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료서비스대상자의 통합사례관리 방안 연구 : 지방자치단체 총괄 방식의 ‘행정관리 모델’ 중심으로

        황미경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10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5 No.-

        본 연구는 최근 시·군·구, 복지현장에서 부각되는 통합사례관리 논의에서 장기적 사례관리 대상인 의료급여 사례관리 집단이 연계되지 못하거나 간과되고 있음을 파악하였으며, 의료서비스 전달체계 및 의료급여 사례관리 제도의 장기적인 효과성 보장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의료재정의 급증현상은 재원의 효율성 및 사후관리 방식에 대한 효과성 평가의 과제를 부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보건복지부는 2006년부터 전국적으로 저소득층의 의료이용 능력의 향상을 기하기 위한 ‘의료급여 사례관리 제도’를 실시하였다. 한편 의료급여 사례관리와 본인부담제의 시행 등은 의료재정 증가율을 안정시키는 성과에도 불구하고 수급자의 건강권·생명권 침해, 총 진료비의 계속 증가 비판, 의료급여 사례관리 인력 관리, 통합서비스 연계 검토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이에 지자체 내 사례관리영역에서 의료급여대상을 포함한 민·관 통합사례관리의 확대 수행 방식으로 지방자치단체가 총괄하고 사전 예방적, 대상 포괄적 방식으로 운용되는 통합사례관리 모델로서 ‘행정관리 모델’을 제시하였다.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arries out ‘medical care case management system’ to upgrade medical care of the low-income bracket to the proper level and improve health care capability of medical care beneficiaries. The increase in medical care funding gives efficiency of finances and assignment of post-management efficiency evaluation. Medical care case management and cost-sharing system are found to have an effect of stabilizing the medical care funding growth rate. However, such visible problems occurred as invasion of right to health and life, increasing total medical expenditures, wrong personnel operation of medical care case management, and lack of integrated local service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suggests the integrated case management system, a method to secure long-term efficiency of the medical care case management system aiming at improving health care management capability of the low-income bracke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oints out that the medical care case management for the old · high cost · long-term medical care users is insufficient and it is neglected as the separate post-service, in terms of the integrated case management that has been noticed in the discussion of recent local governments and actual fields.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olicy foundation to operate the whole low-income residents’ medical services as the local, preventive, and inclusive integrated case management under the local government’s control.

      • KCI등재

        의료급여수급자의 재가의료급여시범사업 만족도 및 재입원의도에 관한 연구

        김선미 ( Sunmi Kim ),홍미영 ( Miyoung Hong ),이요셉 ( Yoseb Lee ) 대한보건협회 2021 대한보건연구 Vol.47 No.2

        서론 : 2019년 정부는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의료와 복지를 아우르는 통합적인 서비스를 시행하도록 하여 통합돌봄 사업과 재가의료급여시범사업을 시행하였다. 의료급여수급자들을 대상으로 한 재가의료급여시범사업은 장기입원 하던 의료급여수급자들이 퇴원 이후에 집에 돌아가서도 의료, 돌봄, 이동, 식사에 대한 서비스를 필요시 통합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이며 의료급여관리사들이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시범사업에 대한 효과평가를 위해 만족도와 재입원 의사에 대한 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다. 연구목적 : 본 연구에서는 첫째, 시범사업 참여자들의 시범사업에 대한 서비스 경험과, 둘째, 이용자의 경험에 따른 시범사업 만족도차이 및 만족도 영향요인, 셋째, 재입원 의도에 따른 시범사업에 대한 경험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사업의 확대 및 지속가능성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국 13개 시범사업 지자체의 참여대상자 116명에게 2020년 5월 14일부터 5월 28일까지 2주간 전화설문을 실시하였다. 사전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구성하여 시범사업 서비스 만족도, 재입원의도, 장기입원사유, 서비스이용경험, 사회적 관계 등을 질문하였다. 주요결과 : 시범사업 참여대상자 116명 중 103명(88.8%)이 사업에 전반적으로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중 가장 만족하는 서비스는 돌봄이었고 식사서비스와 주거개선이 뒤를 이었다. 응답자 중 92명(79.3%)이 재입원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응답하여 시범사업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의료급여관리사에 대한 만족도가 이용자의 사업전반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재입원의도에 따라 삶의질, 의료급여관리사에 대한 만족도와 사업전반에 관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만족도 조사결과 재가의료급여시범사업을 이용한 대상자들은 지역사회연계서비스에 대부분 만족하였으며, 재입원을 고려하고 있지 않아 사업이 목적한 바에 따라 성과를 달성하였다고 볼 수 있다. 더불어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업의 확장과 지속성을 고려했을 때, 의료급여관리사의 친절도를 높이고 사업 전반에 대한 만족도와 삶의 질을 높여 재입원의도를 감소시킨다면 성공적인 Aging in Place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 The effectiveness of the medical aid community care program was analyzed using the experienc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hospital readmission of medical aid recipients. Methods :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was 116, and they were living in 13 areas. We surveyed from May 15th to 28th. We asked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s, degree of intention to readmission, the reason for long-term hospital admission, experience regarding service utilization, frequency of social contacts before and after hospital discharge. Results : Overall, 103 people out of 116 (88.8%) respond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project. Ninety-two respondents(79.3%) answered that they do not consider hospital readmission, proving that the pilot project is practical. Satisfaction was different between people who used mobility, meal, personal care assistant and those who do not. Also,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ose who want hospital readmission and those who do not want to. We found the satisfaction with the case manager to be a factor affecting the overall service satisfaction of users. Conclusion : Most of the subjects were satisfied with the services and did not consider re-hospitalization. So the project achieved promising results according to the purpose.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the case manager can cause increased overall satisfaction. Also, overal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case manager, increasing quality of life can be a strategy to extend the length of residence in their community.

      • KCI등재

        저소득 취약계층 은둔환자들의 탈은둔 사회복귀를 위한 『은둔환자의료지원캠페인』 참여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김은재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23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 No.4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roach and us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medical support users who participated in the 'Recluse Patient Medical Support Campaign' project aiming to support social return of secluded patients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Results of this project were also evaluated. This study aimed to deriv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xpanding the base of medical support services for secluded patients by analyzing and evaluating effectiveness. For qualitative evaluation of this project, 12 medical support users participated as research participants who conduct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60 concepts, 11 subcategories, and 3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of medical support user. Categories of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medical support users were “being trapped in the wall of half self-willed and half others-willed seclusion”, “breaking down the wall of seclusion and going back into the world”, and “thoughts for sustainable coexistence together by breaking the egg”. Based on results of analysis, basic data and measures take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vulnerable low Income groups reclusive patients in the medical blind spot a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