의 연구결과와 상반된 것이다. 셋째, 대인신뢰의 정부경쟁력 영향은 국가별로 차이를 나타냈다. 한국에서는 대인신뢰가 제도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제도신뢰가 정부경쟁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일반신뢰가 정부경쟁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일본의 대인신뢰와 제도신뢰, 정부경쟁력 간의 관계는 안정적이지 못한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s that people who trust other people trust government, and that government trust has an impact on government competitiveness. Every society might have its own trust building, development, and impact on government competitiveness because it has different culture. Then, this study categorize personal trust as generalized trust and particular trust. For this analysis, more than 2,300 surveys are used for data in Korea, China, and Japan. This research finds that there are some distinction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rust and government competitiveness according to the countries. Overall, Chinese perception on government competitiveness is higher than Korean's and Japanese's, and Japanese perception is lowest among the three countries. Both of generalized and particular trust has a positive impact on government competitiveness in all the three countries.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Western countries in which generalized trus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government trust while particular trust influences negatively the government trust. In Korea, personal trust including generalized and particular trust has a positive impact on institution trust, which influences positively government trust. In China, generalized trust has an positive impact on government competitiveness. And, In Japan, there are little relationships among personal trust and institution trust, and government competi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