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동물행동학 기반 동물 동작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신지호(Jiho Shin),강태영(Taeyoung Kang)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2 애니메이션연구 Vol.8 No.3

        최근 10년 동안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린 할리우드 애니메이션을 살펴보면, 공통적인 특징 중의 하나로서 동물이 등장하는 작품들이 많았다는 것이다. 동물 애니메이션의 형태로는 인간처럼 말하고 두 발로 걸어 다니는 스타일의 인간형 애니메이션이 있으며, 그 밖에 실제 동물과 똑같은 형태로 움직이는 동물형 애니메이션이 있다. 1990년대 이전에 제작된 애니메이션 중에는 <톰과 제리>처럼 인간형 애니메이션이 많았지만 이후에 개봉 된 <아이스 에이지>, <니모를 찾아서>, <마다가스카>와 같은 작품들은 자연 상태 그대로의 동물들의 움직임을 적용한 동물형 애니메이션의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다. 완성도 높은 동물형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연구들이 선행되어야 하는지 외국의 사례를 살펴본 결과 동물학에 기초를 두고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게 됐다. 그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도 애니메이션 제작에 앞서 동물행동학(ethology) 연구에 더욱 초점을 맞춰 완성도를 끌어올려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동물학과 애니메이션의 연구를 병행하여 효과를 극대화 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첫째로, 먼저 동물행동학(ethology)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동물행동학이 애니메이션에 어떤 식으로 접목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둘째로, 동물학에 기초하여 들개(Bush Dog) 애니메이션 제작하기를 구체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론적 고찰과 사례연구를 통하여 동물학에 기초한 동물 동작표현 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였고, 이를 통해 국내 동물 애니메이션 동작 표현에 있어서 새로운 기술적 체계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Because of rapid development of animation technology, needs of audience for animation quality is getting higher and higher. When we see the hollywood animation, we can find that their achievement for animation quality is advance level compare to our animation quality level. If we think about the reason how hollywood animation could have great achievement for animation quality. They have been keep researching to find out way to develop perfect quality animation. For example, when they made a animal animation, they had a different approach than others. At first, they studied animal behavior. they even invented small camera to see in animal’s point of view and analyze animal behavior. And they also studied research-based behavior learning under an ethology-based animal animation. Someone might say “is this really necessary to study research-based behavior learning under an ethology-based animal animation to make animal animation?” However to achieve great animation quality, I think that kind of approach is very important. Because that is smiler kind of thing that when they develop modeling skill, they study anatomy. In this research, I paid attention to Research-based Behavior Learning under an Ethology-based animal animation to develop animal animation skill.

      • KCI등재

        창의ㆍ인성 영역을 고려한 사회과 평가 방안 모색

        임은진(Lim, Eun-Ji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4 사회과교육 Vol.53 No.3

        본 연구는 사회과 교육과정, 창의·인성교육, 성취평가제 등과 유연한 연계성을 유지하면서 궁극적으로 학생의 성장을 도울 수 있는 평가 방안을 모색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2009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평가 방향과 내용을 분석하여 전체적인 논의의 중심으로 세우고, 창의성과 인성에 대한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이와 관련된 사회과 평가 요소를 추출 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적 논의와 현재 교육환경의 요구를 반영하고,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평가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사회과 평가방안을 모색하였는데, 계속적(지속적)평가, 다면적 평가, 피드백을 강조한 평가, 개발화된 평가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평가 방안에 준거를 두고 수업과 평가가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는 수업 설계 및 평가 도구 개발 방법에 대해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valuation method that can eventually assist the growth of student, maintaining flexible connectivity with current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creativity & ethology education, and the achievement assessment. To achieve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evaluation direction and contents provided by 2009 revision social studies curriculum at first and put it as the center of the discussion, followed by extracting the evaluation element of social studies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the creativity and ethology. This study suggests continuous evaluation, multidimensional evaluation, the evaluation emphasizing feedback and individualized evaluation as a new evaluation method of social studies reflecting theoretical discussion, educational and social needs, compensating the limitations of previous evaluation. This study also discusses about class design and methodological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that can coincide with teaching and evaluating based on the new social studies evaluation.

      • KCI등재

        나치 시대 콘라트 로렌츠(Konrad Lorenz)의 학문과 정치

        송충기 ( Song Chung-ki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7 역사학연구 Vol.65 No.-

        동물행동학의 개척자이자 1973년 노벨상 수상자인 콘라트 로렌츠는 전후 탈나치화의 시기부터 학문적으로 나치에 부역한 혐의로 논란을 빚었다. 최근까지도 이러한 논란이 지속되었는데, 여기에는 동물행동학 자체에 대한 학술적인 비판과 더불어 로렌츠의 나치 때 행적도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본고에서 학술적 측면보다 학문 밖의 행동을 중심으로 학자들이 나치 이데올로기에 친밀해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로렌츠는 어릴 적부터 동물과 함께 살다시피 하면서 그들을 관찰했다. 그가 의학을 포기하고 동물행동학으로 선회하게 된 결정적인 이유는 하인로트 등 학술공동체가 형성되면서 새로운 학문에 대한 야심을 가졌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경제적 정치적 여건이 문제가 되자, 당시 구축하던 학술적 네트워크를 통해 동물행동학의 연구에 대한 경제적 정치적 여건이 훨씬 더 나았던 독일로 진출했다. 여기에서 그는 학문적 돌파구를 위해 나치당에 입당하는 등 정치적 행동도 마다하지 않았다. 이러한 정치적 행보를 통해 그는 결국 쾨닉스베르크 대학의 교수로 임용되면서 학문적 전기를 마련되었지만, 소련의 참전으로 학문을 중단했다. 전쟁시기에 그는 연구활동을 지속했지만, 이미 정치적 이데올로기에 상당히 감염되었다. 전후 나치 청산이 느슨해지면서 `학자`로서의 전문성을 강조한 덕분에 정치적 책임에서 벗어나 중단했던 연구를 계속할 수 있었다. Konrad Lorenz, who shared the 1973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and is regarded as one of the founders of modern ethology, had been suspicious of his collaboration with Nazi Germany since the denazification was carried out. The controversy over his nazi past has continued recently.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what he did politically under National Socialism. At the request of his father, he became a doctor, but he could not but help study ethology, because he was very enthusiastic about animals since his childhood. The political atmosphere for biology in Austria was very bad at that time, whereas eugenics was welcomed and its issues were extensively researched in Germany, especially in the Kaiser-Wilhelm-Society. So he made efforts to go to Germany for the study. After he joined the Nazi party in 1938, he had taken a university chair. Due to his party membership and help of his scientific colleagues, he could focus on studying ethology. However his science was already politically contaminated.

      • KCI등재

        동물과 인간의 차이와 연속성 아리스토텔레스의 생물학과 윤리학의 ‘점진주의’에 대하여

        조대호 범한철학회 2010 汎韓哲學 Vol.59 No.4

        이 논문의 목적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이른바 ‘점진주의’를 논의하는 데 있다. 논의의 초점은 인간과 다른 동물들 사이의 양적인 정도 차이를 주장하는 두 가지 해석이다. 두 해석은 각각 동물과 인간의 인지 능력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 생물학 내의 생리학적-해부학적 설명에 호소하거나 덕의 생물학적 뿌리들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발언들에 의거해서 인간과 동물 사이에는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이라고 주장한다. 필자의 관심은 이 두 해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서 동물의 인지 능력들은 모두 감각능력에 속하며 그런 점에서 인간의 지성적 인지 능력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사실을 구체적인 사례들을 통해 논증하는 데 있다. 동물들의 인지 능력과 관련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에 대한 이런 해석은 그의 동물행동학에 대한 보다 정교한 ‘차이론적’ 해석을 전개하는 데 첫걸음이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so-called ‘gradualism’ in Aristotle's philosophy. It focuses on two interpretations which argue for the gradual difference between humans and other animals, each by appeal to the physiological and anatomical explanations for cognitive capacities in Aristotle' biology and to his remarks on the biological roots of virtue. My concern here is to deal critically with these approaches and to argue by means of examples that Aristotle ascribes the cognitive capacities of other animals to their aisthētikon and in this way differentiates them from human noetic capacities. My reading of Aristotle' view on animal cognition would be the first step in developing a more specified version of ‘differentialist’ understanding of Aristotle's ethology.

      • KCI등재

        들뢰즈의 기호와 정서

        이찬웅 ( Chan Woong Lee ) 한국기호학회 2011 기호학연구 Vol.29 No.-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Deleuze`s conception of sign and of affect according to his three periods which can be named as expressionism, machinism and a study of the image. In the period of the expressionism, the sign is the reflection of an essence, whereas, in the period of the machinism with Guattari, the basic elements of the sign don`t have any meaning, but those combinations product a meaning. In Deleuze`s last period, images form a sign of thought for itself in the universe of omnidirectional variation where the distinction of essence and phenomena is completely abolished. With regard to the affect, in departing from the Spinozist distinction between affection and affect, it is enriched by synthesizing originally psychoanalysis and ethology. The concept of affect which is thought as a real becoming in this way is enlarged into the problem of esthetics which consists in abstracting pure affects.

      • KCI등재

        들뢰즈의 행동학(ethologie) -되기(devenir)개념과 실천적 의미-

        김은주 ( Eun Joo Kim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4 시대와 철학 Vol.25 No.2

        들뢰즈는 윤리학을 ‘신체가 얼마나 변화할 수 있는가’라는 신체 역량의문제로 다루고 힘의 상승과 하강을 가치의 문제로 제기하여, 윤리학의 새로운 지평을 연다. 그는 윤리적 논의를 ‘-해야만 하는 바’라는 형식적 보편타당성을 따르는 자율적 의무에서가 아니라, 존재 방식들(manieres)을 새롭게 정의하고 가치의 문제를 발견하는, 비판과 구축의 작업으로 접근한다. 들뢰즈의 윤리적 탐구는 되기(devenir)개념을 통해 실천적인 의미가 강화된다. 되기는 역량을 증가시키는 형태로 신체들을 결합시키고, 질적으로 강렬한 변화의 상태로 이끌어 새로운 신체를 조성하고 생산하는 방식이다. 본고의 목표는 들뢰즈의 윤리학인 행동학(ethologie)과 되기 개념을 이해하면서, 그의 윤리적 논의가 지닌 실천적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행동학은 신체의 변용능력 활성을 윤리적 문제로 제기한다. 또한 행동학은 변용능력을 저하시키고 복종의 체제를 조직하는 지배 권력에 저항하는 정치적 함의를 지닌다. 되기 개념을 제안하는 행동학은 대문자 ‘인간’으로 표상되는 다수적 지배에 의한 보편적 정상성을 비판한다. 행동학은 다양한 사회 운동과 조우하고, 인간 중심주의를 넘어 새로운 존재론적 조건을 구축하는, 실천적 대안이자 윤리적 전회를 의미한다. Deleuze deals with ethics as a body’s ability which means ‘what a body can do’. By raising the matter of value to rise and fall of the force, he opens up new horizons of ethics. According to deleuze, ethical discussion is not to follow a formal universal validity but to define the mode of existing(manieres) and make the formation of value and rule. he understands ethics as criticism and construction rather than voluntary obligations. The concept of ‘becoming’(devenir) reinforces practical meanings in Deleuze’s ethical inquiry. Becoming is a way to make to combine bodies by increasing each body’s capacity and leading to a qualitatively new state of intense change to produce and construct new bodies.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Deleuze’s ethology (ethologie) and the concept of becoming and to look at the practical implications in his ethical discussion. Ethology suggests an ethical view to the matter of ‘body’s ability to change’. Also, it has political implications that society organizes the system subjected to degrading the body’s ability to resist to domination. Encountering a variety of behavioral and social movements, Ethology builds a new practical alternative to the ontological and ethical conditions beyond anthropocentrism. It means the new ethical turn.

      • KCI등재

        돈 들릴로의 『바디아티스트』 읽기 : 인지 동물행동학과 동물의 마음

        김수임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23 스토리&이미지텔링 Vol.26 No.-

        In The Body Artist, known as Don DeLillo's shortest novel, the main character, Lauren Hartke, spends more time alone and pays attention to the various birds that fly around her house. Then one day, her interest turns to the striking Blue Jay, which leads her to wonder what the difference between human and his perception is. This study tries to analyze Lauren's curiosity using cognitive ethology as an analytical framework. Through this, it seek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understanding of animal others. To this end, it explores various matters related to cognitive ethology based on such theoretical logic, captures the possibi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birds in The Body Artist. In this way, this study examines the converging point of the two disciplines through the metaphorical network established in the languages of literature and science. 돈 들릴로의 가장 짧은 소설로 알려진 『바디아티스트』에서 주인공 로렌 하트케는 홀로 지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집 주변으로 날아드는 다양한 새들에게 주의를 기울인다. 그러던 어느 날 그녀의 관심은 도드라져 보이는 파란 어치에게로 향하면서 인간과 그의 지각에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 하는 호기심으로 이어진다. 본 연구는 이러한 로렌의 궁금증에 초점을 맞추어 동물의 마음에 대한 진화론적 및 생태학적 비교연구인 인지동물행동학을 분석 틀로 삼아 동물 타자에 대한 이해의 확장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Ⅱ장에서 인지 동물학과 관련된 여러 제반 사항들을 살피는 것으로 시작하고 Ⅲ장에서는 그러한 이론적 논리를 토대로 『바디아티스트』에서 인간과 새의 관계성에 대한 흥미로운 가능성을 포착하고자 한다. 이로써 본 연구는 문학과 과학의 언어 사이에 구축된 은유적 연결망을 통해 두 학문의 접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태권도 인성 덕목에 필요한 개념 검토

        차명환(MyungHwanCha),곽낙현(NakHyunKwak) 한국체육학회 2015 한국체육학회지 Vol.54 No.4

        이 연구는 태권도 인성 덕목을 정립하기 위해 ‘인성’개념의 탐색을 시도한 시론적인 연구이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는 수련을 통한 인격의 완성과 심신의 조화로운 발달을 도모하는 인성교육이다. 둘째, 태권도 인성 덕목을 정립하여 태권도에 대한 올바른 인격 교육을 함양해야 한다. 셋째, 태권도 인성 덕목은 동양학과 한국의 전통사상을 통해 항목을 추출하였다. 초급은 칠정(七情), 맹자(孟子), 중급은 사단(四端), 삼강(三綱), 오륜(五倫), 세속오계(世俗五戒), 고급은 퇴계의 ‘경(敬)’, 민족고유 ‘선(仙)’의 8개 항목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태권도 인성 덕목과 관련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cept of introductory "personality" to establish the personal virtue of Taekwondo.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Taekwondo is personality education to promote completion of personality through training and harmonious development of body and mind. Second, by establishing the personal virtue of Taekwondo, the education of upright personality regarding Taekwondo shall be built up. Third, the criteria of personal virtue of Taekwondo were extracted from Oriental studies and Korean traditional aspects. The total of eight categories was suggested: Seven Emotiongs and Mencius for the beginner, Four Clues,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 for the intermediate, and "Respect" by Toegye and Taoism for the advance.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more active discussion regarding the personal virtue of Taekwondo may be opened.

      • KCI등재

        연결성의 에톨로지로 본 ‘새끼 서 발’

        강성숙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2 石堂論叢 Vol.- No.82

        The stories of “six yard[seo-bal] straw rope” has been enjoyed by various people for more than 100 years in a wide range of areas from Hamgyeong to Gyeongsang Province. This is a narrative about growth, leaving the road with the humble accomplishments(six yard[seo-bal] straw rope/a single rice stem) of the protagonist and eventually returning with a ‘bridesmaid/ bean-curd dregs’. The main character did not have any intention in the first place, but he met with others and simply gave out his own things at their request. At this time, the main character recognized the value of his own and recognized the existence of others connected with him. The main character's intentional exchange process is gradually shown according to the type, and the main character confirms the recognition and support of people about life, and he also gets the driving force to move from a degenerative state that is no different from death to a lively life. The outer cover of the series of events and the accumulated formal stories is also a device to fully convey the values ​​that the tradition and enjoyers aim for. This cumulative chain story format, in which one pixel is closely connected to another pixel, reveals that each object to which the main character meets is connected, and that this network is deeply involved in the change of the main character. This is also a mechanism that drives the change and growth of the protagonist in the story, and it is also a device that repeats the value of the outside of the narrative, that is, the enjoyment class. When the story is considered as a shared asset, it seems that the enjoyers embody the way of fully recognizing the existence of others connected to them, what others have, the achievement of others, and the absolute value of being alive through the common property called ‘six yard[seo-bal] straw rope’. The story of the six yard[seo-bal] straw rope can be read as a growth narrative in which the main character, who has nothing and has no clear purpose or will, goes out of the house and continues to meet someone to become an adult who can become independent. The important goal of the story, along with the necessity of life recovery, is achievement and growth through experience. The main character, who was confined to the room and was not seen as a fully alive state, who was confined to eating and excreting himself, seems to have actively shaped and supported the process of building and growing his own world after meeting with many people through the story of ‘six yard[seo-bal] straw rope’. ‘새끼 서 발’ 설화는 함경도부터 경상도까지 광범위한 지역에서 100여 년이 넘는 오랜 기간 다양한 사람들이 향유해 온 이야기다. 이는 주인공이 가진 보잘것없는 성취물(새끼 서 발/조이삭 하나)을 가지고 길을 떠나 결국 ‘처녀/비지’를 얻어 돌아오는, 성장에 관한 서사다. 주인공은 애초에 어떤 의도를 지니고 있었던 것이 아니지만, 타인과 만나 그들의 요청에 따라 단순히 자신이 갖고 있던 물건을 내어주는데, 이때 주인공은 타인에게 자신이 지닌 것의 가치를 인정받으며 자신과 연결된 타인의 존재를 인식하게 된다. 유형에 따라 주인공의 의도적 교환 과정이 단계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때 주인공은 생명과 삶에 대한 사람들의 인정, 지지를 확인하며 그 역시 죽음과 다를 바 없는 퇴행적 상태에서 생동하는 삶으로 나아가는 원동력을 얻게 된다. 사건이 연쇄, 누적되는 형식담의 외피는 이야기를 전승하고, 향유하는 사람들이 지향하는 가치를 온전히 전하기 위한 장치이기도 하다. 하나의 화소가 다른 화소와 긴밀하게 연결되는 이 누적 연쇄담 형식은 주인공이 만나는 대상 하나 하나가 모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연결망이 주인공의 변화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음을 드러내는 장치다. 이는 이야기 내부에서 주인공의 변화와 성장을 추동하는 기제이기도 하면서 서사의 바깥, 즉 향유 계층이 지향하는 가치를 반복해 체화하는 장치이기도 하다. 이야기를 공유자산이라고 볼 때, 향유자들은 ‘새끼 서 발’이라는 공유재를 통해 자신과 연결된 타인의 존재, 타인이 가진 것, 타인의 성취, 그리고 살아 있음의 절대적인 가치를 온전히 인정하는 과정을 체화하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새끼 서 발’ 설화는, 가진 것 없고 뚜렷한 목적도 의지도 없던 주인공이 집 밖으로 나가 누군가를 계속해 만남으로써 자립할 수 있는 어른이 되어가는 성장 서사로 읽을 수 있다. 생명 회복의 당위성과 함께 이야기가 말하고자 하는 중요한 목표가 경험을 통한 성취와 성장인 것이다. 방 안에 스스로 갇혀 먹고 배설하는 일밖에 하지 않던, 온전히 살아 있는 상태라 볼 수 없었던 주인공이 집(방) 밖으로 나가 여러 사람들과 만남 끝에 결국 고유한 자기 세계를 구축하고 성장해가는 과정을 향유자들은 ‘새끼 서 발’ 설화를 통해 적극적으로 형상화하며 지지해온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